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VC 추정 주소들, DYDX 보유량 줄여...12/1 유통량 10.25% 언락"]
블록체인 분석업체 스팟온체인이 X(구 트위터)를 통해 "암호화폐 벤처캐피털 CMS홀딩스, 지프라임 추정 주소가 최근 시장 랠리 기간 중 DYDX 보유량을 줄인 것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스팟온체인은 "CMS홀딩스 추정 주소는 9일 1시 30분경 50만 DYDX(127만 달러 상당)를 바이낸스에 입금했으며, 최근 7일 동안 바이낸스로 229만 DYDX(541만 달러 상당)를 입금, 보유량을 227만 DYDX(541만 달러 상당)로 줄였다. 지프라임 추정 주소는 9일 3시경 9.86만 DYDX(25만 달러 상당)를 크라켄에 입금했으며, 더 이상 DYDX를 보유하고 있지 않다. DYDX는 오는 12월 1일 유통량의 10.25%(1.22억 DYDX)가 락업 해제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DYDX는 4.81% 오른 2.5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블록체인 진흥주간 참여 자격요건에 '가상자산 기업' 빠졌다]
디센터에 따르면 오는 15일부터 이틀 동안 진행되는 블록체인 진흥주간에서 홍보 부스를 운영하는 블록체인 기업은 ‘가상자산’과 관련된 내용을 언급할 수 없다. 익명의 한 업계 관계자는 “행사 참여 기업 모집 공고의 자격요건에 ‘가상자산을 다루는 기업은 참여할 수 없다’고 적혀 있었다. (가상자산) 관련 내용을 포함하지 말라고 텍스트로 명시해 기업에 직접 전달한 건 처음인 것 같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행사를 주최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가상자산은 금융위원회 소관이다. 또 국민에게 피해를 줄 우려가 있는 일부 가상자산 기업의 참여를 예방하기 위한 의도도 있다"고 해명했다.
[게리 겐슬러 "새 경영자가 합법적으로 운영한다면 'FTX 부활' 가능"]
게리 겐슬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이 DC 핀테크위크 행사에서 가진 CNBC와의 인터뷰에서 FTX의 운영 재개 가능성을 언급했다. 3개 업체가 FTX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는 월스트리트저널 보도와 관련한 것이다. 그는 "새로운 경영자가 합법적인 범위 내에서 운영한다면 FTX의 운영 재개는 가능하다고 본다"고 전했다. 이외에도 게리 겐슬러는 암호화폐 업계를 규제하는 새로운 규칙을 고려할 때, 기존 증권법을 적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암호화폐 시장에 증권법을 적용할 수 없는 것이 없다. 증권법은 오랜 세월에 걸쳐 검증된 법률인데, 현재 이를 준수하지 않고 불법적인 곳에 암호화폐를 사용하고 있는 이들이 많다"고 밝혔다.
[외신 "점프크립토, 테라폼랩스와 뒷거래 조사서 답변 거부"]
블록웍스에 따르면 암호화폐 마켓 메이킹 업체 점프크립토(Jump Crypto) 카나브 카리야(Kanav Kariya) 전 대표가 테라·루나 붕괴 이전 테라폼랩스와 뒷거래를 했다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의혹 관련 조사서 답변을 회피했다. SEC는 점프크립토가 과거 테라폼랩스와 극비리 계약을 체결해 10억 달러 상당 수익을 거뒀다고 지적한 바 있다. 카나브 카리야는 지난 8월부터 다섯 차례 진행된 SEC 조사에서 답변을 거부했다.
[WSJ "FTX 인수전, 前 NYSE CEO가 설립한 업체 포함 3곳 참여 중"]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 최고경영자(CEO)을 역임했던 톰 팔리(Tom Farley)가 설립한 기업을 비롯한 3개 업체가 FTX 인수를 시도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전했다. 톰 팔리는 2013년부터 2014년까지 NYSE CEO를 역임한 뒤 현재는 인수 전문 기업인 파 포인트(Far Point Acquisition Corp) CEO에 재임 중이다. 매체는 한 익명 은행가를 인용해 "당초 FTX 재출범에 70여개 업체가 경쟁했지만 현재는 3개 업체로 좁혀졌으며, 오는 12월 중 결정이 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이들 3개 업체 외에도 새로운 경쟁자가 등장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외신 "美 SEC, 바이낸스 소송 기각 신청 반대하며 '황당하다' 주장"]
DL뉴스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지난 7일(현지시간) 법원에 제출한 서류에서 바이낸스의 소송 기각 신청은 터무니없다고 언급했다"고 전했다. SEC는 문서에서 "바이낸스의 소송 기각 신청은 황당한 주장과 잘못된 해석을 담고 있으며 책임을 회피하려는 시도다. 바이낸스는 자신들 플랫폼 내 대부분 자산이 증권으로 제공 및 판매되고 있음을 무시하고 있다. 바이낸스는 미국에서 규제 당국 승인 없이 바이낸스US를 설립해 운영했지만, 이에 대해서는 직접적으로 언급한 적이 없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