前 아크인베스트 암호화폐 총괄 "SOL, 시총 3위 암호화폐 도약 전망"
워처구루에 따르면, 전 아크인베스트 암호화폐 부문 총괄이자 블록체인 전문 벤처캐피털 플레이스홀더 매니징 파트너인 크리스 버니스케(Chris Burniske)가 X를 통해 "기술적 관점에서 솔라나(SOL)는 바이낸스의 BNB를 제치고 스테이블코인 외 시총 3위 암호화폐로 올라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그는 "BNB는 3위 '비스테이블 코인' 자리를 영원히 잃을 것이며, 이번 강세 주기에는 항상 BTC, ETH, SOL이 함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코인마켓캡 기준 현재 스테이블코인 외 시총 3위는 BNB가 차지하고 있으며, SOL과의 시총 격차는 약 16.6억 달러를 나타내고 있다.
피델리티, SEC에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 신청 수정안 재차 제출
복수의 외신에 따르면, 글로벌 자산운용사 겸 비트코인 현물 ETF 발행사 피델리티가 2일(현지시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이더리움(ETH) 현물 ETF 신청 수정안(19b-4)을 재차 제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피델리티는 지난달 스테이킹 기능이 포함된 ETH 현물 ETF 신청 수정안을 제출한 바 있다. 이와 관련 블룸버그 ETF 전문 애널리스트 제임스 세이파트(James Seyffart)는 "이번에 제출된 서류는 지난 번 수정안과 비교해 변경된 내용이 없다"며 "SEC의 침묵은 좋은 일이 아니다"라고 진단했다.
외신 "美 암호화폐 은행 커스터디아, 연준 소송 패소에 항소 검토"
폭스비즈니스에 따르면, 미국 암호화폐 전문 수탁은행사 커스터디아(Custodia)가 최근 연방준비제도(Fed·연준)과 진행 중인 소송에서 패소하고 항소를 포함한 모든 옵션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케이틀린 롱(Caitlin Long) 커스터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우리는 디뱅킹(de-banking, 은행들이 암호화폐 관련 계좌를 일방적으로 동결하는 관행)과의 싸움에 최전선에 서있다. 법원의 판결은 연준이 어떤 주 정부보다 강력한 권한을 지녔다는 것과 같은 의미"라고 말했다. 앞서 연준은 커스터디아의 사업 모델과 건전성에 우려를 표하며, 결제 시스템 접속 권한인 '마스터계정'(Master Account)을 부여를 거부한 바 있다. 법원은 지난 3월 31일(현지시간) 연준의 결정이 타당하다고 판결했다. 한편 이와 관련 암호화폐 업계와 일부 정계 인사들의 커스터디아 지지 표명이 잇따르고 있다. 암호화폐에 친화적인 것으로 알려진 미국 상원의원 신시아 루미스(Cynthia Lummis)는 "와이오밍 SPDI(주 정부에서 인가한 특수목적예금기관)인 커스터디아는 마스터계정을 받을 권리가 있다. 연준은 의회에서 통과된 법을 따라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크인베스트 BTC 현물 ETF 일일 유출액, 출시 후 처음 GBTC 상회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멕스(BitMEX) 산하 비트멕스 리서치가 X를 통해 "미국에서 비트코인 현물 ETF가 출시된 이후 처음으로 아크인베스트-21쉐어스의 BTC 현물 ETF ARKB의 일일 유출액이 그레이스케일의 GBTC를 상회했다"고 전했다. 2일(현지시간) 기준 ARKB에서는 8,800만 달러의 순유출이 발생, GBTC는 그보다 적은 8,200만 달러가 빠져나간 것으로 전해졌다.
블록스트림 CEO "美 정부 소유 BTC 매도, 장기적으로 좋은 일"
블록체인 기술 개발사 블록스트림(Blockstream)의 최고경영자(CEO)이자 비트코인 맥시멀리스트 아담 백(Adam Back)이 자신의 X(구 트위터)를 통해 "미국 정부가 압수한 범죄 연루 BTC를 매도하고, 향후 더 많은 달러를 찍어내는 것이 BTC 사용자에게는 좋은 일"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정부는 분명 그럴 것이고, 지금 시점에서는 특히 그렇게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코인니스는 앞서 미국 검찰(DOJ)의 실크로드 압수 자금 보관 월렛이 코인베이스로 2,000 BTC를 이체했다고 전한 바 있다.
Hut 8 CEO "이번 반감기, 채굴업계에 이전과는 다른 규모의 영향 끼칠 것 예상"
비트코인 채굴업체 Hut 8 CEO 애셔 제넛(Asher Genoot)가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비트코인 반감기가 채굴 업계에 이전과는 다른 규모의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그는 "채굴업체들은 반감 이후 격동하는 시장 환경 속에서 살아남을 수 있도록 저비용(low-cost) 운영 전략을 펼쳐야 한다. 이것이 Hut 8 전략의 핵심이다. 낮은 운영 비용을 유지하는 기업이 시장 지배력 및 지속 가능성을 얻게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지난 2022년에는 많은 기업이 부채 중심의 성장을 이뤄냈다. 이후 비트코인 가격이 하락하고 에너지 가격이 상승하면서 부채를 갚기 어려워졌다. 오늘날에는 많은 성장이 주식시장을 통해 이뤄진다"며 "향후 성장에 필요한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암호화폐 채굴 기업을 중심으로 인수합병(M&A) 사례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BTC 최근 고전... 금 상승세 회복"
블룸버그 ETF 전문 애널리스트 에릭 발추나스가 X를 통해 "금이 상승세를 회복했다. 금 ETF(GLD)의 거래량이 블랙록 현물 ETF(IBIT) 보다 많았다. 최근 비트코인이 고전하고 있는 가운데, 금이 긍정적인 흐름을 보인 것이다. 그러나 비트코인은 현물 ETF 출시 이후 여전히 금을 3배 정도 앞지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IBIT가 지난 54일 간 말도 안되는 유입세를 보였고, 조만간 유출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셀레스티아, 아비트럼 전용 데이터 가용성 솔루션 출시
더블록에 따르면 모듈형 블록체인 프로젝트 셀레스티아(Celestia)가 아비트럼 생태계를 위한 데이터 가용성 솔루션 블롭스트림(Blobstream)을 출시했다. 이는 개발자가 데이터 가용성을 위해 셀레스티아를 통해 맞춤형 체인 오르빗(Orbit)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오픈씨, ERC-721C 토큰 표준 지원 추가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NFT 마켓플레이스 오픈씨가 ERC-721C 토큰 표준에 대한 지원을 추가했다. ERC-721C 토큰 표준은 제작자가 로열티를 설정하고 집행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어 NFT 워시트레이딩(자전거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해당 토큰 표준의 호환성은 이더리움의 덴쿤 업그레이드 이후 활성화됐다. NFT 로열티는 일반적으로 2.5~10% 사이에서 설정된다.
3월 비트코인 채굴자, 하루 평균 $6,523만 수익
크립토포테이토가 블록체인닷컴 데이터를 인용, 3월 비트코인 채굴자의 하루 평균 수익은 6,523만 달러라고 전했다. 이는 2월(4,831만 달러), 1월(4,329만 달러) 대비 크게 증가한 수치다.
라울 팔 "암호화폐 사용자, 2025년까지 10억 명 돌파 전망"
유투데이에 따르면 유명 매크로 투자자이자 리얼비전(Real Vision) 최고경영자 라울 팔(Raoul Pal)이 "2025년까지 암호화폐 사용자 수가 10억 명을 넘어설 것"이라고 예측했다. 크립토닷컴 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전 세계 암호화폐 사용자는 5억 명이다. 라울 팔은 "암호화폐의 전 세계 전자상거래 결제 수단 채택률은 0.2%이다. 과거 인터넷 채택률과 비교했을때 두 배 빠른 속도이긴 하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골드만삭스 임원 "자사 고객, 암호화폐에 관심 없어"
골드만삭스 자산관리 부문 CIO 샤르민 모사바르-라흐마니(Sharmin Mossavar-Rahmani)가 월스트리트저널(WSJ)과의 인터뷰에서 "골드만삭스 고객은 암호화폐에 관심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암호화폐가 투자 자산 클래스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우리는 암호화폐를 믿지 않는다. 암호화폐는 그 가치의 실제 평가가 불가능하다. 가치를 평가할 수 없다면 어떻게 강세와 약세를 나타낼 수 있는가"라며 "올해초 블랙록, 피델리티 등이 비트코인 익스포저(노출)에 관심을 표명한 이후에도 골드만삭스 고객은 여기에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이어 "암호화폐 지지자들은 모두 금융의 민주화를 외친다. 하지만 주요 결정은 소수의 지배자들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올해 초에도 "비트코인은 투자가 아닌 투기"라며 "차라리 라스베가스를 가라"고 말한 바 있다.
웹3 블록체인 문게이트, 시드 라운드서 $270만 투자 유치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모듈러 웹3 블록체인 문게이트(Moongate)가 시드 라운드에서 270만 달러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라운드는 토큰베이캐피털, 펜로즈 벤처스, RNR 캐피털, 코지텐트 벤처스, GBV 캐피털, PHD 캐피털, 코인게코, 신세틱스 등이 함께 참여했다. 투자금은 모듈러 웹3 참여 레이어 개발에 사용될 예정이다.
X, 암호화폐 팁 기능 추가 위한 작업 중
X 관련 소식을 전하는 ‘X 뉴스 데일리’ 계정이 암호화폐 팁 기능이 추가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비트코인 결제 앱 스트라이크(Strike)와 연계해 비트코인 라이트닝 월렛을 지원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아이콘 배열에 변화가 생겼다는 설명이다.
친암호화폐 성향 SEC 위원 "암호화폐 커스터디 의무 회계 지침=악성 잡초"
더블록에 따르면 친암호화폐 성향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 헤스터 피어스(Hester Peirce) 암호화폐 커스터디 의무에 대한 회계 지침(SAB 121)에 대해 '악성 잡초(pernicious weed)'라고 비판했다. 피어스 위원은 자신의 의견은 SEC의 의견과는 다르다며 "내가 연설을 한 이후로 해로운 잡초가 비밀 정원(SECret Garden)에 나타났다. 나는 이러한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는 규칙은 일부 직원이 아닌 전체 위원회를 통해 정해야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패러다임, $7.5억 규모 자금 조달 논의 중
트리뉴스가 X를 통해 "암호화폐 벤처캐피털 패러다임이 7.5억~8.5억 달러 규모의 자금 조달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이는 2022년 이후 최대"라고 전했다.
코인베이스 리서치 총괄 "BTC 수요, 곧 회복된다... 월스트리트 주도"
DL뉴스에 따르면 코인베이스의 기관 전용 암호화폐 리서치 책임자 데이비드 두옹(David Duong) 및 데이비드 한(David Han)이 보고서를 발표, 비트코인에 대한 수요가 곧 회복될 것으로 예측했다. 보고서는 "비트코인에 대한 수요 회복은 월스트리트 기관에 의해 주도될 것이다. 월스트리트가 비트코인 ETF에 대한 실사(Due Diligence)를 마치고 고객에게 관련 상품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를 통해 중기적으로 미국의 BTC 현물 ETF는 상당한 자금을 확보하게 될 것"이라며 "또한 비트코인 반감기 역시 또다른 촉매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주, 코인베이스서 3만 BTC 상당 대규모 출금 발생
크립토포테이토에 따르면 코인베이스에서 이번 주 각각 16,800 BTC와 17,000 BTC의 두 차례 대규모 출금이 발생했다. 크립토퀀트는 "해당 출금은 기관매입이나 비트코인 현물 ETF와 관련이 있어보인다"고 설명했다. 해당 출금은 4월이 시작되면서 비트코인 가격 급락과 함께 발생했다.
레이어2 블록체인 캠프 네트워크, 시드 라운드서 $400만 투자 유치
더블록에 따르면 모듈러 레이어 2 블록체인 캠프 네트워크(Camp Network)가 시드 펀딩 라운드에서 400만 달러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라운드는 메이븐11이 주도했으며, OKX, 프로타고니스트, 인셉션 캐피털, 페이퍼 벤처스, HTX, 문락 캐피털, 에터나 캐피털 등이 함께 참여했다. 투자금은 6월 메인넷 출시 전 네트워크 구축에 사용될 예정이다.
분석 "이더리움 유동성 리스테이킹 토큰, 리스크 극대화 우려"
코인데스크가 코인베이스 분석을 인용, 이더리움의 유동성 리스테이킹토큰(LRTs)이 리스크를 극대화 할 수 있다고 전했다. 보고서는 "이더리움 리스테이킹 프로토콜 아이겐레이어(Eigenlayer) 등은 밸리데이터가 스테이킹된 이더리움을 다시 스테이킹하여 추가 보상을 얻을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스테이킹 생태계 기반을 구축하고자 한다. 그러나 LRT 래퍼(wrappers)를 채택할 경우 불투명한 스테이킹 전략으로 숨겨진 리스크에 노출될 수 있으며, 투자자들은 더 높은 보상을 제공하는 LRT 제공업체로 이동해 수익을 극대화 하고자 시도하므로 추가적인 리스크에 노출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LRT DAO는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여러 번의 리스테이킹을 권장하기 때문에 리스크가 가중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북오브밈 창립자, 토큰 소각 APP 최종 테스트 진행중
솔라나(SOL) 기반 밈코인 북오브밈(BOME) 창립자 다크팜스(Darkfarms)가 X를 통해 토큰 소각 애플리케이션의 최종 테스트가 진행중이라고 밝혔다. 다크팜스는 "이더리움 혹은 프렌(Fren) 지갑 주소를 입력한 뒤 888 BOME을 소각하면 에어드랍 클레임 목록에 추가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테스트가 잘 진행된다면 이더리움 및 베이스 체인에서 JPEG를 지원할 뿐만 아니라 다른 아티스트 및 프로젝트의 블록체인도 지원하는 CC0 밈 아트 배포 작업을 계속 진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코인리스트, 2024년 봄 시즌 시드 투자 프로젝트 리스트 공개
토큰 세일 플랫폼 코인리스트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2024년 봄 시즌 배치(2024 Spring Batch) 프로젝트 명단을 공개했다. 코인리스트는 매 시즌별로 시드 투자를 진행한 초창기 프로젝트 정보를 공개한다. 이번 봄 리스트에는 Aarc, BAXUS, Earn Alliance, Grove, Plato Protocol, Pocket Universe, Sleepagotchi, Spaces Protocol, Sustainable Bitcoin Protocol, Unstable Protocol, Watches.io 등 11개 프로젝트가 포함됐다.
레드스톤, USDe와 sUSDe 가격 피드 제공
EVM 레이어1 및 레이어2 전용 디파이 오라클 프로젝트 레드스톤(RedStone)이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맨틀(MNT)에서 에테나랩스(Ethena labs)의 USDe와 sUSDe 가격 피드를 제공하게 됐다고 밝혔다.
외신 "미 정부, '실크로드 압수' BTC 코인베이스 프라임으로 일부 이체"
더블록 프로 X 계정이 '미국 검찰(DOJ)의 실크로드 압수 자금'이라고 표시된 월렛이 코인베이스 프라임으로 0.001 BTC를 이체, 즉 테스트 거래를 진행했다고 전했다. 해당 월렛에는 20억 달러 상당의 비트코인이 포함돼 있다. 이후 해당 월렛은 한국시간 기준 3일 1시 59분 경 1,999.999 BTC(약 1억 3,127만 달러)를 테스트 거래를 실시한 코인베이스 주소 및 신규 주소로 이체했다. 테스트 송금 포함 약 2,000 BTC가 코인베이스 핫월렛으로 입금된 셈이다.
뉴스 속보를 실시간으로...토큰포스트 텔레그램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