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 소송 추적 변호사 "법원에 관련 문서 모두 제출...결과만 남았다"]
리플(XRP)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간의 '미등록 증권 판매' 소송을 지속적으로 추적해온 미국 연방 검사 출신 변호사 제임스 K. 필란(James K. Filan)이 트위터를 통해 "법원에 내야 할 모든 문서를 제출했으며, 이제 결과를 기다리는 일만 남았다"고 밝혔다. 앞서 리플랩스 CEO 브래드 갈링하우스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항상 합의하고 싶다고 밝혀왔다. 단, 합의는 SEC가 XRP를 증권이 아니라고 인정할 때만 가능하다. 또 SEC와의 소송은 올 상반기 끝날 것으로 낙관한다”고 말한 바 있다.
[팬텀, 생태계 지원 위한 볼트 구축]
텀(FTM) 재단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생태계 지원을 위한 에코시스템 볼트(Ecosystem Vault)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팬텀은 거버넌스 제안을 거친 뒤 생태계 프로젝트의 자금 지원 여부를 결정한다. 찬성률이 55%를 통과했을 때만 볼트를 통한 지원이 가능하다. 해당 볼트는 팬텀 거래 수수료의 10%를 통해 자금을 확보한다.
[보안업체 "제네시스 트레이딩 추정 주소, 3개 거래소로 75,000 ETH 이체"]
블록체인 보안 전문 업체 펙실드(PeckShield)가 트위터를 통해 제네시스 트레이딩으로 라벨링 된 주소에서 코인베이스, 비트스탬프, 크라켄으로 1억 1400만 달러 상당의 75,000 ETH가 이체됐다. 또 같은 주소는 같은 거래소 3곳에 총 3600만 USDT도 이체했다.
[바이낸스 호주 CEO "FTX 운영 재개해도 고객들 돌아가지 않아...신뢰 상실"]
존 제이 레이 3세 FTX CEO가 월스트리트저널 인터뷰에서 거래소 운영 재개 가능성을 언급한 가운데 코인텔레그래프는 암호화폐 업계가 실현 가능성이 낮은 주장이라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해 바이낸스 호주 법인 최고경영자(CEO) 레이 트레버스는 "FTX가 암호화폐 거래를 위한 라이선스를 다시 획득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미 많은 FTX 이용자들이 바이낸스로 넘어왔으며, 이들이 다시 FTX로 돌아가도 괜찮다고 느끼기는 힘들 것이다. 특히 그들은 알라메다 리서치에는 특혜를 제공하고 개인 투자자는 '2급' 고객으로 취급했다"고 지적했다. 또 호주 디지털자산 전문 변호사 리암 헤네시(Liam Hennessy)도 "우선 라이선스를 다시 받을 수 있느냐 하는 문제가 가장 큰 걸림돌이다. 물론 일부 규제가 취약한 국가에서는 라이선스를 받을 수도 있다. 하지만 라이선스를 받더라도 사용자들이 돌아가지 않는다면 모두 무용지물"이라고 강조했다.
[파이오넥스, 제3자 감사 완료...주류 자산 담보 비율 100% 이상]
싱가포르 기반 거래소 파이오넥스(Pionex)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제3자 감사기관으로부터 감사를 받았다고 공지했다. 이번 감사는 홍콩 소재 엘리트 파트너스(Elite Partners)와 무어(Moore) 2곳이 수행했다. 파이오넥스는 "감사결과, 파이오넥스의 주류 자산 담보 비율은 100%로 이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BTC 담보 비율은 117%, ETH는 110% 수준이었다"고 설명했다.
[제네시스, 상위 채권자 50명에 35억 달러 빚져]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챕터11 파산을 신청한 암호화폐 대출업체 제네시스가 상위 채권자 50명에게 35억 달러 이상을 빚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호화폐 거래소 제미니($7억 6600만), 대형 트레이딩 업체 컴벌랜드($1870만), 바이비트 투자사 미라나($1억 5150만), 바벨 파이낸스 배후 업체 문알파 파이낸스($1억 5000만), 반에크 뉴파이낸스인컴펀드($5300만) 등이 이름을 올렸으며, 알려지지 않은 채권자 또한 4억 6220만 달러, 2억 3000만 달러로 상위권에 랭크됐다. 디센트럴랜드 CFO를 연락처로 게시한 'Heliva International Corp'은 5500만 달러로 이름을 올렸으나, 디센트럴랜드 측은 회사의 공식 투자가 아니라고 부인했다.
[아즈텍 네트워크, 아즈텍 커넥트 로컬 개발자 테스트넷 출시]
ZK롤업 기반 이더리움(ETH) 프라이버시 보호 솔루션 아즈텍(Aztec) 네트워크가 트위터를 통해 아즈텍 커넥트(Aztec Connect) 개발자를 위한 로컬 개발자 테스트넷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개발자가 자신의 컴퓨터에서 이더리움 메인넷 포크를 실행해 더욱 제어된 개발자 환경 구축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아즈텍 네트워크는 지난 12월 a16z 주도로 1억 달러 규모 시리즈 B 라운드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크립토 트레이더, 제네시스 채권자 목록 공개]
크립토 트레이더 Hsaka가 제네시스 채권자 목록을 정리해 트위터를 통해 전했다. 아래는 코인니스가 정리한 내용.
제미니 : 7억 6,500만 달러
바이빗 : 1억 5,100만 달러
문알파 : 1억 5,000만 달러
코인시던트캡 : 1억 1,000만 달러
디센트럴랜드 : 5,500만 달러
반에크 : 5,300만 달러
아브라 : 3,000만 달러
컴버랜드 : 1,800만 달러
스텔라 파운데이션 : 1,300만 달러.
[제미니 창업자 "DCG, 채권자에게 공정한 딜 거부...소송 준비"]
카메론 윙클보스 제미니 공동 창업자가 트위터를 통해 "제네시스 캐피탈이 챕터11 파산 신청을 했다. 귀하(고객)의 자산을 복구할 수 있는 중요한 단계다. 수용 가능한 솔루션을 협상하기 위해 24시간 내내 노력중이나, DCG(제네시스 모회사)는 채권자에게 공정한 딜을 계속해서 거부하고 있다"면서 "34만명 이상의 제미니 언 사용자들과 다른 사람들에게 피해를 입힌 사기 행위에 책임을 지닌 DCG 및 CEO 배리 실버트를 상대로 직접적인 법적 조치를 준비하고 있으며, 채권자에게 공정한 제안을 안한다면 즉시 소송을 제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제네시스, DCG, 배리 실버트는 채권자들에게 돈을 돌려줄 뿐만 아니라 설명을 제공할 의무가 있으며, 파산법원은 이에 적절한 장소를 제공한다"고 덧붙였다.
[미나프로토콜-이더리움 zk브리지 제품 출시 준비]
영지식(ZK) 기술 개발 업체인 닐 파운데이션이 블로그를 통해 미나프로토콜(MINA), 이더리움(ETH)간 브리지를 실현한 zk브리지 제품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닐 파운데이션은 브리지가 작동하기 위한 세 가지 조건인 △증명 생성 △최적화 △검증자 배치 프로세스를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바이프로스트, 드로우샵 킹덤 리버스와 파트너십]
멀티체인 미들웨어 플랫폼 바이프로스트(BFC)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클레이튼 P2E NFT 프로젝트 드로우샵 킹덤 리버스(DKR)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DKR은 바이프로스트 디앱에 합류하게 된다. 코인마켓캡 기준 BFC는 현재 2.95% 오른 0.06904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블룸버그 "괴한 3명, 차 몰고 SBF 부모 집 바리케이트 들이받아"]
룸버그 통신이 법원 문서를 인용해 괴한 3명이 샘 뱅크먼 프리드(SBF) FTX 창업자의 부모 집에 설치된 바리케이트를 차로 들이받는 사건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미디어는 "SBF 담당 변호인은 이같은 이유로 SBF 보석금 보증인의 신원을 공개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특히 FTX 파산 사태가 언론의 집중적인 관심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부모를 포함해 보석 보증인의 신원이 공개될 경우 상당한 위협에 시달릴 수 있다고도 덧붙였다"고 설명했다. 앞서 블룸버그 통신과 로이터 통신, 파이낸셜 타임즈 등 유력 언론 8곳은 지난 13일 SBF의 보석 보증인 2명에 대한 신원을 공개해달라고 미국 뉴욕지방법원에 요청한 바 있다.
[제네시스 글로벌 캐피털, 챕터 11 파산 신청]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제네시스 글로벌 캐피털(제네시스)이 뉴욕연방지방법원에 챕터 11 파산을 신청했다.
[상위 100개 이더리움 고래 지갑, 24시간 WETH·WBTC 매집]
상위 100개 이더리움 고래 지갑이 지난 24시간 동안 가장 많이 구매한 토큰은 다음과 같다. 스테이블코인은 제외.
1. WETH $124,778
2. WBTC $21,757
3. MATIC $15,357
4. SHIB $6,097
5. CRV $3,227
6. AWETH $2,485
7. AAVE $1,852
[카자흐스탄 상원의원 "국내 암호화폐 거래자 100만명 추산...규제 마련 시급"]
현지 미디어 더페이퍼에 따르면 세르게이 카르풀류크 카자흐스탄 상원의원이 최근 본회의 발언을 통해 "국내 암호화폐 사업들이 모두 사각지대에 놓여있기 때문에 서둘러 규제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카자흐스탄에서 암호화폐 거래 경험이 있는 국민이 약 100만명 수준인 것으로 추산된다. 그럼에도 암호화폐 사업은 관리·감독 밖에 벗어나 있다. 카자흐스탄 내 암호화폐 채굴자들은 해외 인프라를 활용하기 때문에 국내 담당 부서가 정확한 규모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카자흐스탄은 올해 초부터 암호화폐 채굴자에게 누진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ZK오라클 네트워크 하이퍼 오라클, $300만 규모 프리 시드 투자 유치]
ZK 오라클 네트워크인 하이퍼 오라클(Hyper Oracle)이 300만 달러 규모의 프리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투자는 다오5(dao5)와 세쿼이아 차이나 시드 펀드(Sequoia China Seed Fund) 공동으로 주도했으며 포사이트 벤처스(Foresight Ventures), 퓨처머니그룹(FutureMoney Group) 등이 참여했다. 투자금은 ZK 미들웨어 프로토콜 및 ZK 오라클 네트워크의 개발과 영지식 증명 기술의 연구에 사용될 예정이다.
[제네시스 임시 CEO, 트위터 계정 삭제]
약 2만 명의 트위터 팔로워를 보유한 크립토 인플루언서 앤드류(Andrew)가 트위터를 통해 암호화폐 대출업체 제네시스 임시 CEO인 데라 이슬림(Derar Islim)이 자신의 트위터 계정을 삭제했다고 밝혔다. 앞서 데라 이슬림은 지난 4일 고객에게 서한을 통해 "가능한 빨리 움직이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으나, 모든 고객에게 최상의 결과를 제공하는 솔루션을 찾는데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비트코인 채굴 재생에너지 사용률 58.9%.. 직전 분기比 0.5%p↓]
크립토슬레이트에 따르면 비트코인채굴위원회(BMC)가 4분기 보고서를 발표 BTC 채굴에 사용된 재생에너지 비율이 58.9%로 직전 분기 59.4% 대비 0.5%p 감소했다고 밝혔다. BTC 채굴 해시레이트는 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했고, 전력 사용량은 25%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NFT 카드 게임 패럴렐, 2월 중 온라인 쇼핑몰 오픈]
NFT 기반 카드 게임 패럴렐(Parallel)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오는 2월 NFT를 비롯해 실물 아이템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을 오픈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해당 쇼핑몰은 미국 달러를 비롯해 PRIME, ETH 결제를 지원할 예정이다.
[로빈후드, 암호화폐 월렛 모바일앱 공식 출시]
디크립트에 따르면 온라인 거래 플랫폼 로빈후드가 모바일 앱 버전 암호화폐 월렛을 공식 출시했다. 해당 월렛은 현재 대기자 100만명을 대상으로 순차적으로 서비스를 개시 중이다. 로빈후드 월렛은 현재 폴리곤(MATIC) 블록체인을 통한 수수료 없는 스왑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20일부터 이더리움(ETH) 블록체인을 지원할 예정이다. 앞서 로빈후드는 지난해 9월 대기자 10,000명을 대상으로 베타 버전을 출시한 바 있다.
[오르빗체인, 6차 ORC 바이백·소각 완료...472만 ORC 소각]
크로스체인 프로젝트 오르빗체인(ORC)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제6차 ORC 바이백 및 소각을 완료했다고 20일 발표했다. 6차 바이백 및 소각은 지난 9일부터 19일까지 진행됐으며, 이번 라운드에서는 총 4,729,689.110052414 ORC가 바이백 및 소각됐다. ORC 바이백 및 소각에는 오르빗브릿지로부터 지급받은 레이어 수수료와 이더리움 및 BNB체인 상에서 발생한 수익이 사용됐다.
[분석 "2023년, 강세장 위한 준비 기간...BTC 하락시 분할 매수 권고"]
크립토퀀트(CryptoQuant) 기고자 댄림(Dan Lim)이 "올해는 2022년 약세장과 달리 강세장을 위한 준비 기간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그는 "BTC 미결제약정과 레버리지 비율을 보면, FTX사태 이후 급격히 하락했다. 두 지표는 최근 비트코인 강세에도 여전히 증가하지 않고 있다. 이는 시장 참여자들의 관심이 적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시장이 가벼워진 상황이다. 이같은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BTC가 하락하거나 저점을 깬다면 추이에 따라 적극적인 분할 매수를 고려해보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오일러, 담보 자산에 cbETH 추가]
탈중앙화 대출 플랫폼 오일러(Euler)가 코인베이스의 이더리움 유동성 스테이킹 토큰(cbETH)을 담보 자산에 추가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최대 30억 달러 상당의 자금을 확보하게 됐다는 것이 오일러 측의 설명이다. cbETH 스테이커는 토큰 고유 스테이킹 APY와 이자를 받게 된다.
[피블, 2023년 로드맵 발표...올 1분기 피블 2.0 출시]
피블(PIB)이 공식 채널을 통해 피블 2.0 출시 등 2023년 로드맵을 발표했다. 피블 2.0은 웹3 기반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NFT를 서비스 전반에 활용한다는 것이 피블의 설명이다. 이외에 피블은 올 1분기 멀티체인 지원을 확대하는 한편 2분기에는 PIB DAO를 통합 구축하고 이용자 데이터를 활용한 피블 활동 지수를 개발할 방침이다. 3분기에는 피블 2.0 인공지능(AI) 통합 적용하고 4분기에는 파트너 확장에 주력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