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가운데, 대표적인 금 옹호론자 피터 시프(Peter Schiff)가 비트코인(BTC) 부진을 겨냥해 다시 한번 날을 세웠다. 시프는 최근 소셜미디어에 올린 게시글에서 “비트코인은 아무 일도 안 하고 있다”며, 금과의 극명한 성과 차이를 지적했다.
이날 금은 사상 처음으로 온스당 3,600달러(약 5백 2만 원)를 돌파하며 새로운 기록을 세웠다. 시프는 이와 관련해 “인플레이션 압력이 심화되고 연준이 금리 인하를 준비하는 상황에서 금의 반등은 전혀 놀랍지 않다”고 밝혔다. 실제로 이날 발표된 미국 노동부의 고용지표는 시장 예상보다 부진했으며, 이에 따라 금리 인하 가능성은 더욱 높아진 상태다.
시프는 이번 금의 상승 흐름을 계기로 “비트코인에 베팅한 사람들은 잘못된 자산을 선택했다”고 직격했다. 그는 “올해 금은 비트코인을 누르고 단연코 안전자산으로서의 우위를 입증하고 있다”며 “비트코인 대비 금의 성과는 올해만 13% 상승 차이를 보일 정도로 두드러진다”고 꼬집었다.
비트코인의 시장 시가총액이 월등한 상황에서도 금이 더 안정적인 자산으로 평가받는 현상은, 현시점에서 투자자들이 위험 회피 성향을 강화하고 있음을 방증한다. 연준의 긴축 기조 후퇴와 경기 둔화 조짐 속에서, 기존 통화 시스템에 기반한 실물자산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시프는 평소에도 비트코인을 '디지털 사기'에 비유하며, 금이야말로 진정한 가치 저장 수단이라고 주장해왔다. 그의 전통 자산 우호적 관점은 오랜 세월 동안 암호화폐 커뮤니티와 논쟁을 벌이는 배경이 되어 왔다.
반면, 비트코인 지지자들은 이런 주장에 대해 아직 침묵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정책 변화, 글로벌 인플레이션 흐름,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 가능성과 같은 거시적 불확실성은 디지털 자산 시장에도 분명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소다.
이번 성명은 단순한 금 우위 선언을 넘어, 위험 자산과 안전 자산 간의 중심축이 바뀌고 있음을 의미하는 메시지로도 해석된다. 침체 우려가 확산되는 현시점에서, 향후 몇 분기 동안 비트코인과 금의 성장 궤도가 어떻게 엇갈릴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