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국내 암호화폐 의심 거래 신고, 8개월 만에 사상 최대치 돌파

프로필
서지우 기자
댓글 1
좋아요 비화설화 1

올해 1~8월 국내 가상자산사업자들의 의심 거래 신고 건수가 3만 6,684건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이는 자금세탁 등 불법 자금 흐름에 대한 당국의 단속 강화에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국내 암호화폐 의심 거래 신고, 8개월 만에 사상 최대치 돌파 / TokenPost.ai

국내 암호화폐 의심 거래 신고, 8개월 만에 사상 최대치 돌파 / TokenPost.ai

올해 들어 국내에서 보고된 암호화폐 관련 의심 거래 신고 건수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수치는 이미 지난 2년치 전체 신고 건수를 넘어섰으며, 불법 자금 흐름에 대한 당국의 단속이 강화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연합뉴스는 진성준 국회의원이 금융정보분석원(FIU)에서 제출받은 자료와 관세청 통계를 인용해, 2025년 1월부터 8월까지 국내 가상자산사업자(VASP)들이 의심 거래 보고(STR, Suspicious Transaction Report) 총 3만 6,684건을 제출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2023년(1만 6,076건)과 2024년(1만 9,658건)을 합친 수치보다 많고, 2021년의 199건이나 2022년의 1만 797건과 비교해도 폭발적인 증가다.

의심 거래 보고는 자금세탁방지(AML)를 위한 핵심 도구 중 하나로, 국내에서는 금융회사, 카지노, 그리고 가상자산사업자 등이 자금이 범죄 수익, 자금세탁, 테러자금 지원 등과 연관됐다고 판단될 경우 당국에 보고하도록 규정돼 있다.

올해 STR 신고 건수가 이처럼 급증한 것은 암호화폐 시장의 성장과 함께 불법 자금 활용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확산됐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FIU와 관련 기관들은 과거보다 강화된 모니터링 체계를 운영 중이며, 가상자산사업자들도 그에 맞춰 감독 및 보고 기준을 엄격히 적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암호화폐가 점차 제도권으로 편입되고 있지만, 범죄나 탈세 수단으로 악용될 가능성도 여전히 존재한다. 이번 자료는 자금세탁 방지 활동이 단순한 규제 수준을 넘어, 실질적인 시장 건전성 유지의 핵심 수단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댓글

댓글

1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대한코린이

20:11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대한코린이

2025.09.22 20:11:38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