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문조사 "국내 투자자 41.3%, SEC, 올 하반기 ETH 현물 ETF 승인 전망"
코인니스와 크라토스가 공동 진행하고 있는 주간 국내 투자자 시장 동향 정기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46.5%(전주 51.4%)가 이번주 비트코인이 상승 또는 급등할 것으로 전망했다. 횡보를 예상한 응답자는 약 35.3%(전주 28.5%), 하락과 급락을 예상한 응답자는 18.2%(전주 20.1%)를 차지했다. 시장 심리를 묻는 질문에는 가장 많은 44.7%가 중립이라고 답했다. 낙관 혹은 극단적 낙관이라고 답한 비중은 37.4%로 집계됐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이더리움(ETH) 현물 ETF 승인 시기를 묻는 질문에는 응답자 중 가장 많은 41.3%가 내년 하반기라고 답했다. 32.6%는 올 상반기 내 승인을 내다봤고, 2025년을 예상하는 응답자는 19.9%, 1.7%는 승인이 불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갤럭시 디지털 CEO "6개월 내 BTC 상승 전망"
갤럭시 디지털 CEO 마이크 노보그라츠(Mike Novogratz)가 X를 통해 "사람들이 그레이스케일 GBTC를 매도할 거라고만 예상하지만 사람들이 GBTC를 다른 BTC 현물 ETF로 전환할 거라는 게 내 판단이다. 개인적으로 인베스코 BTCO를 가장 선호한다. 6개월 내 BTC 가격은 더욱 상승할 것"이라고 말했다.
버지니아주 상원의원, 디지털자산 채굴권 보호법 발의
미국 버지니아주 상원의원 사담 아즈란 살림 의원이 최근 디지털자산 채굴권 보호 및 거래, 과세 혜택에 관한 법안을 발의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해당 법안은 채굴업체의 송금 라이선스 취득 면제, 타 산업 대비 차별 금지를 골자로 한다. 또한 특정 요건 충족 시 디지털자산 발행자와 판매자에 대한 증권 등록 요건도 면제하도록 하고, 디지털자산을 통해 상품이나 서비스 구매 시 파생되는 이익에 대해 이용자가 거래당 최대 200달러 면세 혜택을 받도록 명시하고 있다. 해당 법안은 현재 상원에서 논의 중이다.
HTX "HECO 체인 크로스체인 브릿지 보안 사고 조사 중"
HTX가 전날 밤 X를 통해 "HECO 체인 크로스체인 브릿지에서 보안 사고가 발생한 것을 확인, HECO 팀이 현재 조사하고 있다. 체인 업그레이드 및 보안 검토 완료 후 HTX는 가능한 한 서둘러 HECO 체인 입출금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HECO 체인이 업그레이드되면 해당 체인에서 HT 입금 및 HTX로의 스왑을 지원할 것이다. 사용자 자금은 안전하다"고 공지했다. HTX는 그후로 추가 공지를 내놓지 않은 상태다.
솔라나재단·서클, 미 암호화폐 혁신위원회 합류
글로벌 블록체인 정책을 위한 암호화폐 혁신위원회(Crypto Council for Innovation, CCI)에 솔라나재단, USDC 발행사 서클이 합류했다고 블록웍스가 전했다. CCI는 정책입안자 및 규제기관과의 더 긴밀한 관계를 위해 2021년 암호화폐 기업들이 협력해 출범했으며 코인베이스, 패러다임, 피델리티 디지털애셋 등이 합류해 있다.
"삼성전자 주식 사듯 비트코인 투자하는 시대…‘기관’ 머니파워 가세로 가상자산 볼륨 업"
“비트코인 자체에 대해 잘 몰랐거나, 쉽사리 투자에 나서지 못했던 개인 투자자들이 일반 주식 계좌만 있으면 투자할 수 있게 된다는 점이 가장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지난 11일(현지시간) 미국 증시에 가상자산 ‘대장주’ 비트코인에 대한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11개가 동시 상장된 것이 개인 투자자에게 어떤 의미인지 묻는 질문에 윤석빈 서강대 정보통신대학원 특임교수가 내놓은 대답이다. 지난 18일 윤 교수는 헤럴드경제와 만나 “비트코인 현물 ETF는 비트코인 시세를 그대로 추종하는 만큼 투자자 입장에선 사실상 비트코인에 투자하는 것과 같은 효과”라면서 “마치 삼성전자 주식을 사듯 비트코인을 사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글로벌이코노믹 "이스라엘- 하마스 전쟁 종료 협상 뉴욕증시 환호"
22일 뉴욕증시에 따르면 미국이 이스라엘과 하마스를 상대로 전쟁 종료로 이어질 수 있는 단계적 외교 과정에 참여하도록 압박하고 있다고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보도에 따르면 이스라엘과 하마스는 미국과 이집트, 카타르가 중재국으로 참여한 새 협상안을 두고 조만간 이집트 카이로에서 협상을 시작할 전망이다. 보도가 나온 후 뉴욕증시에서는 나스닥 다우지수 선물이 환호하고 있다.
더벨 "코인 상장 가이드라인 소급적용? 릴레이 상폐 우려"
금융감독원이 신설한 가상자산 전담부서 첫 목표는 1분기 중 상장 공통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는 것이다. 지난해부터 관련 기업들과 소통해 작업 중이던 부분이기에 빠르게 결과물을 내놓기로 했다. 일각에서는 규칙 시행 이후 기존에 거래되고 있는 코인들도 대상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당국이 이행 여부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할 계획인데 기준에 어긋나는 코인이 상장돼 있으면 안되기 때문이다. 2021년 가상자산 대량 상장폐지 사태를 떠올리게 한다. 특금법 신고를 앞두고 거래소들의 릴레이 상장폐지가 발생한 바 있다. 업비트는 한 번에 24종의 가상자산 거래지원을 종료하기도 했다. 한 해 상장폐지가 총 70건에 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