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12년 잠든 비트코인,突 613억 원 이동…닉 재보 “자산 몰수 대비 가능성”

프로필
서지우 기자
댓글 1
좋아요 비화설화 1

12년간 비활성 상태였던 비트코인 지갑에서 약 613억 원어치의 코인이 이동해 커뮤니티에 파장을 일으켰다. 닉 재보는 미 캘리포니아 법안에 따른 자산 몰수 가능성을 배경으로 분석했다.

 12년 잠든 비트코인,突 613억 원 이동…닉 재보 “자산 몰수 대비 가능성” / TokenPost.ai

12년 잠든 비트코인,突 613억 원 이동…닉 재보 “자산 몰수 대비 가능성” / TokenPost.ai

미국에서 장기 미접속 비트코인(BTC) 지갑에서 약 400 BTC, 즉 약 613억 원(44,000,000달러) 규모의 코인이 갑자기 이동해 커뮤니티가 술렁이고 있다. 전설적인 암호학자 닉 재보(Nick Szabo)는 이 사례에 대해 국가의 자산 몰수 가능성이 배경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해당 트랜잭션은 최근 12년간 사용되지 않았던 주소에서 발생했으며, 온체인 분석 플랫폼 웨일 얼러트에 의해 보고됐다. 거래 시점 기준 해당 BTC는 1BTC 당 약 11만 달러(약 1억 5,290만 원) 선으로 평가됐다.

이 가운데 가장 많은 주목을 받은 관측은 지난 1990년대 합병된 미국 투자은행 '살로몬 브라더스'가 아닌, 같은 이름을 사용하는 익명의 단체가 오래된 지갑을 법적 명분 아래 공격하고 있다는 의혹이다. 이 단체는 OP_RETURN 기능을 이용해 오래된 비트코인 지갑에 일종의 '법적 통보' 메시지를 삽입, 보유자들에게 90일 이내에 소유권을 입증하지 않으면 코인이 몰수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닉 재보는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검토 중인 ‘AB 1052 법안’을 언급하며, 이러한 움직임이 단순한 추정이 아님을 시사했다. 해당 법안은 3년 이상 사용되지 않은 디지털 자산을 '무주 자산'으로 간주하여 주정부가 회수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그는 “중앙화된 금융 기관뿐 아니라 비트코인도 같은 방식으로 취급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보유자들이 미리 지갑을 옮기는 것은 충분히 이해 가능한 대응”이라고 설명했다.

닉 재보는 아울러 장기 보유 중인 코인을 정기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단순한 보안 수단을 넘어, 법적 리스크에 대응하는 ‘좋은 습관’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보안을 고려하더라도 몇 년에 한 번씩 비트코인을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하며 보유자들에게 경각심을 촉구했다.

비트코인이 본격적으로 제도권 감시의 대상이 되면서, 장기 홀더들의 대응 방식 역시 보다 전략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법적•정치적 압박에 대한 선제 조치로 해석되는 이번 거래는, 향후 더 많은 비활성 지갑들이 움직이게 만드는 트리거가 될 수 있다는 우려와 기대가 동시에 나온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1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광란의우덩

15:29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광란의우덩

2025.09.29 15:29:08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