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SKT, 5천억 파라미터 LLM 연내 출시…국산 AI 생태계 속도 낸다

프로필
연합뉴스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SK텔레콤이 올해 말까지 5천억 개 파라미터의 대규모 언어모델(LLM)을 출시하겠다고 발표했다. 산학연 컨소시엄이 협력해 독자적 AI 생태계 구축을 추진한다.

 SKT, 5천억 파라미터 LLM 연내 출시…국산 AI 생태계 속도 낸다 / 연합뉴스

SKT, 5천억 파라미터 LLM 연내 출시…국산 AI 생태계 속도 낸다 / 연합뉴스

유영상 SK텔레콤 대표가 올해 말까지 5천억 개 매개변수를 갖춘 대규모 언어모델(LLM)을 선보일 계획이라고 공식 발표하면서, 국내 인공지능(AI) 기술 경쟁에 한층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이번에 유 대표가 밝힌 LLM 개발 계획은 단순한 기술 연혁을 넘어, 산업 전반에 걸친 활용도를 내세운 것이 특징이다. 그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게재한 글에서 "사무, 제조, 자동차, 게임, 로봇공학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혁신을 이끌겠다"는 구상을 공유하며, 이를 통해 단순한 AI 기술의 개발이 아닌 전 산업적인 전환을 목표로 한다고 설명했다. LLM의 매개변수는 인공지능이 학습하고 판단하는 데 쓰이는 핵심 지표로, 수치가 높을수록 데이터 처리량과 응답의 정밀도가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이번 프로젝트는 정부 주도 아래 민간과 학계가 협력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유 대표는 SK텔레콤 컨소시엄이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한 LLM 구축 사업에서 국내 대표 5대 컨소시엄 중 하나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해당 컨소시엄에는 게임 기업 크래프톤, 자율주행 기술 기반의 포티투닷, AI 칩 업체 리벨리온, 검색 전문 스타트업 라이너, 데이터 수집 기업 셀렉트스타 등이 공동 참여하고 있으며, 서울대학교와 KAIST 같은 국내 대표 연구기관들도 힘을 보태고 있다.

특히 이번 컨소시엄에는 ‘K-AI 얼라이언스’라는 협력망을 통해 래블업, 마키나락스, 노타AI, 트웰브랩스 등 AI 분야의 유망 스타트업들도 함께 참여하고 있다. 이들은 모델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 제공부터 응용 서비스 개발까지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단일 기업이 독자적으로 만들기 힘든 종합적인 AI 개발 인프라를 구축하게 되는 셈이다.

유 대표는 SK텔레콤이 제안하는 LLM 프로젝트가 단순히 모델 개발에 그치지 않고, 데이터 수집에서부터 반도체,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AI 기술의 전체 흐름을 포괄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SKT는 독자적인 AI 플랫폼 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이며, 향후 국가 차원의 디지털 전환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겠다는 가능성을 내비쳤다.

이 같은 흐름은 글로벌 LLM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는 가운데, 한국도 자체 기술 확보를 통해 주도권을 잡고자 하는 전략적 시도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향후 이 컨소시엄이 실제로 경쟁력 있는 모델을 시장에 선보일 수 있다면, 국내 AI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도 한 단계 도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