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제시’ 토큰 출시 직후, 스나이퍼 지갑 2곳이 17억 원 차익…베이스 네트워크 플래시블록 주목

프로필
서도윤 기자
댓글 1
좋아요 비화설화 1

베이스 네트워크 기반 ‘제시(JESSE)’ 토큰 출시 직후, 스나이퍼 지갑들이 130만 달러 이상 차익을 올린 것이 온체인 분석을 통해 확인됐다.

 ‘제시’ 토큰 출시 직후, 스나이퍼 지갑 2곳이 17억 원 차익…베이스 네트워크 플래시블록 주목 / TokenPost.ai

‘제시’ 토큰 출시 직후, 스나이퍼 지갑 2곳이 17억 원 차익…베이스 네트워크 플래시블록 주목 / TokenPost.ai

제시(JESSE) 토큰의 출시 순간을 정밀하게 포착한 스나이퍼 지갑들이 단 몇 초 만에 130만 달러(약 17억 원) 이상의 수익을 거둔 사실이 포착됐다. 온체인 분석 플랫폼 버블맵스(Bubblemaps)와 아캄 인텔리전스(Arkham Intelligence)는 해당 거래가 어떻게 이뤄졌는지 구체적으로 밝혔다.

분석에 따르면, 베이스(Base) 네트워크 창립자 제시 폴락(Jesse Pollak)의 신규 크리에이터 토큰 '제시' 계약이 체결되자마자 지갑 주소 0xB102는 약 25만 달러(약 3억 3,000만 원)를 투입해 즉시 토큰을 매입했다. 이 지갑은 토큰이 퍼블릭에 공개되기 전, 즉 계약 주소가 알려지기 전부터 접근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해당 토큰은 0x9572라는 지갑으로 이전됐고, 대부분이 약 80만 달러(약 10억 6,000만 원)에 가까운 가격에 매도됐다. 버블맵스는 이 스나이핑을 ‘계약 생성과 동시에 실행된 고효율 거래’로 평가하며, 약 60만 달러(약 7억 9,000만 원) 수준의 차익이 발생했다고 분석했다.

아캄 인텔리전스는 별도의 보고서에서 유사한 초반 매입 사례 두 건을 추가 포착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두 개의 스나이퍼 지갑이 총 130만 달러가 넘는 수익을 해당 론칭에서 기록했으며, 이 중 하나는 약 19만 1,000달러(약 2억 5,000만 원)를 투자해 토큰의 약 7.6%를 확보했다. 이 지갑은 거래 우선권 확보를 위해 베이스 시퀀서에게 4만 4,000달러(약 5,800만 원)에 해당하는 가스비를 지불하기도 했다.

이와 같은 초단위 매입이 가능했던 배경에는 베이스 네트워크의 핵심 기능인 ‘플래시블록(Flashblocks)’이 있었다. 플래시블록은 2초 단위 블록을 200밀리초 간격의 소블록으로 나누는 구조로, 가격 정보가 올라오자마자 자동화 봇이 매수 주문을 설정할 수 있게 한다. 이 방식은 공개된 밈풀 없이도 같은 블록 내에서 계약 배포와 구매가 동시에 이뤄지도록 만들어, 극단적인 속도전과 정보 전쟁을 가능하게 한다.

크리에이터 토큰 론칭과 관련해, 제시는 초기 공급량의 절반인 5억 개를 유동성 풀로 투입했으며, 이 중 약 2억 6,170만 개가 같은 블록 내에서 매수됐다. 정교한 자동 매수 툴을 보유한 일부 트레이더는 수십억 원에 달하는 순이익을 단번에 쌓아 올렸다.

한편, 베이스는 코인베이스가 인큐베이팅한 이더리움 레이어2 네트워크로, 최근 플래시블록 기능을 도입하며 수익 면에서도 가장 효율적인 L2 플랫폼으로 떠오르고 있다. 갤럭시디지털의 지난 7월 보고서에 따르면, 베이스는 하루평균 약 18만 5,000달러(약 2억 4,000만 원)의 수익을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창립자 기반 토큰의 프론트러닝 이슈가 다시금 부각되고 있으며, L2 플랫폼에서의 자동 스나이핑 기술이 고도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 전략 포인트

공개 정보 탐지 속도가 수익의 핵심이 되고 있는 만큼, 신규 토큰 론칭 시점의 블록 구조와 네트워크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 용어정리

- 스나이핑(Sniping): 토큰 론칭 직후 초고속으로 선매수해 단기 차익을 노리는 행위

- 플래시블록(Flashblocks): 한 블록을 다수의 0.2초 간격 소블록으로 나눠 주문 우선권을 경쟁하게 만든 베이스의 신규 기능

- 시퀀서(Sequencer): 트랜잭션을 순서대로 정렬하고 블록을 생성하는 레이어2 상의 핵심 노드 역할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1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빅리치

07:15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빅리치

2025.11.22 07:15:10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