• Days
  • Hours
  • Mins
  • Secs

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텐센트 위뱅크(WeBank), 中 정부 주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인프라 기술업체'로 합류

프로필
하이레 기자
댓글 20
좋아요 비화설화 1
 텐센트 위뱅크(WeBank), 中 정부 주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인프라 기술업체'로 합류

개인 및 중소기업 대상 대출을 전문으로 하는 텐센트의 인터넷은행 ‘위뱅크(WeBank)’가 중국 국영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첫 기술 인프라 제공업체로 합류했다.

10일(현지시간) 코인데스크 보도에 따르면 위뱅크는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산하 국가정보센터가 주도하는 ‘블록체인 서비스 네트워크(BSN)’에 기술 인프라 지원업체로 협력하게 됐다.

중국 공영 매체는 선전에 본사를 둔 위뱅크가 "특허받은 개방형 컨소시엄 체인 기술 ‘FISCO BCOS"를 제공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기업은 "BSN이 일반 대중에게 제공되는 컨소시엄 체인으로 다양한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주 출범한 BSN 컨소시엄은 후오비차이나, 국가정보센터, 차이나 유니온페이,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초상은행(CMBI) 등 14개 유명 기업들이 참여한다. 각 기업의 전문성과 기술력을 응용하여 블록체인 기반 앱을 개발, 확산하게 된다.

위뱅크는 증권감독관리위원회(CSRC)가 승인한 최초의 인터넷 전문은행으로 2014년 12월 설립됐으며, 최근 블록체인 기술 서비스로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리예그룹(Liye Group), 바이에위엔(Baiyeyuan) 등 중국 유명 투자사가 지원하고 있다. 중국 3대 IT업체 텐센트가 지분 30%를 보유한 최대주주로 있다.

BSN는 통신, 에너지 등 다양한 공공 서비스를 지원하는 국가차원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다. 현재 중국 25개 도시와 홍콩, 싱가포르에서 시범 가동되고 있으며 내년 전국 200여 도시과 해외 지역으로 적용 범위가 확대될 예정이다.

토큰포스트 |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독일 슈투트가르트증권거래소, 유럽 토큰화 결제 플랫폼 '세투리온' 공식 출시

독일 슈투트가르트증권거래소, 유럽 토큰화 결제 플랫폼 '세투리온' 공식 출시

SEC, 암호화폐 규제 대전환 예고…면책조항·규제 완화 추진

SEC, 암호화폐 규제 대전환 예고…면책조항·규제 완화 추진

댓글

댓글

20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2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ocn5025

2020.11.29 15:31:08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매니아

2020.11.27 15:58:13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향기남

2020.09.16 09:48:08

감사합니다ㆍ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marrey

2020.07.22 22:34:25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2
0

이전 답글 더보기

임곡

2020.05.01 23:37:34

정보감사 합니다

답글달기

0

2
0

이전 답글 더보기

구리구리

2020.04.28 05:14:55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3
0

이전 답글 더보기

구리구리

2019.12.26 04:52:45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3
0

이전 답글 더보기

shr120

2019.12.16 08:15:00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4
0

이전 답글 더보기

학동또디

2019.12.15 13:28:48

감사

답글달기

0

4
0

이전 답글 더보기

지식노동자

2019.12.14 21:50:32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6
0

이전 답글 더보기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