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마감 브리핑] 공정위, '가상자산 실명계정 운영지침' 관련 불공정 여부 살핀다

프로필
하이레 기자
댓글 29
좋아요 비화설화 0
 사진 = 공정거래위원회

사진 = 공정거래위원회

[미 법원, 헬비즈코인 소송서 원고 손 들어줘..."증권법 위반"]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미국 뉴욕 남부법원이 암호화폐 프로젝트 헬비즈코인(HelbizCoin) 창업자를 상대로 제기된 집단소송에서 원고 주장을 일부 인용했다. 앞서 원고는 헬비즈코인이 ERC-20 기반 토큰을 발행, ICO를 통해 3860만달러를 모금하는 과정에서 투자자들을 속이고 펌프앤덤프(헐값으로 산 뒤 인위적으로 가격을 부풀린 다음 내다파는 행위)를 저질렀다고 주장했다. 법원은 피고의 행위가 가격조작 및 사기에 해당하며 증권법, 상품법을 위반했다며 원고 주장을 부분 인용했다. 원고측 변호인 마이클 카노비츠(Michael Kanovitz)는 "이번 소송에서 ERC-20 토큰이 연방법상 증권에 해당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고 말했다.

[공정위, '가상자산 실명계정 운영지침' 관련 불공정 여부 살핀다]

워크투데이에 따르면 공정거래위원회가 지난 7월 은행연합회가 발표한 ‘가상자산 실명계정 운영지침’과 관련해 추심이체 시 추가인증, 장기 미이용시 추심이체 제한, 실명계정 관련 강화된 고객확인 등이 경쟁을 제한하는 요소가 있는지를 조사하고 있다. 또 일부에서 주장하는 원화마켓 진입 자체를 제한하는 것이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공정거래법)’ 제51조 등 위반 여부가 문제되는 지를 확인할 필요성이 있다고 인정해 사전 정보수집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공정위의 이번 조사는 서울사무소 총괄과에서 주도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런던증권거래소, 금융 자산 거래에 블록체인 기술 적용 계획]

런던증권거래소(LSE)가 금융 자산 거래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머레이 루스(Murray Roos) LSE 그룹 자본시장책임자는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최근 1년간 블록체인 기반 거래소의 잠재력을 연구해왔다. 현재 해당 계획 추진에 대해 영국 정부와 관할 규제 당국과 협의 중이다. 만약 계획이 예정대로 추진된다면,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해 전통 금융자산을 보다 효율적으로 구매 및 판매, 보유할 수 있게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 LSE 그룹은 투자자들에게 엔드투엔드(E2E) 블록체인 기반 생태계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는 최초의 글로벌 대형 증권거래소가될 것"이라고 전했다.

[보안업체 "수이 P2P 프로토콜서 취약점 발견...현재는 조치 완료"]

블록체인 보안업체 비오신이 X(구 트위터)를 통해 "레이어1 블록체인 프로젝트 수이(SUI) 네트워크의 P2P 프로토콜에서 도스(DoS, 서비스 거부) 결함을 발견했으며 현재는 조치가 완료된 상태"라고 밝혔다. 비오신은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면 메모리 폭탄(memory bomb)만으로 SUI 네트워크 노드를 먹통(다운)으로 만들 수 있다. 수이는 최근 업데이트를 통해 이 취약점을 수정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바이낸스 글로벌 상품 책임자 사임]

더블록에 따르면 바이낸스의 글로벌 상품 책임자인 마유르 카마트(Mayur Kamat)가 사임했다. 카마트는 이와 관련해 "개인적인 이유로 바이낸스를 떠난다"며 "20년 동안 쉬지않고 업무를 진행했다. 잠시 휴식을 취하는 좋은 시간이 될 것이다. 이제 자리에서 물러나 글로벌 상품 책임자 자리를 차세대 리더에게 넘겨야 할 때"라고 언급했다. 최근 바이낸스 아태지역 책임자 레온 풍과 최고전략책임자 패트릭 힐만, 법무 자문위원 혼 응, 최고사업책임자 이보 링 등이 사임한 바 있다.

[클레이튼, 토큰화 플랫폼 토크니 솔루션과 파트너십]

레이어1 블록체인 프로젝트 클레이튼(KLAY)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토큰화 플랫폼 토크니 솔루션(Tokney Solutions)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양사는 토크니 플랫폼을 통해 기업들이 클레이튼에서 토큰화 한 RWA(실물자산)를 발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크래프톤, 메인넷 '세틀러스' 구축…메타버스서 NFT 거래 서비스]

아이뉴스24에 따르면 크래프톤은 지난 3일 엔젤핵과 서클이 주최한 서클 해커 하우스 행사에서 메타버스 '프로젝트 미글루' 내 작동할 블록체인 기술 '세틀러스(Settlus)'를 공개했다. 프로젝트 미글루는 메타버스 공간에서 콘텐츠 창작자가 자신이 만든 아이템·자산을 NFT로 소유·거래해 수익을 얻는 '크리에이트 투 언(C2E)' 시스템을 구현할 예정이다. 프로젝트 미글루는 이더리움, 솔라나, 기타 블록체인에서 세틀러스 시스템으로 외부 체인 NFT를 브릿지 과정 없이 마이그레이션(이전)할 수 있는 블록체인 플랫폼을 개발 중이다.

[3대 선물 거래소 BTC 무기한 선물 롱숏 비율]

미결제약정 기준 세계 3대 암호화폐 선물 거래소 내 최근 24시간 BTC 무기한 선물 롱·숏 포지션 비율은 다음과 같다.
전체 거래소: 롱 51.0% / 숏 49.0%
1. 바이낸스: 롱 50.4% / 숏 49.6%
2. OKX: 롱 51.8% / 숏 48.2%
3. dYdX: 롱 52.7%/ 숏 47.3%

[매터랩스 CEO, 온체인 분쟁 중재소 '이더리움 대법원' 시스템 제안]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zkSync 개발사 이더리움 레이어2 네트워크 zkSync 개발사 매터랩스(Matter Labs)의 최고경영자(CEO) 알렉스 글루차우스키(Alex Gluchowski)가 최근 X(구 트위터)를 통해 온체인 분쟁 해결을 위한 '이더리움 대법원' 시스템 도입을 제안했다. 그는 "이더리움 대법원은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각 프로젝트 관련 의견 충돌을 중재할 수 있다. 모든 프로토콜은 각종 업그레이드를 위한 자체 거버넌스 권한을 갖게 되며, 커뮤니티는 '항소'를 통해 반박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 특히 긴급 업그레이드의 경우 반대 의견을 가진 모든 사용자는 일정 금액을 예치, 거버넌스 결정 사항에 대해 '상급 법원'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여기서 '이더리움 대법원'은 최고법원의 역할을 담당, 각 항소에 대한 최종적인 판결을 내린다. 대법원 시스템은 외부 정치적 요소들로부터 프로토콜을 보호하는 것이 최우선 목표다. 일종의 '억제 메커니즘' 역할을 하며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강화시킬 것"이라고 설명했다.

[데이터 "8월 말 바이낸스서 BTC 출금 트랜잭션 급증"]

비트코인 온체인 애널리스트 마튠(maartunn)이 크립토퀀트 온체인 데이터를 인용 "8월 31일(현지시간) 바이낸스발 BTC 출금 트랜잭션이 3,020 건을 기록했다. 이는 전날 818 건 대비 270% 증가한 수치"라고 분석했다. 이어 그는 "FTX 붕괴 직후에도 유사한 출금 트랜잭션 급증 현상이 관측된 바 있다"고 덧붙였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현재 0.46% 오른 25,991.5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70개 웹3 기업, 홍콩 ZA뱅크서 계좌 개설 완료]

홍콩 최대 인터넷은행(가상은행)인 ZA뱅크(ZA Bank)의 야오원쑹 최고경영자(CEO)가 현지 미디어 이코노믹 저널(hkej)과의 인터뷰를 통해 "웹3 사업을 적극 전개할 예정이다. 현재 60~70개 웹3 기업들이 ZA뱅크 계좌를 개설했으며, 20~30개 기업이 승인 절차를 밟고있다"고 전했다. 앞서 코인니스는 홍콩 첫 개인 거래지원 암호화폐 거래소 해시키 익스체인지가 대형 인터넷은행 ZA뱅크를 통해 홍콩달러 입금 서비스를 제공 중이라고 전한 바 있다.

[바이낸스, BNB 스마트 체인서 MAV 입출금 지원]

바이낸스가 BNB 스마트 체인(BEP20) 기반 MAV 입출금을 지원한다고 공지했다.

[비탈릭 추정 주소, 최근 특정 주소로 $164만 ETH 이체]

온체인 데이터 분석 업체 펙실드가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ETH) 창시자 추정 주소(0xd04d로 시작) 최근 약 999 ETH(164만 달러 상당)를 익명의 주소(0x5567로 시작)로 이체했다. 해당 주소는 20일전에도 비탈릭 추정 주소로부터 1701 ETH를 받은 바 있으며, 지난 20일 동안 모든 ETH를 비트스탬프로 입금했다"고 전했다.

[日 비트뱅크, 9/7 RNDR 상장]

코인포스트에 따르면 일본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뱅크가 오는 7일 렌더토큰(RNDR)를 상장한다고 밝혔다. 이는 일본 거래소 최초 RNDR 상장으로 알려졌다.

[분석업체 "업비트 보유 394만 CYBER, 바이낸스로 이동"]

온체인 데이터 추적 플랫폼 스코프스캔이 X(구 트위터)를 통해 "업비트의 CYBER 보유량 대부분이 바이낸스로 이동된 것으로 보인다. 이미 394.4만 CYBER가 이동됐고 현재 34.7만 CYBER가 남아 있는 상태"라고 전했다.

[블러 NFT 담보 대출 프로토콜 블렌드, 누적 거래액 20억 달러 돌파]

듄애널리틱스 데이터에 따르면 NFT 마켓플레이스 블러(BLUR) 산하 NFT 담보 대출 프로토콜 블렌드(Blend)의 누적 거래액이 20억 달러를 넘어선 2,016,986,212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6월 말 대비 2배 가량 증가한 것이다. 이외 현재 블렌드에서 승인된 총 담보대출 건수는 182,424건이다.

[12월부터 공직자 가상자산 신고해야…1급은 거래 내역도]

연합뉴스에 따르면 재산등록 대상자인 4급 이상 공직자는 오는 12월부터 기존 재산 외에도 가상자산의 종류와 가액을 등록해야 한다. 인사혁신처는 4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같은 내용을 담은 공직자윤리법 시행령 개정령안을 내달 16일까지 입법 예고한다고 밝혔다. 재산공개 대상자인 1급 이상 공직자에게는 더 엄격한 기준이 적용된다. 우선 취득일자·취득경위·소득원 등 가상자산 형성과정을 기재하고, 최근 1년간의 거래 내역을 증빙자료와 함께 제출해야 한다. 재산등록기준일 당시 가상자산을 보유하고 있지 않아도 지난 1년간의 가상자산 거래내역을 모두 신고해야 한다.

[갈라게임즈 "연내 갈라체인으로 마이그레이션 완료"]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갈라게임즈(GALA)가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연말까지 갈라게임즈를 이더리움에서 갈라체인으로 마이그레이션 완료할 계획"이라며 "온보딩 및 개발자 도구가 간소화될 것"이라고 전했다.

[솔라나 공동설립자, 커뮤니티에 이더리움 비난 중단 촉구]

솔라나 공동설립자 아나톨리 야코벤코가 커뮤니티에 이더리움에 대한 비난을 멈출 것을 촉구했다. 앞서 메이커다오가 다음 개발 단계에서 솔라나 기술을 활용하겠다고 언급하자, 솔라나 커뮤니티에서 이를 빌미로 이더리움을 비난하는 움직임이 일었다. 야코벤코는 "메이커다오의 이번 결정은 오픈소스의 승리일 뿐"이라며 "이더리움을 공격하는 수단으로 사용하지 않길 바란다"고 말했다. 앞서 메이커다오 공동 창업자 룬 크리스텐슨(Rune Christensen)은 새로운 블록체인을 구축할 계획이라며 솔라나 스택을 채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한 바 있다.

[아비트럼 커뮤니티, 7500만 ARB 생태계 보조금 조성 제안]

아비트럼(ARB) 커뮤니티에 7500만 ARB 상당 생태계 보조금 조성 제안이 상정됐다. 보조금은 아비트럼 다오(DAO) 트레저리가 올해 말까지 두차례에 걸쳐 지급한다. 해당 제안에 대한 투표는 9월 8일 시작된다. 제안이 통과되면 첫번째 보조금 지급은 9월 15일부터 10월 6일 사이 투표, 신청, 검토 등 과정을 통해 완료된다. 두번째 보조금 지급은 10월 6일부터 27일까지다.

[고래 주소 3개, 12일간 바이낸스서 $2258만 상당 UNFI 출금]

암호화폐 온체인 애널리스트 엠버CN(EmberCN)에 따르면 특정 3개 주소가 최근 12일 동안 바이낸스에서 총 2,258만 달러 상당의 245만 UNFI를 출금했다. 이는 UNFI 유통량 571만개의 42%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이들 중 한 주소는 전날 밤 1430만 달러 상당의 155,934 UNFI를 바이낸스로 입금하기도 했다. UNFI는 지난 14일간 126% 넘게 상승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UNFI는 현재 18.00% 오른 9.17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델리시움, 9/6 구글 클라우드와 '웹3 X AI의 밤' 개최]

메타뉴스에 따르면, 블록체인 및 인공지능(AI) 기반 메타버스 게임 프로젝트 델리시움(AGI)이 공식 채널을 통해 오는 9월 6일 18시 서울 반얀트리 클럽 앤 스파 루프탑에서 구글 클라우드와 함께 '웹3 x 인공지능(AI)의 밤' 행사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선착순 110명에 한해 예매가 가능하다. 한편 이번 행사의 공동 주최사로는 미러월드, 엑스테리오 등이 참여할 예정이다.

[dYdX 버전4 업그레이드 거버넌스 제안 통과]

dYdX 커뮤니티가 프로토콜을 버전4로 업그레이드하고 DYDX를 새로운 dYdX 체인의 레이어 1 토큰으로 지정하는 제안을 찬성률 100%로 통과시켰다. 윈터뮤트가 상정한 안건이다. dYdX 체인은 코스모스 상에서 퍼블릭 테스트넷까지 출시된 상태다.

[국산 메타버스 진료 플랫폼 남미 진출...메디블록 참여]

국산 메타버스 진료 플랫폼(큐리스올)과 교육 플랫폼(메드티스)이 남미에 진출해 콜롬비아 헬스케어 디지털전환 사업을 수행한다고 매경헬스가 전했다. 헬스온클라우드가 주관기관으로 나서며 메디블록, LG-CNS 등이 참여한다. 메디블록은 클라우드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을 적용하며, LVIS는 뇌전증 인공지능 진단기술을 적용한다.

[업비트, 8/10 REI 입출금 일시 중단...업그레이드 지원]

업비트가 레이(REI)의 하드포크로 오는 10일 18시 REI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토스증권, 공휴일에도 배당금 즉시 지급…미국 주식 투자자 반색

토스증권, 공휴일에도 배당금 즉시 지급…미국 주식 투자자 반색

[국내증시 개장시황] 코스피 2% 강세…SK하이닉스 9% 넘게 급등, 외국인 순매수 폭발

[국내증시 개장시황] 코스피 2% 강세…SK하이닉스 9% 넘게 급등, 외국인 순매수 폭발

댓글

댓글

29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29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der4827

2023.09.05 21:05:41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modeny

2023.09.05 10:47:45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jbm장미

2023.09.05 08:26:21

좋아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jbm장미

2023.09.05 08:26:18

좋아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투명잉크

2023.09.05 08:11:20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원픽

2023.09.05 07:29:50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구리구리

2023.09.05 07:23:23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또리

2023.09.05 06:39:59

고맙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또리

2023.09.05 06:39:54

고맙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ultra

2023.09.05 06:21:20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