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구글, AI에 제동 건다…'에이전트 샌드박스'로 쿠버네티스 보안 강화

프로필
김민준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구글은 쿠브콘 2025에서 AI의 작동 범위를 제어하는 '에이전트 샌드박스'를 공개하며, AI 인프라 통제 강화를 위한 새로운 접근을 선보였다. 해당 시스템은 제한된 환경 내 실행과 보안 규칙 준수를 통해 AI 운용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췄다.

 구글, AI에 제동 건다…'에이전트 샌드박스'로 쿠버네티스 보안 강화 / TokenPost.ai

구글, AI에 제동 건다…'에이전트 샌드박스'로 쿠버네티스 보안 강화 / TokenPost.ai

생성형 인공지능(AI)의 확산 속도가 가속화되면서, 이를 다루는 기술적 통제가 형이상학적 논의를 넘어 실제적인 ‘안전장치’로 요구되고 있다. 이에 구글(GOOGL)은 쿠버네티스(Kubernetes) 플랫폼에서 AI 에이전트의 작동 범위를 제어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도입하며, 복잡한 인프라 환경에서의 AI 운용 안정성을 강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2025년 북미 쿠브콘(KubeCon) 현장에서 구글은 '에이전트 샌드박스(Agent Sandbox)'라는 도구를 공개했다. 이는 제한된 환경에서 AI 에이전트가 작업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으로, 개발자가 사전 설정된 보안 규칙과 도구 범위 내에서만 코드를 실행할 수 있게끔 설계됐다. 구글의 쿠버네티스 엔진 고위 제품 관리자 브랜든 로열은 “이제 AI는 만능 조수라기보다는, 역할과 도구가 명확하게 설정된 특화형 행위자의 위치에 서야 한다”며, 이에 따라 책임 있는 작동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시스템이 도입된 배경은, AI가 인프라에 끼칠 수 있는 예측 불가한 영향력 때문이다. 구글 개발자 관계 엔지니어 모피 라만은 "프로덕션 환경에서 거대 언어모델이 임의 생성한 코드를 그대로 실행한다면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사전 정의된 라이브러리만 접근 가능한 컨테이너형 공간에서 더 저렴하고 안전하게 실패를 경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에이전트 샌드박스는 특히 쿠버네티스에 익숙하지 않은 AI 개발자들에게도 진입 장벽을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낮은 지연시간과 손쉬운 API 설계를 통해 보다 많은 사용자가 에이전트 기반 워크플로우를 구축하도록 돕겠다는 전략이다. 로열은 “에이전트가 사용자를 대신해 조치를 취하도록 하기 위해선, 그만큼의 위험성과 책임도 따른다”며, “이를 관리하는 인프라적 접근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내년에는 AI 에이전트에 최적화된 쿠버네티스 환경이 더 많이 등장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프로젝트의 핵심은 AI의 자유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제약 속에서 효율성과 신뢰도를 극대화하는 데 있다. 더 많은 기업들이 AI 도입을 고민하는 상황에서, 구글이 제안하는 이 새로운 형태의 기술 가드레일은 산업 전반에 걸쳐 중요한 참고 모델이 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