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마감 브리핑] X 측 "SEC 계정 해킹 정황 확인" 外

프로필
하이레 기자
댓글 28
좋아요 비화설화 41
 [토큰포스트 마감 브리핑] X 측

[X 측 "SEC 계정 해킹 정황 확인"]

X(구 트위터) 측이 이번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계정 해킹 사태에 대한 예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X 세이프티는 "조사 결과 이번 SEC 계정 해킹은 X 시스템 오류로 인한 것이 아닌, 신원을 알 수 없는 개인이 SEC 계정에 연결된 전화번호에 대한 통제권을 얻으면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계정이 유출된 시점에 해당 계정은 2단계 인증이 활성화돼 있지 않은 상태였다"고 밝혔다.

[美 상원의원, 게리 겐슬러에 X 해킹 보고서 제출 요구]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미국 공화당 상원의원 톰 틸스(Thom Tillis)와 J. D. 밴스(JD Vance)가 게리 겐슬러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에게 X(구 트위터) 계정 해킹 사건에 대한 보고서를 의회에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기한은 1월 15일까지다. 앞서 SEC 계정이 해킹돼 BTC 현물 ETF가 승인됐다는 가짜 포스트가 올라온 바 있으며, X 측이 예비 조사를 통해 제3자에 의한 해킹 정황을 확인했다.

[프로쉐어스 BTC 선물 ETF 운용자산 $20억 터치...증가 추세 지속]

프로쉐어스의 BITO(프로쉐어스 비트코인 전략 ETF) 펀드 운용자산(AUM)이 9일(현지시간) 기준 20억 달러를 일시 돌파하며 증가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블록웍스가 전했다. 지난 8일(현지시간) 거래량은 3,500만주(8억 달러 상당)를 기록하기도 했다. BITO는 2021년 10월 미국에서 처음 출시된 BTC 선물 ETF로, BTC 현물 ETF 승인 기대감이 고조되자 펀드 운용자산이 늘고 있다. 현재 AUM은 17.4억 달러 수준이다.

[지난 24시간 BTC 선물 미결제 약정 3.16% 감소...ETH는 6.63% 증가]

코인글래스 데이터에 따르면 비트코인 선물 계약 미결제 약정이 24시간 전보다 3.16% 줄어든 427,560 BTC(198억 달러 상당)를 기록 중이다. 반면 이더리움 선물 계약 미결제 약정은 24시간 전보다 6.63% 늘어난 324만 ETH(61.3억 달러 상당)로 집계됐다. 앞서 매트릭스포트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가짜 X 게시물 사태 이후 투자자 관심이 BTC에서 ETH로 옮겨갔다"고 전한 바 있다.

[3대 선물 거래소 BTC 무기한 선물 롱숏 비율]

미결제약정 기준 세계 3대 암호화폐 선물 거래소 내 최근 24시간 BTC 무기한 선물 롱·숏 포지션 비율은 다음과 같다. 전체 거래소: 롱 50.32% / 숏 49.68% 1. 바이낸스: 롱 49.97% / 숏 50.03% 2. OKX: 롱 50.65% / 숏 49.35% 3. dYdX: 롱 53.26% / 숏 46.74%

[바이낸스·크라켄 등 8개 거래소 앱 인도 애플 스토어서 삭제]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바이낸스, 크라켄, 쿠코인을 포함한 8개 암호화폐 거래소 앱이 인도 애플 스토어에서 삭제됐다. 앞서 인도 재무부는 자금세탁방지법(PMLA)에 따라 바이낸스, 쿠코인, HTX(구 후오비), 크라켄, 게이트아이오, 비트렉스, 비트스탬프, MEXC, 비트파이넥스 등 9개 거래소의 규제 준수 요청 및 웹사이트 차단을 예고한 바 있다. 9개 거래소 중 비트스탬프는 여전히 애플 스토어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한 상태다.

[dYdX "거래 수수료의 최대 90% 인센티브 제공"]

탈중앙화 암호화폐 파생상품 거래 플랫폼 dYdX(DYDX)가 공식 X를 통해 "앞서 통과된 거래 수수료 인센티브 제안 관련 보상 상수(C)가 블록 높이 5,543,541부터 0.9로 인상된다. 이에 따라 dYdX를 이용하는 경우 지불한 수수료의 최대 90%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다"고 전했다. dYdX 커뮤니티는 지난 11월 26일 dYdX 초기 이용자에 2,000만 달러 상당 DYDX를 제공한다는 내용의 6개월 인센티브 프로그램을 통과시킨 바 있다.

[라인 넥스트, 글로벌 NFT 플랫폼 도시 정식 출시]

라인의 NFT 플랫폼 자회사 라인 넥스트(LINE NEXT)가 공식 미디움을 통해 글로벌 NFT 플랫폼 도시(DOSI)를 정식 출시한다고 밝혔다. 도시에는 150개 이상 브랜드가 만든 2,000만개 이상 디지털 상품들이 출시될 예정이며, 한정판 상품과 디지털 티켓 등을 네이버 페이, 라인페이, 애플페이, 구글페이 등 간편 결제와 이더리움, 핀시아 등 가상자산 결제를 통해 거래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매직에덴 "이더리움 NFT 마켓플레이스 출시 연기"]

NFT 마켓플레이스 매직에덴(MagicEden)이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유가랩스와 함께 계획한 이더리움 NFT 마켓플레이스 출시 일정이 연기됐다. 당초 2023년 말에 출시할 예정이었으나,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를 연기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베이스 2024년 로드맵 발표..."수수료 인하 추진"]

코인베이스의 이더리움(ETH) 레이어2 네트워크 베이스(Base)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2024년 로드맵을 발표했다. 베이스는 "올해 주요 개발 우선순위는 탈중앙화 가속, 네트워크 효율성 향상, 수수료 인하 등이다. 또 코인베이스의 기존 서비스 등이 온체인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외신 "SEC X 계정 해킹 사태 인한 BTC 현물 ETF 승인 지연 가능성 낮아"]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오늘 오전(한국시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X(구 트위터) 계정 해킹 사태로 인한 SEC의 BTC 현물 ETF 승인 지연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비영리단체 사토시액션펀드(Satoshi Action Fund)의 최고경영자(CEO)인 데니스 포터(Dennis Porter)는 "SEC가 이번 해킹 사태를 핑계로 ETF 승인을 연기할 가능성도 있지만, 그간 관계자들로부터 접한 소식에 따르면 BTC 현물 ETF는 늦어도 이번 주 안에 승인 여부가 판가름 날 것"이라고 밝혔다. 암호화폐 전문 미국 변호사 조 칼라사레(Joe Carlasare)도 "이번 사건에 따라 SEC가 결정을 연기시키거나, 승인을 거부할 가능성은 극히 낮다고 본다"고 전했다.

[팬시 숏폼 플랫폼 셀러비, 아마존 인디아와 파트너십 체결]

팬시(fanC) 협력사이자 숏폼 리워드 플랫폼 셀러비(CELEBe)가 아마존 인디아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셀러비 측은 "아마존 인디아와의 협력을 통해 현지에서의 입지를 공고히 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셀러비는 2023년 9월 인도 구글 플레이스토어서 순위 3위를 기록한 바 있다.

[커브파이낸스 FRAX/PYUSD 풀, 출시 2주 만 TVL $1.35억 돌파]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탈중앙화 암호화폐 거래소 커브파이낸스(CRV) 내 FRAX/PYUSD 풀 총 락업 예치금(TVL) 1.35억 달러를 돌파, 3대 유동성 풀에 올랐다. FRAX/PYUSD 풀이 출시된 것은 지난달 27일로 출시 2주가량이 지났다. 풀의 일일 평균 거래량은 550만 달러 상당이다. 암호화폐 마켓 데이터 플랫폼 카이코(Kaiko) 애널리스트 클라라 메달리(Clara Medalie)는 "디파이에서 유동성이 증가하는 것은 좋은 신호다. 프락스 파이낸스(FRAX)는 향후 페이팔이 지원하는 디파이와의 협력을 모색하는 방식을 통해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더리움 확장성 프로젝트 스케일 "가스비 구독료 기능 도입"]

이더리움 확장성 프로젝트 스케일(SKL)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메인넷에 체인 프라이싱(Chain Pricing) 기능을 추가한다"고 밝혔다. 체인 프라이싱은 월 구독료만 내면 가스비를 내지 않아도 되는 기능이다. 스케일은 "향후 12~18개월 내 체인 프라이싱 모델 100% 전환을 목표로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코인마켓캡 기준 SKL은 6.75% 오른 0.0839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위메이드 "디파이 서비스 클레바, '클레바 옴니'로 업그레이드 예정"]

뉴스핌에 따르면 위메이드가 10일 클레이튼(KLAY) 네트워크 상의 디파이 서비스 '클레바(KLEVA)'가 '클레바 옴니'로 업그레이드된다고 밝혔다. 클레바는 오는 3월 위믹스 3.0 메인넷 서비스로 전환한다. 기존 클레바 토큰은 위믹스 3.0의 네이티브 토큰으로 발행된다. 클레바 옴니는 오는 2분기 위믹스의 옴니체인 생태계 ‘우나기’의 크로스체인 디파이 프로토콜로 활용돼 아비트럼, 옵티미즘, 아발란체, 폴리곤, 이더리움 등 체인을 지원한다.

[보안업체 "중앙화거래소·NFT 마켓 사칭 피싱 스캠 주의보"]

보안업체 서틱(CertiK)이 "최근 주요 중앙화거래소 및 NFT 마켓을 사칭한 피싱 스캠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 같은 스캠은 채용 공고, 에어드랍, NFT 홍보 등으로 위장해 사용자가 스캠 사이트를 방문하도록 유도하고, 자산을 탈취하는 경우가 많다. 주의가 필요하다"고 경고했다.

[아비트럼 커뮤니티, 인센티브 파일럿 프로그램 투표 시작]

아비트럼(ARB) 커뮤니티에서 인센티브 파일럿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투표가 시작됐다. 해당 파일럿 프로그램은 12주 동안 아비트럼 기반 프로토콜에 2,500만~4,500만 ARB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투표는 17일(현지시간) 종료된다. 현재까지 찬성률은 94%다.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캐시 우드, 비트코인(BTC) 2030년까지 240만 달러 간다…“이더리움보다 기술적 우위”

캐시 우드, 비트코인(BTC) 2030년까지 240만 달러 간다…“이더리움보다 기술적 우위”

댓글

댓글

28

추천

4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28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eeyclim

2024.01.11 14:41:30

좋은 기사 감사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디스나

2024.01.11 10:43:29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CEDA

2024.01.11 09:52:07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검은구월단

2024.01.11 09:19:10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지후왕

2024.01.11 09:10:11

뉴감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토큰부자

2024.01.11 08:36:46

기사 잘 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saean1620

2024.01.11 08:14:44

기사을 잘 보고 갑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제이슨리

2024.01.11 07:26:41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bityou

2024.01.11 06:58:54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1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또리

2024.01.11 06:31:26

고맙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