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가격이 한때 심리적 지지선으로 여겨졌던 10만 달러(약 1억 원)를 하회하면서 시장에 강한 하락 압력을 보이고 있다. 기술적 분석과 온체인 지표 모두 단기 약세 패턴을 시사하고 있으며, 9만 3,000달러(약 9,300만 원)선까지 추가 하락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일봉 기준 차트를 보면, 비트코인은 현재 10만~10만 2천 달러의 수요 구간과 11만 4천 달러의 저항 구간 사이에서 횡보 중이다. 특히 100일 이동평균선 상단에서의 저항으로 인해 11만 달러 재돌파에 실패했고, 이후 10만 1천 달러 지지선까지 다시 밀리며 유동성 청산을 초래했다. 다만 이 구간은 과거 가격 조정이 마무리된 이력이 있는 고거래량 지대와 겹치며, 매수세가 일부 유입될 수 있는 위치다.
단기적으로는 10만 6천~10만 8천 달러를 회복할 경우 상승 전환 가능성이 있는 반면, 일봉이 9만 9천 달러 아래로 마감된다면 9만 3,000~9만 5,000달러대의 중장기 매집 구간으로 진입할 수 있다.
4시간 차트에서는 하락 추세 속에 점차 좁아지는 패턴이 나타나고 있다. 지속적인 고점 하락과 반복적인 10만 1천~10만 2천 달러 영역 테스트는 매수세 약화를 의미하며, 만약 10만 6천 달러를 단기적으로 회복한다면 일부 반등 여지는 존재한다. 하지만, 10만 4천 달러대에서 꾸준히 저항을 받는다면 다시 장기 박스권 조정에 진입할 수 있다.
온체인 지표도 단기 보유자의 매도 압력과 중장기 홀더의 방어 움직임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 UTXO 실현가격 밴드 분석에 따르면, ‘1~3개월차’ 및 ‘3~6개월차’ 보유자들은 현재 손실 구간에 진입해 매도 유인을 받고 있으며, 이들의 실현가(약 10만 7천~11만 달러)는 현재 주요 저항으로 작용하고 있다. 반면 ‘6~12개월차’ 보유자들의 실현가가 위치한 9만 5천~9만 6천 달러는 역사적으로 하락장 후반에 강한 지지선으로 작용해왔다.
요약하면, 현재 비트코인은 단기 손절과 중장기 매수가 엇갈리는 지점에 놓여 있다. 10만 달러 아래에서는 매도세가 강하지만, 오히려 이 구간이 장기 상승 사이클 속에서 ‘공포 매도’를 흡수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다만 9만 5천 달러선마저 이탈할 경우, 보다 깊은 조정과 심리적 투자 위축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