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마감 브리핑] 분석업체 "알라메다리서치, FTX로 463만 BIT 이체" 外

프로필
토큰포스트 기자
댓글 20
좋아요 비화설화 0
 사진 = 알라메다리서치 CI / 알라메다리서치

사진 = 알라메다리서치 CI / 알라메다리서치

[분석업체 "알라메다리서치, FTX로 463만 BIT 이체"]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업체 룩온체인(Lookonchain)이 트위터를 통해 "알라메다 리서치가 BIT를 매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온체인 데이터를 살펴보면, 알라메다는 약 3시간 전에 463만 BIT(160만 달러)를 FTX로 이체했다"고 밝혔다. 앞서 바이비트의 탈중앙화 자율조직(DAO) 플랫폼 비트다오(BIT) 커뮤니티는 알라메다 리서치가 작년 336만 FTT를 1억 BIT로 전환, 3년간 이를 현금화하지 않기로 한 약속을 이행 중인지 파악 중이라고 밝힌 바 있으며 벤 저우(Ben Zhou) 바이비트 CEO도 그들이 약속을 어기고 1억 BIT를 매도했을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빗썸, 오늘 16시 CTK 입출금 일시 중단...네트워크 업그레이드]

빗썸이 셴투(CTK)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로 인해 오늘 16시 입출금 서비스를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난센 CEO "바이비트 VC, 전날 FTX서 일부 BIT 이체"]

바이비트의 탈중앙화 자율조직(DAO) 플랫폼 비트다오(BIT) 커뮤니티가 알라메다 리서치가 작년 336만 FTT를 1억 BIT로 전환, 3년간 이를 현금화하지 않기로 한 약속을 이행 중인지 파악 중인 가운데, 블록체인 분석 플랫폼 난센(Nansen) CEO 알렉스 스바네빅(Alex Svanevik)이 트위터를 통해 "알라메다 월렛 데이터를 추적한 결과, 알라메다가 1억 BIT를 받은 지 한달여 만에 이를 FTX 월렛으로 이체했으며 그후 FTX가 줄곧 1억 BIT 이상 보유했다. 하지만 어제 잔액이 1억 BIT를 소폭 밑돌았는데, 이는 바이비트 VC 부문 미라나 벤처스에서 진행된 거래 때문이다. 다만, 해당 거래가 미라나 벤처스에서 이뤄졌단 점은 다소 의아하다"고 말했다.

[클레이튼, 카카오 서비스 연계 위한 태스크포스 설립]

클레이튼(KLAY)이 카카오와 협력을 추진하는 '카카오 레버리지 태스크포스(TF)'를 설립했다고 밝혔다. 미디어는 "클레이튼은 지난달 말 설립한 TF를 통해 카카오톡에 탑재된 디지털 지갑 '클립'(Klip)에서 사용자가 보유한 NFT를 카카오톡 서비스와 연계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클레이튼 상의 자산을 카카오톡 서비스 내에서 이용하는 방안과 함께 가상자산 관련 피해 예방을 위한 기술·제도적 해결책도 개발 중이다. 클레이튼은 또 카카오의 블록체인 계열사 그라운드X과 협력해 클레이튼 NFT 생태계 확대에 나서고 있다고 덧붙였다"고 설명했다.

[비트다오, 알라메다에 1억 BIT 보유 증명 요구...불응 시 336만 FTT 처분 검토]

바이비트의 탈중앙화 자율조직(DAO) 플랫폼 비트다오(BIT) 커뮤니티가 알라메다 리서치가 작년 336만 FTT를 1억 BIT로 전환, 3년간 이를 현금화하지 않기로 한 약속을 이행 중인지 파악 중이라고 유력 블록체인 미디어 우블록체인이 트위터를 통해 전했다. 이에 따르면 비트다오 커뮤니티는 알라메다 리서치에 이를 증명할 만한 온체인 주소를 공유할 것을 요청했으며, 24시간 내 응답이 없을 시 현재 보유 중인 336만2316 FTT를 어떻게 처분할지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우블록체인은 "벤 저우(Ben Zhou) 바이비트 CEO는 그들이 약속을 어기고 1억 BIT를 매도했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고 덧붙였다.

[바이낸스, 피네트워크 해킹 피해자 대상 BNB 에어드랍 지원]

바이낸스가 pGALA(BEP20) 보유자 대상 BNB(BEP20) 에어드랍을 골자로 한 피네트워크(PNT) 배상 계획을 지원한다고 공지했다. 11월 3일 19시49분~11월 7일 08시(UTC 기준) 간 바이낸스에서 pGALA(BEP20)를 입금한 이용자는 BNB 에어드랍을 받을 수 있다. 1 pGALA 당 0.00000109 BNB로 에어드랍된다.

[외신 "BIT·FTT 20% 동반 하락...알라메다, BIT 매도 가능성?"]

유력 블록체인 미디어 우블록체인이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비트의 토큰인 BIT와 FTX의 토큰 FTT가 최근 1시간 동안 약 20% 하락했다. 앞서 알라메다 리서치는 지난 2021년 336만 FTT를 1억 BIT로 전환했으며 양 거래소는 이를 3년 이내에 현금화 하지 않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고 밝혔다. 다만 미디어는 BIT 가격 하락 이유가 알라메다리서치 매매 움직임과 관련이 있는지 여부는 따로 언급하지 않았다. 코인마켓캡 기준 BIT는 20.85% 하락한 0.3241 달러에, FTT는 21.14% 내린 17.52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3개 휴면 주소, 바이낸스로 8950만달러 상당 BNB 이체...매도 가능성 시사]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업체 룩온체인(Lookonchain)이 트위터를 통해 "3개 휴면 주소가 활성화돼 총 26만3247 BNB(약 8950만달러)를 바이낸스로 이체했다"며 BNB 대량 매도 가능성을 시사했다.

[FATF, 암호화폐 업체 자금세탁방지 이행 여부 점검 예정]

알자지라에 따르면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는 암호화폐 업체가 자금세탁 및 테러자금조달 방지 규칙을 이행 중인지 여부를 각국이 감독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연례 점검에 나설 예정이다. 암호화폐 AML 지침을 준수하지 않는 국가는 FATF 그레이 리스트(grey list)에 오를 수 있다. 현재 그레이 리스트에 포함된 국가는 시리아, 남수단, 아이티, 우간다 등 23개국이다.

[野 "금투세 예정대로 내년 1월 시행"]

더불어민주당은 주식양도소득세 완화 등 정부와 여당이 추진 중인 초부자감세 법안을 정기국회 내 처리할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또 주식과 펀드 등 금융투자로 얻은 수익에 세금을 매기는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는 예정대로 내년 1월 시행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금투세는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에 투자해 연간 5천만원 이상의 양도차익을 얻은 투자자에게 부과하는 양도소득세다.

[FTT 보유 주소, 전날 대비 119개 줄어]

OKLink에 따르면 FTT를 두 번째로 많이 보유한 FTX 거래소 주소 24시간 FTT 보유량이 935.49만개(+19.11%) 늘었다. 현재 FTT 보유 주소 수는 21,004개로 전날보다 119개 줄었다.

[바이낸스 CEO "12시간 전 $4400만 FTT 입금, 바이낸스 매도 물량 아냐"]

FTT, SOL 낙폭이 확대된 가운데, 12시간 전 190만 FTT($4400만)가 제네시스 OTC 데스크가 FTX로 이체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자오창펑 바이낸스 CEO는 바이낸스 매도 물량이 아니라고 밝혔다고 우블록체인이 전했다. FTT는 $18를 반납한 상태다.

[FTT 18달러 선으로 하락...24시간 기준 18.19%↓]

지난 6일 자오창펑 바이낸스 최고경영자(CEO)가 지난해 FTX 지분 엑싯으로 받은 $21억 어치 BUSD, FTT 중 FTT 전량 처분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FTT가 18 달러 선까지 일시 하락했다. FTX 기준 FTT는 현재 18.19% 하락한 18.41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앞서 FTX의 BTC 보유량도 0 BTC에 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디파이 플랫폼 원더파이, 블록체인 파운드리 인수]

디파이 플랫폼 원더파이 테크놀러지스(WonderFi Technologies)가 북미 블록체인 비즈니스 컨설팅 업체 블록체인 파운드리(Blockchain Foundry Inc)를 인수했다. 원더파이는 블록체인 파운드리의 주식 약 1억 2197만주를 모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구체적인 인수액은 알려지지 않았다. 앞서 코인니스는 원더파이가 지난 3월 캐나다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바이(Bitbuy)를, 4월에는 코인베리(Coinberry)를 인수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보안업체 "디파이세이프 프로젝트 엑시트 스캠...토큰 99% 하락"]

블록체인 전문 보안업체 서틱(CertiK)이 디파이세이프(DSAFE) 프로젝트가 엑시트 스캠으로 파악됐으며 토큰 가격은 99% 하락했다고 밝혔다. 피해액은 약 12만7000 달러로 추정된다.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댓글

댓글

2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2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머니마이닝

2022.11.09 22:34:31

기사 잘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구리구리

2022.11.09 08:28:52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황금박쥐

2022.11.09 08:24:36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키리나

2022.11.09 07:27:57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jbm장미

2022.11.09 06:32:30

좋아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gymboree

2022.11.09 05:08:53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보노

2022.11.09 03:25:46

금투세 진짜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블루레인

2022.11.09 01:40:13

잘봤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양주사랑

2022.11.09 00:22:24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기쁨이

2022.11.08 22:50:10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