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네이버, 업비트 품고 디지털 금융 본격 진출…카카오 제치나

프로필
연합뉴스
댓글 2
좋아요 비화설화 4

네이버가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를 계열사로 편입하며 디지털 자산 기반 결제 시장 진출에 나섰다. 메리츠증권은 이를 통해 네이버가 종합 디지털 금융 플랫폼으로 확장할 가능성을 제기했다.

 네이버, 업비트 품고 디지털 금융 본격 진출…카카오 제치나 / 연합뉴스

네이버, 업비트 품고 디지털 금융 본격 진출…카카오 제치나 / 연합뉴스

네이버가 가상자산(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의 운영사인 두나무를 계열사로 편입하면서, 디지털 자산 기반 결제 사업으로의 영역 확장이 본격화될 조짐이다. 증권가에서는 이를 통해 네이버의 핀테크 플랫폼이 실물경제와 더욱 긴밀히 연결될 수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26일 메리츠증권은 네이버의 이번 두나무 편입이 단순한 투자 수익을 넘어 디지털 자산 생태계 전반에 진출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네이버의 금융 자회사인 네이버파이낸셜이 기존의 단순한 간편결제 역할에서 벗어나 디지털 토큰 기반 결제나 실물자산 토큰화(RWA, Real World Asset) 등 신사업에 나설 여지가 생겼다는 것이다.

현재 네이버파이낸셜은 네이버와 미래에셋그룹이 각각 75%, 25%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미래에셋증권이 참여하는 토큰화 사업에 편입된 두나무가 유통 채널로 협력할 수 있는 구조도 가능해진다. 쉽게 말해, 기존 금융 자산을 디지털 자산 형태로 토큰화한 뒤 이를 두나무를 통해 거래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보고서를 작성한 이효진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네이버파이낸셜을 통해 플랫폼 내 디지털 자산을 실생활 결제로 이어가는 구상이 가능하다고 밝혔고, 이러한 확장성은 경쟁사인 카카오의 주춤한 행보와 맞물려 더 부각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카카오는 지난 23일 공개한 카카오톡 개편안에 대해 사용자들의 반발이 거세 업데이트를 보류한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카카오 창업자인 김범수 경영쇄신위원장이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로 기소돼, 다음 달 1심 선고를 앞두고 있는 점도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 이에 따라 카카오의 실적 전망과 주가 적정가치 하향 조정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 네이버가 상대적 우위를 점할 수 있다는 것이 메리츠증권의 분석이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네이버의 디지털 금융 사업이 증권, 결제, 자산 운용 등으로 넓어지며 ‘종합 디지털 금융 플랫폼’으로 자리 잡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업비트와의 시너지가 어떻게 전개될지에 따라 인터넷 업계의 금융 주도권에도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2

추천

4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4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석이시대

11:24

등급

바다거북이

11:18

등급

Slowpoke82

11:18

등급

디스나

11:03

댓글 2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바다거북이

2025.09.26 11:18:51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디스나

2025.09.26 11:03:20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