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베이스의 래핑 비트코인(cbBTC)에서 최근 거래량이 6,887% 급등하며 시장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24시간 기준 대규모 거래량이 무려 144억 2,000만 달러(약 20조 436억 원)에 이르렀는데, 이는 평소 수준을 훨씬 웃도는 규모다.
온체인 분석 플랫폼 인투더블록(IntoTheBlock)의 데이터에 따르면, 이 같은 거래량 증가는 고래 투자자들의 집단 이동일 가능성이 높다. 매수인지 매도인지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일정 수준 이상의 자금이 갑작스럽게 움직였다는 점만으로도 시장 전반에 상당한 의미를 갖는다. 고래 중심의 급격한 자금 이동은 주로 기관 또는 대형 투자자의 전략적 대응일 가능성이 높다.
cbBTC는 비트코인(BTC)을 기반으로 코인베이스에서 발행한 래핑 자산으로, 사용자는 이를 이더리움(ETH), 솔라나(SOL), 아비트럼(ARB), 베이스(Base) 네트워크에서 자유롭게 송수신할 수 있다. 각 cbBTC는 1:1로 원본 비트코인에 의해 담보되어 있으며, 다양한 블록체인 간 자산 호환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활용도가 높은 암호화 자산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대규모 거래가 발생한 배경은 아직 명확하지 않지만, 업계 전문가들은 비트코인을 활용한 장기 투자 및 기관 자산 배분 전략 가능성을 주목하고 있다. 최근 미국 정부가 401(k)와 같은 연금계좌에서 비트코인을 포함한 대체자산 편입을 허용하는 행정명령을 검토 중이라는 소식도 이러한 움직임과 맞닿아 있다. 이 경우 근 1,250조 원에 달하는 연금 자금의 일부가 암호화폐 시장으로 유입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한편, 비트코인 시장 자체는 최근 들어 상승 모멘텀 둔화와 함께 현물, 선물, 옵션, ETF 등 전반적 거래소 유동성이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트레이더들 사이에서는 매도 피로감이 감지되긴 하지만, 시장 구조가 여전히 불안정한 만큼 추세 반전에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이번 코인베이스 래핑 비트코인의 초대형 거래 급증은 비트코인에 대한 기관의 관심이 여전함을 보여주는 단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향후 이 자금 흐름이 구체적으로 어떤 움직임으로 이어질지는 또 다른 시장 촉매로 작용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