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 주도의 정책 변화와 암호화폐 우호 기조가 이어지며, 5월 이후 비트코인(BTC)의 강세가 예상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시장조사업체 K33는 ‘보유 전략’을 권고하며, 계절적 약세를 보완할 수 있는 핵심 촉매제로 트럼프 정책을 지목했다.
7일(현지시간) 더블록에 따르면, K33 리서치팀의 베틀 룬데(Vetle Lunde)와 데이비드 짐머맨(David Zimmerman)은 기존 금융시장 격언인 ‘5월엔 팔고 떠나라’ 대신 ‘5월엔 보유하고 머물라’는 전략을 내놓으며 비트코인의 계절적 약세를 극복할 변화를 설명했다. 이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촉발한 다양한 정책들이 여름 내내 시장의 리스크 허용도를 높이고 암호화폐에 유리한 지형을 제공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대표적인 촉매는 ‘전략적 비트코인 비축(Strategic Bitcoin Reserve)’이다. 트럼프는 3월 행정명령을 통해 미 정부가 보유 중인 20만 개(약 190억 달러)의 비트코인을 활용해 국가 비축을 추진하라고 지시했다. 또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Scott Bessent)에게는 세금 부담 없이 추가 확보 가능한 전략도 마련하라고 지시했으며, 연방정부와 각 주의 관련 보고서 제출 기한이 지난 5월 초 도래했지만 현재까지는 공개된 내용이 없다. 이 지연은 향후 시장에 예기치 않은 변동성을 야기할 수 있는 변수로 지목된다.
이외에도 뉴햄프셔 주는 미국 최초로 자체 전략적 비트코인 준비금 법안을 통과시켰으며, 애리조나, 일리노이, 메릴랜드, 미시간, 텍사스 등도 유사 법안 도입을 검토 중이다. K33는 “주식시장은 트럼프발 관세 재도입 이슈로 여전히 타격을 받을 수 있는 반면, 비트코인은 이번 여름 상대적 강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예측했다.
실제로 비트코인은 지난 4월 글로벌 증시 급락 당시에도 상대적으로 낮은 하락폭을 기록하며 리스크 회피 환경 속에서 강한 방어력을 입증했다. 특히, 자산 간 상관계수가 줄어들며 비트코인의 ‘베타’가 감소한 점은 시장 내 투자 다변화 수단으로서의 위상을 높이고 있다.
K33는 또 파생상품 시장에서도 레버리지 롱 포지션 비중이 낮아 급격한 롱 청산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했다. 현재 펀딩비는 4월 이후 계속해서 음의 영역에 머물고 있으며, 이는 ‘지속 가능한 강세 기조’의 조건으로 해석될 수 있다고 전했다.
마지막으로 보고서는 “우리는 BTC가 8만 달러 이하일 때 재매집 전략을 실행해 왔으며, 지금은 보유 전략으로 전환할 시점”이라며 분석을 마무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