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마감 브리핑] 이창용 한은 총재 "국민 16% 가상자산 계좌 갖고 있다는 것에 우려 크다"

프로필
토큰포스트 기자
댓글 30
좋아요 비화설화 0
 사진 = shutterstock

사진 = shutterstock

[이창용 한은 총재 "국민 16% 가상자산 계좌 보유...우려스러운 지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방송기자클럽 초청 토론회'에 참석해 "우리나라 국민 중 16%가 가상자산 계좌를 갖고 있다는 것에 대해 우려가 크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저는 가상자산에 투자한 적도 없고, 투자 대상으로는 여러 위험이 있다고 생각한다. 다만 가상자산과 관련된 기술들로 새로운 산업을 만드는 건 열어놔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젊은층이 (가상자산 관련) 여러 사업을 생각하고, 대기업도 다양하게 투자하고 있다. 가상화폐 환경에서 투기보다는 관련 산업이 발전할 수 있도록 대안을 마련해주는 게 어떻겠냐는 취지에서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가상화폐인 CBDC 발행을 적극적으로 고민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창용 "물가 2% 목표 수렴시 금리 인하 논의"]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7일 "소비자물가가 2% 물가안정 목표로 수렴한다는 확신이 들 때 금리 인하를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그는 "현재 물가는 4% 후반인데, 올해 말 3%대로 수렴하는 것을 볼 때까지 금리를 올리냐, 동결하냐를 고민할 것이다. 또 향후 3개월까지는 금통위원 6명 중 5명은 3.75%까지 올릴 가능성을 열어 두자고 했다"고 설명했다.

[FIU, 이달 코인마켓 거래소 20여곳 종합검사 추진]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FIU)은 이번 달 가상자산 사업자 등을 대상으로 종합 검사에 나설 예정이다. 이번 검사 대상으로는 포블게이트, 지닥, 플라이빗 등 20여개 코인마켓거래소가 꼽힌다. 업계에서는 FIU가 이번 검사를 통해 거래소 내에 가상자산을 이용한 자금 세탁이 있지 않았는지 중점적으로 들여다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한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거래소들의 자전거래, 금액을 받고 상장해 주는 ‘대가성 상장’ 등이 주요 문제로 지적됐던 만큼 당국은 이러한 부분에 대해 문제가 있지 않았는지에 대해서도 점검할 것으로 보인다. 이후 금융 당국은 업비트, 빗썸 등 주요 5대 원화마켓거래소를 포함한 기타 사업자에 대한 검사를 진행한다. 올해 검사에 특이점이 있다면 지난해 검사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던 가상자산 사업자들에도 검사를 진행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업계에서는 이번 검사 대상에 가상자산 운용 회사 하이퍼리즘과 델리오가 포함될 것으로 보고 있다.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포캐스트 랩스, NFT 인덱스 21종 출시]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포캐스트 랩스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NFT 인덱스(지수) 21종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가장 주력 인덱스로 내세운 '포캐스트 500 NFT'는 수십억개의 온체인 데이터를 종합해 지수를 산출한다는 것이 포캐스트 랩스의 설명이다. 포캐스트 랩스는 올해 말 추가 인덱스도 공개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코인니스는 지난 1월 NFT 데이터 플랫폼 크립토슬램(CryptoSlam)과 온라인 미디어 포캐스트(Forkast)가 합병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두희 "메타콩즈 부활 위한 로드맵 구상...약 3개월 뒤 발표 계획"]

메타콩즈 경영진과 법적 분쟁을 겪다 최근 무혐의 처분을 받은 이두희 멋쟁이사자처럼(멋사) 대표가 일요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메타콩즈 부활을 위한 구체적인 로드맵을 구상하고 있으며, 2~3개월 정도 깊이 고민한 뒤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어느 정도 가안을 공개하자면 메타콩즈 캐릭터인 고릴라부터 이름까지 모든 걸 다 바꿀 생각이다. 그 정도 각오가 아니면 안 된다. 메타콩즈의 보상 가상자산(코인)인 MKC(메타콩즈)도 수습하기 위해 어떤 방식이 가장 좋을지 구상 중이다. 각 대기업과도 협업을 더 많이, 더 단단히 하기 위해서도 노력 중"이라고 설명했다.

[美 법원, SEC vs 리플 소송 전문가 증언 배제 신청 판결..."유리한 쪽 없다"]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유투데이에 따르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리플(XRP)이 진행 중인 '미등록 증권 판매' 소송 담당 판사 아날리사 토레스(Analisa Torres)가 최근 원고와 피고 측이 제기한 '전문가 증언 배제 신청'(Daubert Motions) 관련 판결을 내렸다. 이와 관련 미디어는 "이날 판결이 원고와 피고 어느쪽에게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는 정도는 아니었으며, 양측이 제기한 신청 중 일부만이 인용되고 나머지는 기각됐다. 다만, 리플 측이 제기한 '패트릭 두디'(Patrick Doody)의 증언 배제 신청이 인용된 것은 주목할만한 부분"이라고 진단했다. SEC는 앞서 XRP 토큰 구매자들의 '리플 측에 의존하는 토큰 상승 기대치'를 분석하기 위해 패트릭 두디를 고용한 바 있지만, 법원이 리플 측의 신청을 인용함에 따라 두디의 증언은 법정에서 활용될 수 없다. 이와 관련 리플 지지자로 유명한 미국 암호화폐 전문 변호사 제레미 호건(Jeremy Hogan)은 "SEC가 XRP 토큰 구매자들의 '타인에 의한 수익 기대치'를 증명할 수 있는 유일한 전문가 증언이 배제됐기 때문에 이번 소송에서 SEC는 어려운 위치에 놓이게 됐다"고 평가했다.

[3대 선물 거래소 BTC 무기한 선물 롱숏 비율]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미결제 약정 규모 기준 세계 3대 암호화폐 마진 거래소 내 최근 24시간 BTC 무기한 선물 롱·숏 포지션 비율은 다음과 같다.

1. 바이낸스 (BTC-USDT, 시장 점유율 29.3%)

롱 49.56% | 숏 50.44%

2. 바이비트 (BTC-USDT, 시장 점유율 14.6%)

롱 49.54% | 숏 50.46%

3. 비트겟 (BTC-USDT, 시장 점유율 12.83%)

롱 49.54% | 숏 50.46%

[가상자산 법안, 정무위서 '공회전'…이번에도 '뒷전'으로 밀리나]

국회 정무위원회가 오는 9일 법안심사 제1소위원회에서 가상자산 법안을 78개 안건 중 34번째로 논의할 것으로 전해졌다. 앞선 법안소위에서는 금융위원회 소관 안건 중에서도 후순위였던 것과 달리, 이번에는 금융위 소관 안건 중 가상자산 법안이 앞부분에 배치됐다. 논의가 시급하다는 데 어느 정도 공감이 이뤄졌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하지만 1번째부터 33번째까지 국가보훈처 소관 안건이 자리해, 가상자산 법안이 논의 및 의결에 이르기까지는 절대적인 시간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날 법안소위는 오후 공청회 일정으로 오전에만 열린다. 논의가 필요한 가상자산 관련 법안은 총 17개다. 34번째부터 50번째까지의 안건이 모두 가상자산 관련 제정안 및 개정안이다.

[수이, 0.28 버전 업데이트서 프로그래밍 가능 트랜잭션 기능 도입]

레이어1 블록체인 수이(SUI)가 7일 공식 채널을 통해 다가오는 0.28 버전 출시와 관련 주요 업데이트 사항을 공유했다. 이번 업데이트에서 수이 네트워크에는 기존 트랜잭션 유형을 대체하는 프로그래밍 가능 트랜잭션 기능이 도입되며, 사용자는 해당 트랜잭션 기능을 통해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는 게 수이 측의 설명이다.

[스페인, 암호화폐 활용 부동산 매매 가장 활발]

전세계에서 암호화폐를 이용한 부동산 매매가 가장 활발한 국가는 스페인인 것으로 조사됐다고 비트코인닷컴이 포렉스 서제스트 보고서를 인용해 전했다. 스페인에서 부동산 매매에 암호화폐를 이용한 사례는 289건이었다. 태국과 포르투갈은 각각 227건, 130건으로 2~3위를 차지했다. 암호화폐로 매매 가능한 부동산 중 캐나다 소재 매물이 가장 비쌌다. 평균 매매가는 250 BTC였다.

[외신 "EOS 창업자, 실버게이트 주식 투자로 최소 $7,400만 손실"]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프로토스가 "이오스(EOS) 창업자이자 전 EOS 개발사 블록원의 창업자인 브렌단 블러머(Brendan Blumer)는 크립토 친화적 미국 은행 실버게이트(Silvergate) 주식 투자로 최소 7,400만 달러의 손실을 봤을 것"이라고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브렌단 블러머는 지난해 11월 실버게이트 지분 투자를 발표하며 블록원과 개인 명의로 9.27%의 지분을 약 9,000만 달러에 사들인 바 있다. 실버게이트는 파산한 암호화폐 거래소 FTX 및 알라메다 리서치를 고객으로 둔 은행으로, 최근 미국 규제 기관들의 조사에 직면해 있다. 브렌단 블러머 투자 시점 기준 실버게이트의 주가는 80% 이상 떨어졌으며, 이에 따른 잠정 손실은 최소 7,400만 달러 규모다.

[특정 고래, 거래소에서 본인 주소로 360만 MASK 이체]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업체 룩온체인(Lookonchain)에 따르면 '0xEf7C'로 시작하는 고래 주소가 바이낸스, OKX, 쿠코인, 후오비 등 여러 거래소에서 약 360만 MASK를 본인 주소로 이체했다. MASK 가격이 27% 상승한 게 이 때문일 수 있다고 룩온체인은 분석했다.

[아디다스, NFT 보유자 대상 '인투 더 메타버스' 행사 개최]

아디다스의 NFT 프로젝트인 인디고 허츠(Indigo Herz)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오는 25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에서 '인투 더 메타버스(ITM)' 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ITM NFT 보유자는 오는 8일 13시(동부표준시)부터 참가 티켓을 수령할 수 있다.

[바이낸스, 교차 마진 및 차입 가능한 자산 5종 추가]

바이낸스가 교차 마진(Cross margin) 및 차입 가능한 자산에 ALCX, DF, FXS, PERP, TROY 5종을 추가했으며, 격리 마진으로 DF를 추가했다.

[대퍼랩스, 자동결제 시스템 운영 중단...실버게이트 여파]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플로우(FLOW) 개발사 대퍼랩스가 자동결제(Automated Clearing House·ACH) 서비스 제공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실버게이트 사태로 인한 불가피한 조치라는 게 대퍼랩스 측의 설명이다. 미디어는 "앞서 코인베이스, 서클, 팍소스, 크립토닷컴 등도 실버게이트 여파로 ACH 운영을 중단한 상황이다. 단, 대퍼랩스는 송금을 통한 인출을 지원하는 한편 인출 수수료도 인하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펙실드 "비탈릭 추정 주소, SHIK·CULT 대량 매도...가격 70%↓"]

블록체인 보안 전문 업체 펙실드(PeckShield)가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ETH) 창시자 라벨링 주소가 방금 전 약 5조 SHIK, 99억 CULT를 각각 대량 매도하면서 2개 토큰의 가격이 모두 급락했다"고 밝혔다. 코인마켓캡 기준 SHIK는 현재 70.75% 하락한 0.000000004212 달러에, CULT는 10.09% 하락한 0.00000924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LDO 고래 주소, 오늘 바이낸스서 47만 LDO 추가 매집]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업체 룩온체인(Lookonchain)에 따르면 한 LDO 고래 주소가 오늘 바이낸스에서 474,527 LDO를 매집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매수 단가는 약 2.49 달러다. 현재 해당 주소의 LDO 보유량은 1480만개 수준이다. 이 주소는 지난 2021년 11월 5일부터 올해 2월 3일까지 총 6개 주소를 통해 2,500만 달러 상당의 680만 LDO를 매수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LDO는 현재 3.67% 오른 2.64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크립토 GPT, 메이커다오 '퍼블릭 SHO' 완료]

ZK롤업 기반 레이어2 네트워크 크립토 GPT가 공식 채널을 통해 퍼블릭 SHO(Strong Holder Offering)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퍼블릭 SHO는 메이커DAO가 신생 기업 또는 프로젝트를 위해 진행하는 자금 조달 서비스다. 이번 SHO에는 52,398명이 참여했으나 총 6억 6400만 달러가 모였다. 당첨자는 BSC 네트워크에서 DAO를 입금할 수 있다. 입금 마감일은 오는 7일 자정까지다.

[상위 100개 이더리움 고래 지갑, 24시간 WETH·GALA 매집]

상위 100개 이더리움 고래 지갑이 지난 24시간 동안 가장 많이 구매한 토큰은 다음과 같다. 스테이블코인은 제외.

1. WETH $86,366

2. GALA $46,898

3. MATIC $28,226

4. LINK $7,176

5. SHIB $6,171

6. LDO $6,065

7. CRV $5,966

8. GRT $5,133

[분석 "온체인 지표 기준 ADA 투자자 중 80% 손실 상태"]

크립토글로브에 따르면, 온체인 취득가 기준 카르다노(ADA, 에이다) 투자자의 80%가 손실을 기록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블록체인 분석 회사 인투더블록은 "약 353만 개의 카르다노 주소가 손실 상태를 기록하고 있으며, 68만 개의 주소만이 수익을 보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인투더블록 측은 "해당 분석은 온체인 분석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중앙화 거래소를 사용하는 투자자들의 ADA 물량은 포함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코인마켓캡 기준 ADA은 현재 0.24% 내린 0.333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카카오 크러스트, 원화 연동 스테이블코인 발행 추진]

카카오의 블록체인 자회사 크러스트 유니버스(Krust Universe)가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추진한다고 IT조선이 단독 보도했다. 미디어는 "해당 스테이블코인의 이름은 ‘Korean Won’의 약자인 ‘KRWO’이 될 것으로 보인다. 크러스트가 발행할 KRWO는 법정화폐인 한국 원화와 1대 1로 가치가 연동될 예정이다. USDT, USDC처럼 선불 지급수단으로서의 사용성을 고려하고 있다. 다만 정확한 가치 유지 방식과 설계 구조는 공개되지 않았다. 크러스트는 지난해 9월 클레이튼 네트워크를 통해 KRWO의 송금 테스트를 진행했다. 이어 지난달 28일 특허청에 가상자산 ‘KRWO’의 상표권을 출원했다. KRWO 운영은 향후 크러스트의 사내 독립 기업인 ‘WON CIC(Company In Company)’가 맡을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룩온체인 "마운트곡스, 3/10부터 채권자 변제 시작...$30억 규모 BTC 언락"]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업체 룩온체인(Lookonchain)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2014년 해킹으로 인해 파산한 암호화폐 거래소 마운트곡스가 3월 10일부터 채권자 변제를 시작한다. 이에 따라 137,890 BTC가 언락될 전망이며, 이는 약 30억 달러 규모"라고 전망했다. 이어서 룩온체인은 "마운트곡스가 암호화폐 출금을 중단한 2014년 2월 7일 BTC 가격은 약 800 달러 수준이었다"고 덧붙였다.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댓글

댓글

3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3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남이대장군

2023.03.09 11:03:20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호이짜

2023.03.08 16:04:47

굿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der4827

2023.03.08 13:17:18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오천크스

2023.03.08 10:31:25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오천크스

2023.03.08 10:31:22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토큰부자

2023.03.08 09:48:28

기사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남이대장군

2023.03.08 09:45:35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generalyup

2023.03.08 08:40:34

잘 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ccjin

2023.03.08 08:39:13

good news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준혁이아빠

2023.03.08 08:19:59

잘보았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