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프로젝트·펀드·론치패드 시장에서 렌더, 프레임워크벤처스, MEXC가 각각 '오늘의 선정'으로 이름을 올리며 시장 내 투자 수익률 상위권에 부상했다.
체인브로커에 등록된 암호화폐 프로젝트 수는 총 3624개이며 상승 중인 프로젝트는 801개, 하락 중인 프로젝트는 561개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투자 수익률(ROI) 5.84배를 기록한 렌더(Render)가 오늘의 프로젝트로 선정됐다.
사용자 관심 기준 상위 프로젝트는 ▲아스트라노바(RVV, 201만 달러) ▲수이(SUI, 3억8600만 달러) ▲플라즈마(XPL, 5000만 달러) ▲솔라나(SOL, 2560만 달러)로 나타났다.
상승률 상위 프로젝트는 ▲톤넷(+120.0%) ▲LTO 네트워크(+54.0%) ▲아스트라노바(+48.0%) ▲아자크디지털(+30.8%) ▲랩(Lab, +25.8%) ▲브라이트랩스(+24.1%) ▲트루파이(+23.7%) ▲알케믹스(+22.7%) ▲포털비트코인(+22.1%) ▲바운스(+21.9%) ▲신트로피(+21.0%) 등이다.
32개 암호화폐 섹터 중 22개가 상승세를 기록했으며, 이 가운데 ROI 1.07배를 기록한 클라우드 스토리지 부문이 오늘의 섹터로 선정됐다.

오늘의 펀드 '프레임워크벤처스'
체인브로커에 등록된 크립토 펀드 수는 총 417개이며 상승세를 보인 펀드는 216개, 하락세를 기록한 펀드는 197개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투자 수익률(ROI) 1.82배를 기록한 프레임워크벤처스가 오늘의 펀드로 선정됐다.
일간 상승률 기준 상위 펀드는 ▲식스맨벤처스(+8.74%) ▲아이코니움(+5.78%) ▲메이어캐피털(+5.13%) ▲슬로우벤처스(+4.79%) ▲아폴로캐피털(+4.12%)으로 나타났다.
사용자 관심 기준 상위 펀드는 ▲a16z(5.54배) ▲바이낸스랩스(2.69배) ▲코인베이스벤처스(2.2배) ▲판테라캐피털(1.58배)로 집계됐다.
펀드 종목 중 ▲슬링샷(+3.08%)이 상승세를 보였으며 ▲플라즈마(–0.05%) ▲파워트레이드퓨얼(–0.31%) ▲챈플립(–1.7%) ▲바이저(–2.03%) 등은 소폭 하락했다.
가장 최근 투자 사례는 ▲민와일(8200만 달러) ▲USD.AI(1340만 달러) ▲메카(Mecka, 800만 달러) ▲펄(Perle, 900만 달러) ▲티렉스(T-Rex, 1700만 달러)로 확인됐다.

오늘의 플랫폼 'MEXC'
현재 론치패드 플랫폼 수는 총 118개이며 이 중 59개가 상승세, 51개가 하락세를 보였다. 평균 ROI는 0.8배, 평균 최고 수익률(ATH ROI)은 22.4배, 평균 스테이킹 금액은 13.95달러로 집계됐다.
ROI 기준 상위 플랫폼은 ▲OKX 월렛(18.9배) ▲바이낸스 월렛(18.8배) ▲코인리스트(12.4배) ▲토큰파이(9.34배) ▲바이낸스 런치패드(5.5배) ▲OKX 점프스타트(3.3배) 순으로 나타났다.
시가총액 기준 상위 플랫폼은 ▲바이낸스 월렛(1540억 달러) ▲바이낸스 런치패드(1540억 달러) ▲OKX 점프스타트(35억4000만 달러)였으며, 사용자 관심 기준 상위 플랫폼은 ▲바이비트(1.09배) ▲폴카스타터(0.316배) ▲바이낸스 런치패드(5.5배)로 집계됐다.
이날 투자 수익률(ROI) 0.357배를 기록한 MEXC가 오늘의 플랫폼으로 선정됐다.
현재 평균 ROI는 0.36배, 평균 최고 수익률(ATH ROI)은 25.0배, 총 모금액은 229만 달러로 집계됐다.
최근 해당 플랫폼에서 출시된 프로젝트는 ▲샌드위치네트워크(0.0145배) ▲가리네트워크(0.00725배) ▲노사나(4.58배) ▲유니크벤처클럽스(0.000155배) 등으로 확인됐다.
24시간 기준 상승 종목은 ▲사이버버스(–2.27%) ▲콜로니(–6.75%) ▲노사나(–6.79%) ▲우네트워크(–6.92%) ▲가리네트워크(–10.6%) 순으로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