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암호화폐 과세를 피할 수 있는 국가들이 새로운 투자처로 주목받고 있다. 글로벌 세무 당국의 규제가 강화되는 가운데에서도, 몇몇 국가는 오히려 암호화폐에 대한 전면적인 세금 면제 정책을 펼치며 트레이더, 장기 보유자, 디지털 자산 기업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대표적인 곳이 바로 케이맨제도다. 이 지역은 소득세·양도소득세·법인세가 모두 없다는 점에서 전형적인 디지털 자산 무(無)세금 지대로 꼽힌다. 비트코인(BTC)을 사고팔거나 장기 보유하는 것뿐만 아니라, 디파이(DeFi) 플랫폼을 운영하더라도 세금 부담이 발생하지 않는다.
케이맨의 규제 체계도 점차 명확해지고 있다. 오는 2025년 4월부터는 개정된 ‘가상자산서비스제공업자법(Virtual Asset Service Providers Act)’이 본격 시행되며, 이에 따라 거래소나 커스터디 업체 등도 법적 안정성을 갖춘 환경에서 영업이 가능해진다. 새로운 제도는 국제 기준에 맞춰 설계되었으며, 규제를 중요시하는 투자자들에게도 매력적이다.
안정적인 경제도 눈에 띈다. 케이맨 달러는 미국 달러에 연동되어 환율 변동 리스크를 최소화했고, 영국식 공통법(Common Law)에 기반한 법률 체계는 외국인에게도 법적 보호를 제공한다. 여기에 고급스러운 삶의 환경과 외국인 친화적 문화까지 더해지며, 암호화폐 투자자와 기업인들이 장기 정착을 고려할 만한 조건을 갖췄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 재임 기간 및 이후 암호화폐 지지자들 사이에서 “2025년에 암호화폐 무세 국가는 어디인가?”라는 질문이 반복된 가운데, 케이맨제도는 그 해답으로 거론되기에 부족함이 없다. 본격적인 세금 회피 전략을 구상 중인 이들에게, 케이맨은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