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오후 브리핑] 美 연방 판사, 보이저의 알라메다 기상환 대출금 미반환 합의 승인 外

프로필
박원빈 기자
댓글 14
좋아요 비화설화 0
 [토큰포스트 오후 브리핑] 美 연방 판사, 보이저의 알라메다 기상환 대출금 미반환 합의 승인 外

[美 연방 판사, 보이저의 알라메다 기상환 대출금 미반환 합의 승인]

더블록에 따르면 존 도르시(John Dorsey)연방 판사가 보이저디지털(VGX)이 알라메다 리서치에 4억 4580만 달러 상당의 기상환 대출금을 반환하지 않기로 합의한 내용을 승인했다. 이번 승인의 영향으로 보이저 채권자들의 기대 채권 회수율이 48%에서 73%까지 상승했다. 지난 2월 28일 법원에 제출된 서류에 따르면 "양사가 이에 대한 소송 합의에 동의했으며, 3월 8일 청문회에서 연방법원 판사가 해당 사항을 검토를 요청해주길 바란다"고 밝힌바 있다.

[채굴업체 마라톤 디지털, 실버게이트와 신용 거래 중단...재무건전성 강화]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 비트코인 채굴기업 마라톤 디지털(Marathon Digital)이 실버게이트 은행과의 신용 거래(Credit Facility)를 중단했다. 마라톤은 성명문을 통해 "3월 8일 대출이 종료됐다. 이로 인해 부채가 5천만 달러 감소했으며, 부채 상환으로 담보로 제공됐던 비트코인을 3132개(7500만 달러 상당)를 확보했다. 연간 현금 이자 비용과 퍼실리티 수수료를 약 500만 달러 절감할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美 상장기업회계감독위원회 "암호화폐 거래소의 준비금 증명 보고서, 신뢰해선 안돼"]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산하 상장기업회계감독위원회(PCAOB)이 "암호화폐 회사의 준비금 증명은 믿어서는 안된다"고 발표했다. 해당 기관은 "준비금 보유액을 집계하는 보고서가 의미 있는 보증을 제공하지는 않는다"며 "이러한 보고서는 감사가 아니며 특정 표준을 준수한 것도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또한 "암호화폐 거래소의 준비금 증명은 단순히 스냅샷을 찍어 증명을 하는데, 거래소측이 충분한 담보를 보유하기 위해 자산을 차입했는지 여부 등은 다루지 않는다. 해당 보고서는 본질적으로 제한적이며,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44...중립 → 공포]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 대비 6포인트 내린 44를 기록했다. 중립 단계에서 공포단계로 전환했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공포 탐욕 지수는 변동성(25%), 거래량(25%), SNS 언급량(15%), 설문조사(15%), 비트코인 시총 비중(10%), 구글 검색량(10%) 등을 기준으로 산출된다.

[Mirror.xyz, '민팅 구독' 새 기능 추가]

탈중앙 콘텐츠 배포 플랫폼 미러(Mirror.xyz)가 트위터를 통해 크리에이터와 콜렉터의 상호 작용을 지원하는 'Subscribe to Mint(민팅 구독)' 기능을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해당 기능은 앞으로 2주간 미러 제니시스 NFT 보유자에게 베타 버전으로 배포되며, 이후 정식 출시된다. 미러는 "Subscribe to Mint를 통해 크리에이터와 콜렉터의 커뮤니티 참여 강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블룸버그 "마운트곡스 최대 채권자, 9월 회수 예정 BTC 매도 안할 계획"]

마운트곡스 최대 채권자가 올해 9월 변제 받을 예정인 비트코인을 매도하지 않고 계속 보유할 계획이라고 블룸버그가 사안에 정통한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이 채권자는 마운트곡스 채권을 매입해 온 마운트곡스 투자 펀드(Mt Gox Investment Fund)다. 관계자는 펀드가 70% 비트코인과 30% 현금 비율로 회수 가능한 금액의 90%를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구체적인 BTC 회수 물량을 밝히지는 않았다. 마운트곡스 채권자들은 3월 10일까지 9월 조기 회수를 선택할지, 아니면 더 오래 기다려 더 높은 회수율로 자금을 돌려받을지 결정해야 한다. 마운트곡스 파산관재인은 2019년 9월을 기준으로 141,686 BTC, 14.3만 BCH, 690억엔($5.1억)을 보유하고 있다.

[리도 DOT·KSM 유동성 스테이킹 중단 안건 제출]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리도 파이낸스에서 폴카닷, 쿠사마 유동성 스테이킹을 중단하자는 안건이 제출됐다. 이 안건에는 디파이 애플리케이션 개발사이자 리도 파트너인 믹스바이츠(MixBytes)가 오는 8월 1일부로 폴카닷, 쿠사마 유동성 스테이킹 프로토콜에 대한 개발과 기술 지원을 중단할 것이라고 발표한 내용이 포함돼 있다. 믹스바이츠 CPO이자 해당 안건을 제출한 코스타 제렙소프는 "시장 상황, 프로토콜 성장, 제한된 케파, 우선순위 조정 등 여러 문제를 감안해 이러한 결정을 내리게 됐다"고 밝혔다. 그는 3월 15일까지 신규 DOT, KSM 스테이킹을 받지 말고, 6월 말에는 스테이킹을 자동 해제할 것을 제안했다. 안건은 아직 예비 논의 단계에 있다. 디파이라마에 따르면 리도에 스테이킹된 DOT, KSM는 각각 $2230만, $234만 수준이다.

[미 하원 금융위 "암호화폐 포괄적 규제 법안, 2개월 내 표결"]

미국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가 2개월 내 암호화폐 포괄적 규제 법안을 표결에 부칠 계획이라고 미국 폴리티코가 보도했다. 이에 대해 최근 미국 의회에서 결성된 디지털자산 소위원회의 프렌치 힐(French Hill) 위원장은 "위원회는 3, 4월 디지털 자산 업계 이해 관계자들의 의견을 듣고, 입법 제안을 고려하는데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이후 2개월 안에 해당 법안에 대한 위원회의 표결이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레이스케일 CEO "BTC 현물 ETF 소송, 3분기 내 판결 전망"]

그레이스케일(Grayscale Investments) 최고경영자(CEO)인 마이클 소넨샤인(Michael Sonnenshein)이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를 상대로 낸 'BTC 현물 기반 ETF 출시 승인' 관련 소송은 올해 3분기 내 종료 될 것으로 보인다. 만약 SEC가 계속해서 비트코인 ETF 출시를 반대한다면, 대법원에 소송을 제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비트코인 ETF 출시가 당국의 승인을 받으면 펀드 운용보수를 낮출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일루비움 NFT 거래 시 IMX 보상 지급]

이더리움 레이어2 네트워크 이뮤터블X는 NFT 게임 프로젝트 일루비움과 파트너십을 체결, 사용자들이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일루비움 NFT 시리즈(일루비움 랜드, 일루비타, 일루비타 액세서리, D1SKS)를 거래할 시 IMX 보상을 받을 수 있는 IMX 트레이딩 리워드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BTC 폰지 사기 에어비트 클럽 임원 6명, 1억 달러 상당 사기 혐의 인정]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글로벌 폰지 사기 조직인 에어비트(Airbit)클럽의 일당 6명이 1억 달러 상당의 사기 및 자금 세탁 혐의를 인정했다. 에어비트 클럽은 미국, 아시아, 라틴 아메리카, 동유럽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글로벌 폰지 사기 조직으로, 비트코인 채굴을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며 '멤버십'에 투자하도록유도해 자금을 편취했다. 피해자들은 사기꾼 일당이 만들어 둔 사이트에서 잔액을 확인 할 수 있었지만 이는 가짜였으며 자금을 인출 할 수 없었다. 검찰에 따르면 편취한 자금은 사기꾼 일당의 차량, 사치품, 주택 구매 등에 사용됐다. 검찰은 최대 70년 형이 선고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유죄 판결 후 피고인들에게서 총 1억 달러 상당 달러, BTC, 부동산 등이 몰수될 예정이다.

[멀티체인 지갑 비트킵, 오픈소스 기술 플랫폼 와그미 후원]

웹3 멀티체인 지갑 비트킵(BitKeep)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웹3 프론트엔드 개발 라이브러리 와그미와 스폰서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스폰서십을 통해 개발자가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고 지갑 서비스에 액세스하여 웹3 개발자의 진입 장벽을 낮출 수 있도록 돕는다. 와그미는 리액트훅(React Hook)의 오픈 소스 컬렉션으로 지갑 연결, ENS, 잔액 정보 표시, 메시지 서명, 컨트렉트 상호 작용 등 EVM과 상호 작용하기 위한 기본 기능 등을 갖추고 있다.

[WSJ "바이든, 암호화폐 세금 개혁 통해 240억 조달 계획"]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2024년 회계연도 예산안을 발표할 예정인 가운데, 여기에 암호화폐 세금 개혁을 통한 240억 달러 조달 계획이 포함돼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현재 주식 및 채권 시장에 적용되는 워시 세일(wash sale) 룰이 암호화폐 시장에도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 워시 세일이란 손실이 난 종목을 처분함으로써 전체 실현 수익률을 줄이는 전략이다. 이를 통해 손실을 입은 만큼 세금을 공제 받을 수 있다. 앞서 미국 의회에서는 해당 내용을 논의한 바 있지만, 법으로 제정되지는 않았다. 다만 WSJ는 "예산안 처리가 하원 공화당의 손에 달린 만큼 바이든 대통령의 예산안이 원안대로 통과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자본이득세율을 20%에서 40%로 늘리는 방안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얼라이언스DAO "일리노이주 블록체인 활동 중범죄 규정 법안 발의"]

웹3 창업 액셀러레이터 디파이 얼라이언스의 얼라이언스DAO가 "전날 일리노이주에서 무허가 디지털 자산 비즈니스 활동(대부분의 블록체인 활동)을 중범죄로 규정하는 법안이 발의됐다. 하원이 이 법안을 통과시키면 몇 주 안에 법으로 제정될 수 있다"며 디지털자산규제법(DARA)에 반대하다고 밝혔다. DARA는 △디파이 프로토콜, 블록 검증 같은 핵심 인프라 금지 △주정부에 광범위한 조사 및 집행 권한 부여 등을 골자로 한다. 얼라이언스DAO는 "이 법안의 지지자들은 법안이 업계의 광범위한 지지를 받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거짓이다. 우리는 일리노이주의 많은 기업가, 단체와 이야기를 나눴는데 대부분은 이 법안에 대해 들어본 적도 없었다. 많은 일리노이주 소재 기업들이 떠날 준비를 하고 있다. 일리노이주는 오랫동안 블록체인 산업의 중심지였다. 이 법안이 통과되면 일리노이주는 혁신 엔진과 이를 뒷받침하는 세수를 잃게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댓글

댓글

14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14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남이대장군

2023.03.12 12:02:03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bityou

2023.03.11 20:41:19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남이대장군

2023.03.11 11:14:53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엠마코스모스

2023.03.10 21:32:19

정보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남이대장군

2023.03.10 10:01:05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토큰부자

2023.03.10 09:33:10

매일 매일 새로운 뉴스 잘 보고 있습니다.
항상 응원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cryptoworld

2023.03.09 21:55:37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멋쟁이이다

2023.03.09 18:52:50

좋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대발이야

2023.03.09 17:47:21

ㄱㅅㅇ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러너일이

2023.03.09 17:45:13

내용 잘 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