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반도체 기업 인텔의 지분 10%를 확보한다는 발표가 시장을 놀라게 한 가운데, 암호화폐 업계에서도 유사한 시나리오가 현실화될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최근 미국 정부가 총 90억 달러(약 12조 5,100억 원)를 투입해 인텔($INTC) 주식을 매입하기로 결정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정부의 전략적 지분 투자 방식이 비트코인(BTC) 산업을 향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 조심스레 제기됐다.
초기 비트코인 투자자 튜어 드미스터는 "미 정부가 인텔에 했던 방식처럼 비트코인 기업에도 손을 뻗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X(구 트위터)를 통해 "역사는 한때 극단으로 여겨졌던 조치들이 위기 상황에서는 빠르게 주류가 될 수 있음을 증명해왔다"고 주장했다. 해당 경고는 투자사 애더먼트 리서치가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서도 일부 뒷받침되고 있다.
보고서는 "규제 환경의 완화에도 불구하고, 수탁 중인 비트코인 자산에 대한 역사적 리스크는 여전히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미국 내 높은 규제를 받는 온쇼어 기관에 예치된 대규모 비트코인은 몰수나 재담보화(rehypothecation)의 직접적인 위험에 노출돼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는 마치 과거 금융기관들이 고객 자산을 반복적으로 담보로 제공하던 과거의 섀도 뱅킹 관행을 떠올리게 한다.
이번 인텔 지분 매입처럼 암호화폐 시장에서도 정부가 관여할 수 있는 정당성이 만들어진다면, 업계 전반에 상당한 불확실성이 확산될 수 있다. 보고서는 "암호화폐 업체에 대한 국유화 또는 지분 인수가 늘어날 경우, 비트코인의 핵심인 탈중앙화 원칙이 훼손될 위험도 존재한다"고 경고했다.
더불어 애더먼트 리서치는 "기존의 선도적 위치나 시장 점유율보다는 다국가에 걸쳐 분산된 운영 구조를 가진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보다 안전한 선택"이라며 투자자들에게 신중함을 주문했다. 또한 "결국 가장 중요한 것은 직접적인 자산인 비트코인에 대한 노출이지, 그것을 보유한 기업이 아니라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암호화폐 업계에선 이번 이슈가 단지 우려에 그칠지, 아니면 정부 규제가 실제 투자로 이어질지를 두고 날카로운 시선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일부 정치적 기조에서 나타난 국가 주도 산업 육성 전략이 암호화폐 산업까지 확대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한편, 업계 전문가들은 암호화폐 기업에 대한 정부 개입이 현실화될 경우 수탁 자산에 대한 관리 방식 및 기업 지배 구조에 큰 변화가 불가피하다고 본다. 지금은 "크립토에 대한 신뢰와 자율성을 보장하려면 정부의 개입 범위를 최소화하는 해답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