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엔비디아·오픈AI, 140조 원 투입해 ‘AI 슈퍼 인프라’ 구축 나선다

프로필
연합뉴스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엔비디아와 오픈AI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140조 원 규모의 AI 전용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구축하기로 했다. 양사는 최소 10GW 전력을 사용하는 초대형 인프라를 2026년까지 완공할 계획이다.

 엔비디아·오픈AI, 140조 원 투입해 ‘AI 슈퍼 인프라’ 구축 나선다 / 연합뉴스

엔비디아·오픈AI, 140조 원 투입해 ‘AI 슈퍼 인프라’ 구축 나선다 / 연합뉴스

인공지능(AI) 분야의 대표 주자인 미국 엔비디아와 챗GPT를 만든 오픈AI가 손잡고 초대형 AI 인프라 구축에 나서기로 했다. 엔비디아는 이 프로젝트를 위해 최대 1천억 달러(약 140조 원)를 투자할 계획이다.

이번 협력은 단순한 업무 제휴를 넘어 AI 산업의 핵심 기반을 함께 설계하고 운영하겠다는 전략적 파트너십의 일환이다. 양사는 오는 2026년 하반기를 목표로, 최소 10기가와트(GW) 규모의 전력을 사용하는 대규모 데이터센터 인프라에 엔비디아의 고성능 칩을 적용할 예정이다. 참고로 10GW는 소형 원전 10기에 맞먹는 수준의 전력 규모로, 이만한 전기가 동시에 공급돼야 할 만큼 대단히 집약적인 컴퓨팅 환경이 요구된다는 의미다.

기존 AI 서비스는 서버당 수백 와트 수준을 사용하는 단일 연산 구조에서 운영됐지만, 최근 AI 모델이 거대해지면서 처리해야 할 계산량과 필요한 전횡이 폭증했다. 특히 생성형 AI 분야에서는 훈련과 추론 과정 모두 방대한 컴퓨팅 자원을 요구한다. 이에 따라 대형 테크기업들은 자체 칩 공급망과 데이터센터 운영을 둘러싸고 경쟁적으로 선제 투자에 나선 상황이다.

엔비디아는 자사 그래픽처리장치(GPU)가 AI 학습 및 운영에 최적화돼 있다는 강점을 가진 반면, 오픈AI는 세계 최고 수준의 생성형 AI 모델을 운영하는 기업으로, 실제 컴퓨팅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당사자다. 이번 협력을 통해 두 기업은 각자 강점을 공유해 AI 컴퓨팅 인프라의 기술력과 확장성을 한층 끌어올리는 한편, 미래사업의 경쟁력도 강화하겠다는 의도를 드러냈다.

오픈AI의 최고경영자(CEO) 샘 올트먼은 이번 협력에 대해 “컴퓨팅 인프라는 미래 경제의 핵심 기반이 될 것이며, 엔비디아와 함께 이를 구축해 전 세계 사람들과 기업에 AI 혁신을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단순한 기술 개발을 넘어서, 글로벌 산업 구조의 변화를 이끌 새로운 동력을 마련하겠다는 선언으로도 볼 수 있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AI 산업의 패권 경쟁이 기술력뿐만 아니라 전력 인프라와 자본 투입 역량까지 아우르는 형식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초대형 AI 인프라가 신흥 산업의 기반시설로 떠오르면서, 관련 투자와 구축 주도의 주체가 누가 되느냐에 따라 글로벌 기술 질서가 새롭게 짜여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