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블 코인 시장이 다시 요동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세력이 개입된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orld Liberty Financial)이 약 139억 원(1,000만 달러) 규모의 투자를 발표하며, 새로운 스테이블 코인 프로젝트 팔콘 USDf(Falcon USDf)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이 투자 행보는 단순한 자금 투입을 넘어 새로운 정치세력이 주도하는 암호화폐 금융 네트워크 형성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번 투자의 배경에는 트럼프 캠프의 주요 후원자들이 손잡고 만든 금융 벤처가 있다.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은 정책 친화적 환경에서 스테이블 코인 생태계 확산을 목표로 내세우며, 공화당 성향 투자자들과의 강력한 연계를 앞세워 영향력 확대에 나서고 있다. 특히 달러화 기반의 USDf는 기존 테더(USDT)나 USDC와 같은 주류 스테이블 코인에 대응하는 새로운 대안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암호화폐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된 이후, 미국 내 암호화폐 관련 정책이 느슨해지며 탈중앙화 금융(DeFi)과 토큰화된 자산 유통에 긍정적인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이러한 완화 기조 속에서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이 발 빠르게 움직였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시장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 투자에 정치적 영향력이 가미된 점을 주목하고 있다. 일부 분석가는 “이번 팔콘 USDf 투자는 단순한 민간 금융 프로젝트가 아니라, 차기 공화당 행정부가 밀어붙일 온체인 금융 전략의 신호탄일 수 있다”고 평가했다.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은 이번 투자를 통해 미국 내 스테이블 코인 경쟁구도에 도전장을 던졌다. 테더와 서클이 장악한 시장에 새로운 경쟁자가 등장하며, 내년 대선을 앞두고 정치적 이슈와 맞물린 정책 중심의 코인 전략이 본격화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분석이다.
향후 팔콘 USDf의 실제 채택 여부와 시장 반응이 성공의 핵심 관건이 될 전망이다. 다만 암호화폐에 우호적인 정책 흐름 속에서 시작된 이번 움직임은, 스테이블 코인을 둘러싼 정치-금융 복합 체계의 실험장이 될 공산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