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중앙은행, 1Q CBDC 국가간 결제 시스템 개발 착수]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러시아 중앙은행이 1분기 디지털 루블화(CBDC) 국가간 결제 시스템 개발에 착수한다. 러시아 중앙은행은 이와 관련 두 가지 모델을 연구할 예정이다. 첫 번째 모델은 각 국가별로 러시아와 별도의 양자 협정을 체결, CBDC 시스템을 통합하는 것이다. 두 번째 모델은 여러 국가가 연결 가능한 허브 플랫폼을 구축하고 통일된 프로토콜과 표준을 공유하는 것이다. 러시아 금융혁신협회(Financial Innovations Association, AFI) 이사회 의장인 로만 프로호로프(Roman Prokhorov)는 "첫 번째 모델이 구현하기는 더 간단하지만 국가 간 상호작용에는 후자가 유리하다"고 말했다. 앞서 러시아 중앙은행은 2024년 내 디지털 루블화를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라인 넥스트, 핑거랩스와 NFT 프로젝트 협업 위한 업무협약]
글로벌 메신저 플랫폼 라인의 글로벌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 이하 NFT) 플랫폼 자회사인 라인 넥스트(LINE NEXT Inc 대표 고영수)가 FSN의 블록체인 전문 자회사인 핑거랩스(Fingerlabs)와 글로벌 NFT 플랫폼 ‘도시(DOSI)’를 통한 NFT 프로젝트 협업을 위해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라인 넥스트가 운영하는 NFT 플랫폼 ‘도시’의 글로벌 유저들에게 핑거랩스의 블루칩 NFT를 포함한 유명 IP 기반 프로젝트를 선보일 계획이다.
[플레어 네트워크, XRP 보유자에 42.8억 FLR 에어드랍 완료]
플레어 네트워크(Flare Network)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XRP 보유자에게 현재까지 FLR 토큰 42억 8000만개가 에어드랍 됐다고 밝혔다. 이는 전체 공급량의 15% 수준이며, 나머지 85%는 향후 3년 동안 단계적으로 유통될 예정이다.
[메이투 창업자 관련 주소, 컴파운드에 1.8만 ETH 상환 후 바이낸스에 8000 ETH 이체]
온체인 애널리스트 비트코인엠버(@BitcoinEmber)가 트위터를 통해 "암호화폐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한 중국계 뷰티앱 개발사 메이투(Meitu) 창업자 차이원성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는 한 주소가 전날 밤 컴파운드에 1.8만 ETH를 상환한 뒤 8000 ETH를 바이낸스로 이체했다"고전했다.
[비트코인 신탁 운용사 오스프리 정리 해고 단행...임원 포함 10명 남아]
야후 파이낸스가 소식통을 인용해 암호화폐 전문 투자사 오스프리 펀드(Osprey Funds)가 최근 직원 15명을 해고해 임원 4명을 포함해 현재 직원이 10명 수준이라고 보도했다. 미디어는 "이번 해고는 오스프리 펀드가 당초 계획했던 헤지펀드 출시가 무산된 데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빗썸, XRP 보유자 대상 FLR 에어드랍 지원]
빗썸이 2020년 12월 12일 09시 기준 리플(XRP) 보유자 대상 플레어네트워크(FLR) 에어드랍을 지원한다고 공지했다. 오늘 안으로 지급되며 FLR 출금은 10일 17시부터 지원 예정이다.
[컨센시스, zkEVM 비공개 베타 서비스 가동]
이더리움(ETH) 인프라 개발사 컨센시스가 zkEVM 비공개 베타 서비스가 가동을 시작했다고 디파이 프로젝트 언드롭 팀원 올림피오가 트위터를 통해 전했다. 지난해 11월 화이트리스트 등록을 신청한 이용자에게 시작 방법, 골리 ETH 연결 등 지침이 포함된 이메일에 발송됐다. 앞서 컨센시스는 zkEVM 비공개 베타 테스트넷을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zkEVM은 코드나 별도의 규칙 변경 없이 이더리움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포팅되는 영지식증명(zk) 롤업의 한 유형이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메타마스크, 트러플, 인퓨라 등을 통해 마치 EVM을 직접 사용하는 것처럼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을 배포 및 관리할 수 있다.
[안랩 'ABC 월렛' 모바일 버전 출시]
안랩의 블록체인 자회사 안랩블록체인컴퍼니가 웹3 지갑인 'ABC 월렛'을 구글플레이와 애플 앱스토어에 출시했다고 밝혔다. 모바일용 ABC 월렛은 송금 시 사기 및 위험거래 연루 주소에 대한 위험 안내 기능 등이 탑재돼 있다. 특히 ABC 월렛은 '시큐어 MPC' 기술을 도입해 키 관리에 있어 보안성과 편의성을 높였다는 것이 안랩블록체인컴퍼니의 설명이다.
[포브스 "2개월간 바이낸스서 $120억 암호화폐 유출...순자산 24% 감소"]
포브스가 암호화폐 데이터 분석업체 자료를 종합해 분석한 결과, 지난 2개월간 바이낸스에서 $120억 암호화폐가 유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BNB 가치는 29% 하락했고, 거래소의 BNB 보유량은 2900만개로 2달 간 51% 감소했다. 해당 기간 BUSD 보유량도 40% 감소했다. 순자산은 24% 감소했다.
[매트릭스포트, 체이널리시스와 협업...사기 방지 모니터링 개선]
크라우드펀드인사이더에 따르면 싱가포르 소재 암호화폐 금융 서비스 업체 매트릭스포트(Matrixport)가 규정 준수 및 사기 방지 모니터링을 위해 블록체인 분석 업체 체이널리시스와 협력한다고 밝혔다. 체이널리시스의 컴플라이언스 제품군에는 KYT(Know Your Transaction), AML(Anti-Money Laundering), 암호화폐 트랜잭션 실시간 모니터링이 포함된다.
[美 로펌 포메란츠, BTC 채굴업체 코어 사이언티픽에 집단 소송 제기]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미국 뉴욕 소재 로펌 포메란츠(Pomerantz LLP)가 최근 텍사스 남부파산법원에 챕터 11 파산보호를 신청한 미국 암호화폐 채굴 업체 코어 사이언티픽(NASDAQ: CORZ)에 대해 집단 소송을 제기했다. 포메란츠는 "자본시장 연구기관인 컬퍼 리서치(Culper Research)의 공매도 보고서에 따르면 코어사이언티픽은 지난해 채굴 및 호스팅 사업 부문의 실적을 부풀렸으며, 자사 주식 2억 8200만주의 180일 락업 해제 의무를 져버리고 단 5거래일 만에 이를 매도하도록 허용했다. 이로 인해 소액 주주들에게 큰 피해를 끼쳤다"고 설명했다.
[리플 대변 변호사, 법원에 셀시우스 XRP 홀더 FLR 에어드랍 승인 신청]
유투데이에 따르면 리플(XRP) 커뮤니티를 대변하는 미국 변호사 존 디튼(John Deaton)이 셀시우스 내 XRP 보유자가 플레어네트워크(FLR) 에어드랍을 받을 수 있도록 법원에 신청서를 제출했다. 이에 플레어네트워크 CEO 휴고 필리온(Hugo Philion)은 "법원이 이를 승인하길 희망한다"고 트윗했다.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26...극단적 공포 -> 공포 전환]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대비 1포인트 오른 26을 기록했다. 극단적 공포단계에서 공포단계로 전환됐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공포 탐욕 지수는 변동성(25%), 거래량(25%), SNS 언급량(15%), 설문조사(15%), 비트코인 시총 비중(10%), 구글 검색량(10%) 등을 기준으로 산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