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금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민병덕 의원(더불어민주당)은 바이낸스의 고팍스 인수와 네이버–두나무 합병 이슈를 잇따라 문제 삼으며 금융당국의 철저한 관리·감독을 촉구했다.
민 의원은 "3년 전 미국 기업의 파산으로 고파이(GOFi) 사태가 발생했고 피해자는 약 5만 명, 피해 규모는 500억~1000억 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그는 "바이낸스가 고팍스를 인수할 고파이 피해액 전액 상환을 조건으로 지분을 확보했지만 실제 상환은 아직 이뤄지지 않았다"며 "이는 자금을 직접 투입하지 않고 피해 상환을 조건으로 한 전형적인 무자본 M&A"라고 지적했다.
민 의원은 최근 대주주 변경 신고가 수리됐는데 금융위가 바이낸스로부터 받은 구체적인 상환 계획이 있는지 질문했다.
그는 "바이낸스가 FIU의 대주주 변경 수리 절차를 이유로 피해 상환을 미뤄왔고 그 과정에서 피해자들을 협상 카드로 삼는 듯한 행태를 보였다"며 "이제 대주주 변경 신고가 수리된 만큼 금융당국이 직접 나서 피해 보상이 완전히 이행될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사안뿐만 아니라 향후 거래소 면허 갱신 등과 같은 절차에서도 금융당국이 책임 있는 감독 권한을 행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민 의원은 "바이낸스가 국내 시장에 본격 진출할 경우 가상자산 업계 경쟁이 과열될 수 있다"며 "전과 이력이 있는 기업인 만큼 오더북 정보의 무단 활용 및 유출 등과 관련해 금융당국이 엄격한 관리·감독에 나서야 한다"고 당부했다.
네이버–두나무 합병설에 주가 들썩…미공개 정보 이용 가능성 제기
민 의원은 이어 네이버와 두나무 간 합병 추진설과 관련한 미공개 정보 이용 의혹도 제기했다.
그는 "플랫폼 기업 1위 네이버와 디지털자산 거래소 1위 두나무가 주식 교환을 포함한 협력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22위, 36위인 두 기업이 합병하면 글로벌 14위권 규모의 대형 플랫폼이 탄생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관련 공식 공시는 단 한 줄뿐이고 공식적이지 않다면서 "네이버는 '당사는 두나무와 주식 교환을 포함한 다양한 협력 방안을 검토 중에 있으며 현재까지 구체적으로 확정된 바가 없다'고 공시했다"고 밝혔다.
또한 "공식 발표 이전인 오전 10시 40분부터 두 기업의 주가와 거래량이 급등했다"며 "뉴스 보도는 오후 3시에 나왔는데, 미공개 정보에 따른 시세 조작 아니냐. 글로벌 14위 규모가 되는 합병이 이렇게 깜깜이로 진행돼도 되느냐"고 지적했다.
민 의원은 "공식적인 문서도 발표도 없는 상태에서 시장이 움직이고 (대형 합병이) 카더라 통신으로 되고 있는 것이 문제"라며 "국내외 투자자들이 무엇을 믿고 투자를 할 수 있겠나"라며 조사를 촉구했다.
이에 이 금융위원장은 "이처럼 중요한 사안이 이런 식으로 전개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언론 보도 경위와 관련 내용을 살펴보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