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시장이 하루 만에 총 약 6,221억 원(4억 4,700만 달러) 이상의 대규모 청산을 겪으며 극심한 변동성을 드러냈다. 이 과정에서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XRP 등 주요 자산이 일제히 타격을 입으며 투자자 심리를 급속히 냉각시켰다. 특히 이더리움은 일간 기준으로 가장 많은 약 2,448억 원(1억 7,600만 달러) 규모의 롱 포지션이 청산되며 취약한 모습을 보였다.
청산 분포도를 살펴보면, 비트코인은 약 1,404억 원(1억 100만 달러), XRP 등 알트코인들도 약 347억 원(2,500만 달러) 이상의 청산 피해를 입었다. 거래소별로는 바이낸스와 바이비트에서 가장 많은 포지션 청산이 일어났고, 중형급 알트코인에서는 단기 매도 포지션이 집중되며 추가 압박이 가해진 것으로 분석된다.
분석가들은 비트코인이 기술적 지지선인 100일 이동평균선 인근에서 간신히 지지를 받고 있지만, 회복세는 미약하다고 지적한다. 현재 비트코인은 약 1억 5,519만 원(111,000달러)~약 1억 5,610만 원(112,000달러) 사이에 머무르고 있으며, RSI(상대강도지수) 수준이 하락 추세에 접어들면서 투자자들의 기대 심리가 다소 약화됐다. 다음 주요 지지선은 약 1억 5,290만 원(110,000달러) 수준으로, 이를 하회할 경우 약 1억 4,456만 원(104,000달러)까지 추가 하락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더리움은 최근 고점인 약 6,672만 원(4,800달러)에서 급락해 현재 약 5,838만 원(4,200달러) 수준까지 밀린 상태다. 기술적 지표는 중립 구간으로 회귀했지만, 청산 규모와 거래량 감소는 매수세 약화를 반영한다. 단기 지지선은 50일 지수이동평균선인 약 5,606만 원(4,040달러)으로 확인되고 있으며, 추가 하락 시 약 5,004만 원(3,600달러)까지 열려 있다.
한편, XRP, 솔라나(SOL) 등 주요 알트코인도 유사한 흐름을 보이며 급격한 청산의 여파를 피하지 못했다. 시장 규모가 큰 코인들마저 레버리지 청산에 직면하면서, 향후 며칠간은 전반적인 변동성 확대와 투자자 리스크 관리 강화가 이어질 전망이다.
이번 대규모 청산은 시장 내 레버리지 의존도가 여전히 높은 상황에서 투자자들이 얼마나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지를 가늠하게 한다. 단기적 반등 가능성도 열려 있지만, 강한 매수세 유입 없이는 급격한 회복을 기대하긴 어려운 환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