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ys
  • Hours
  • Mins
  • Secs

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이더리움($ETH), 거래소 잔고 3년래 최저…ETF·기업 수요 급증 영향

프로필
민태윤 기자
댓글 7
좋아요 비화설화 7

이더리움의 중앙화 거래소 보유량이 1,740만 개로 3년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ETF 승인과 기업 수요 급증이 시장 유동성 축소를 유발했다.

 이더리움($ETH), 거래소 잔고 3년래 최저…ETF·기업 수요 급증 영향 / TokenPost.ai

이더리움($ETH), 거래소 잔고 3년래 최저…ETF·기업 수요 급증 영향 / TokenPost.ai

중앙화 거래소에서 이더리움(ETH)의 보유량이 최근 3년래 최저치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 투자자와 기업 구매자들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시장에서의 유동성 축소가 두드러지고 있다.

온체인 데이터 분석업체 크립토퀀트(CryptoQuant)에 따르면, 2022년 9월 약 2,880만 ETH에 달하던 거래소 보유량은 현재 약 1,740만 ETH 수준으로 줄었다. 불과 최근 3개월 사이에 약 250만 ETH가 거래소에서 빠져나갔다. 이는 전체 물량의 약 37%가 감소한 셈이다.

이더리움 수급 불균형은 새로운 투자 수단의 등장과도 맞물려 있다. 지난 2024년 7월, 미국에서 현물 기반 이더리움 상장지수펀드(ETF)가 승인된 이후 빠르게 자금이 유입됐다. 코인글래스(CoinGlass) 자료에 따르면, 이들 ETF에는 현재까지 130억 달러(약 18조 700억 원)가 넘는 순유입이 발생했다. 특히 6월부터 8월까지 3개월 동안 100억 달러(약 13조 9,000억 원)가 집중 유입됐으며, 7월에는 한 달간 54억 달러(약 7조 5,060억 원) 규모로 정점을 찍었다.

기업 차원의 수요도 이더리움의 유통량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몇 달 사이 다수의 상장사가 이더리움 보유를 공식화하며 재무전략의 일부로 편입하고 있다. 기업들의 꾸준한 매입은 거래소 유통량을 더욱 압박하는 데 일조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단지 투자수요 확장에 그치지 않는다. 거래소 내 이더리움 잔고 감소는 수급 균형 측면에서 매도압력을 억제하고, 장기적으로는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암호화폐 ETF의 제도권 진입이 실제 시장 수급에까지 영향을 준 구체적인 사례로 해석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7

추천

7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7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디스나

09:48

등급

사계절

09:40

등급

광란의셔터

08:55

등급

빅리치

08:51

댓글 7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디스나

2025.09.04 09:48:25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사계절

2025.09.04 09:40:24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광란의셔터

2025.09.04 08:55:37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빅리치

2025.09.04 08:51:35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토큰부자

2025.09.04 08:34:07

기사 잘 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백제

2025.09.04 07:05:39

이더리움도 하이팅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백제

2025.09.04 07:05:00

비가오네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