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지방선거 후보는 디지털자산으로 후원금을 모을 수 있을까? 국제디지털자산위원회(이사장, 원은석 목원대 교수)는 정치후원금 모금에 디지털자산 활용을 목표로 '정치후원금 디지털자산으로!' 캠페인을 시작한다.
이 캠페인은 ▶️정치후원금에 대한 유권자 관심 제고 ▶️정치후원금 모금 확대를 위한 새로운 수단 확보 ▶️디지털자산에 대한 사회적 인식 확산 ▶️ 디지털자산 활용 모델 구축 등을 목표로 삼고 있다.
국제디지털자산위원회(이하 IDAC)는 건전한 디지털 자산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사회 공헌, 문화예술, 교육 및 환경 등 사회 다양한 분야에서 디지털자산 확산 활동을 수행하는 기획재정부 지정 공익단체다. IDAC은 지난 6월 13일 국회 세미나를 통해 디지털자산을 활용한 정치후원금 모금의 실현 가능성을 확인한 바있다.
캠페인에 지지하고 참여하는 사람은 캠페인 문구와 함께 사진을 찍어 SNS에 올리는 '인증샷 이벤트'에 참여하거나, 캠페인 참가 신청서를 작성하면 된다. IDAC은 다양한 일반인이 참여하는 대중 캠페인으로 참여자를 확보한 후, 관계 기관에 ‘디지털자산 모금의 효율’와 ‘정치후원금 모금을 위한 시행령 마련’을 요청할 예정이다.
캠페인에 첫 지지를 보내 준 사람은 디지털자산기본법을 발의한 민병덕(안양 동안구 갑) 의원이다.
민병덕의원은 “현재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다양한 사회 분야와 접목하여 새로운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다. 정치후원금으로 대표되는 후원금 및 기부금 모금 분야에도 혁신적인 서비스와 장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원은석 IDAC의 이사장은 “본 캠페인을 통해 디지털자산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넓히고 구체적인 활용 모델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정치권의 참여뿐만 아니라 사회 다양한 분야에서 본 캠페인에 관심을 가지고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하여 디지털자산을 활용한 모금이 일상의 활동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게 힘쓰겠다”라고 의지를 밝혔다.
2026년 지방선거 도입 가능성에 대해 IDAC은 금융위원회가 외부감사 비영리법인에 디지털자산 모금을 허용한 점에 주목하고 있다. 기부금 사용 내역 공개는 의무사항으로 제도적 투명성이 확보되어 허용한 만큼, 선거관리위원회의 엄격한 사용 내역 감시가 뒤따르는 정치후원금도 충분한 제도를 갖추고 있다. 더불어, 금융위는 AML·KYC 인증에 대한 경험과 역량을 갖추고 있기에 두 기관의 제도적 장점을 결합하면 시행령 정비만으로도 정치후원금 디지털자산 모금이 가능하며, 가격 변동성 문제는 스테이블코인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