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팟캐스트 Ep.108] 아이오텍스 (IoTeX) 2025년 2분기, AI와 DePIN을 위한 기술 혁신과 지표의 간극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아이오텍스가 2025년 2분기 AI 에이전트 플랫폼 퀵실버 출시와 블록체인 성능 2배 향상 등 핵심 기술 개발을 완료했지만, 인센티브 프로그램 종료로 네트워크 활성도와 프로토콜 수익이 각각 25%, 53% 감소하며 기술적 진보와 현실 지표 간 간극을 드러낸 분기로 평가됩니다.

 [팟캐스트 Ep.108] 아이오텍스 (IoTeX) 2025년 2분기, AI와 DePIN을 위한 기술 혁신과 지표의 간극

토큰포스트
안녕하세요. 토큰 포스트입니다. 네 오늘은 메사리 리서치 보고서를 바탕으로 아이오텍스 이 아이오텍스의 2025년 2분기 현황을 좀 깊이 들여다볼까 합니다.

진행자
네 아이오텍스가 AI랑 디핀 생태계 지원하는 모듈식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죠.

토큰포스트
맞습니다. 이번 분기에 뭐랄까 기술적으로는 중요한 개발들이 있었는데, 또 지표상으로는 약간 주춤한 모습도 보였거든요.

진행자
그 두 가지 측면을 같이 봐야 정확한 그림이 나올 것 같습니다.

토큰포스트
그럼 먼저 2분기 가장 큰 개발 사항부터 짚어볼까요? 퀵 실버 첫 버전이 나왔다고요. 이게 정확히 어떤 건가요?

진행자
네 퀵 실버 이게 상당히 중요한데요. 그냥 AI 에이전트 도구가 아니라 어 AI 에이전트가 실제로 연결된 디핀 장치들 있잖아요. 거기서 데이터를 가져오고 분석하고 심지어 응답까지 할 수 있게 만드는 뭐랄까 하나의 인프라 프레임워크라고 보시면 됩니다.

토큰포스트
단순 데이터 쿼리를 넘어서는 거군요.

진행자
그렇죠. 6월에 첫 버전이 나와서 일단 초대받은 개발자들이 이걸로 에이전트를 만들고 배포해 볼 수 있게 됐어요. 사용자들은 이제 채팅이나 API를 통해서 이 에이전트들하고 직접 상호작용하면서 정보를 얻는 거죠.

토큰포스트
기기들과 소통하는 AI라니 흥미롭네요.

진행자
네 실제 세상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움직이는 AI 에이전트들이죠.

토큰포스트
근데 그런 에이전트들이 매끄럽게 돌아가려면 네트워크 성능이 받쳐줘야 할 텐데요. 마침 V.2.0 하드 포크도 있었죠.

진행자
네 바로 그 부분입니다. 타이밍이 절묘했죠. 6월 19일에 하드포크를 진행했는데 이걸로 엘 원 블록 생성 시간이 기존 5초에서 2.5초로 딱 절반으로 줄었어요.

토큰포스트
2005초면 정말 빠르네요. 그럼 처리량도 늘었겠군요.

진행자
맞습니다. 이론적인 초자한 거래 처리량 TPS라고 하죠. 이게 2배로 늘어서 2천 TPS까지 가능해졌습니다.

토큰포스트
와 이천 TPS

진행자
네 이게 단순히 속도만 빨라진 게 아니라 아까 말씀드린 퀵실버 기반 AI 에이전트나 빠른 완결성이 진짜 중요한 디핀 애플리케이션들 있잖아요. 이런 지연에 민감한 서비스들을 훨씬 더 잘 지원하기 위한 뭐랄까 체질 개선이라고 봐야 합니다.

토큰포스트
성능을 확실히 끌어올렸군요. AI 시대를 대비하는 느낌이네요.

진행자
네 그런 의도가 분명히 보입니다.

토큰포스트
그리고 또 AI 관련해서 렐름스라는 로드맵도 나왔던데요. 이건 좀 더 장기적인 그림 같은데, 어떤 계획인가요?

진행자
렌즈 이건 아이오텍스의 AI 비전을 잘 보여주는 구상인데요. 뭐랄까 AI 에이전트 데이터 그리고 기여자들 이 세 요소를 특정 도메인별로 묶은 거예요. 예를 들면 교통 렐름 건강 렐름 에너지 렐름 이런 식으로요

토큰포스트
개별 전문 AI 생태계를 만들겠다.

진행자
그렇죠. 구조화되고 맥락에 맞는 인텔리전스를 구축하겠다는 목표죠 그리고 여기서 핵심은 각 렐름 안에서 실제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뭐 데이터 라벨링 등으로 맥락을 부여하는 기여자들 있잖아요. 장치 소유자나 데이터 라벨러 같은 분들께 IOTX 토큰으로 인센티브를 주겠다는 계획입니다.

토큰포스트
아 데이터 기여에 대한 직접적인 보상

진행자
네 이게 아직 개발 중인 미래 비전이긴 한데 성공한다면, 탈중앙화된 지능시장 같은 게 만들어질 수도 있겠죠.

토큰포스트
흥미로운 구상이네요. 그런데 이렇게 기술 개발은 착착 진행되는데 보고서를 보면 실제 네트워크 사용량 지표는 좀 어 줄었어요. 전 분기 대비해서요.

진행자
네 맞습니다. 일평균 활성 지갑 수가 한 26% 줄었고 거래량도 25% 정도 감소했죠.

토큰포스트
이 수치만 보면 좀 걱정스러운데요.

진행자
그럴 수 있죠. 근데 이걸 좀 넓게 봐야 하는데요. 먼저 작년 같은 기간 그러니까 전년 동기랑 비교하면 활성 지갑은 여전히 872% 거래량은 750%나 증가한 상태예요.

토큰포스트
아 작년보다는 훨씬 높은 수준이군요.

진행자
그렇죠. 이번 2분기 감소는 사실 1분기에 갯 고티드 시즌 투라는 대규모 인센티브 프로그램이 있었거든요. 그게 끝나면서 생긴 영향이 큽니다. 일종의 이벤트 효과가 빠진 거라고 봐야죠

토큰포스트
일시적인 부스팅 효과가 사라진 거군요.

진행자
네 그래서 ioID 출시 이후에 높아진 기본적인 네트워크 활동 수준은 그래도 유지되고 있다. 이렇게 평가하는 게 좀 더 합리적일 것 같습니다.

토큰포스트
알겠습니다. 프로토콜 수익도 53% 감소했는데 이건 어떤가요 특히 ioID 활성화 수수료 감소 폭이 93%로 엄청 크던데요.

진행자
네 그 부분이 전체 수익 감소의 거의 주된 원인이었습니다. ioID 활성화 수수료가 확 줄었죠. 물론 가스 수수료 마이너스 17%나덱스 수수료 마이너스 12%도 조금씩 줄긴 했고요.

토큰포스트
3% 감소는 정말 큰데요.

진행자
그렇죠. 근데 이것도 아까 네트워크 사용량 감소랑 비슷한 맥락에서 봐야 합니다. 1분기에 ioID가 처음 나왔을 때 정말 폭발적인 관심과 등록이 있었거든요. 그 이후에 자연스럽게 좀 조정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어요.

토큰포스트
초기 열기가 좀 가라앉은 거군요.

진행자
특히 ioID 등록 장치의 한 80%를 차지하는 네트워크 쓰리 네트워크 쓰리라는 프로젝트가 있는데, 여기서 신규 등록이 줄어든 영향이 컸습니다.

토큰포스트
아 특정 프로젝트의 영향이 컸군요.

진행자
네, 그렇지만 여기서도 긍정적인 부분을 찾아보면 ioID를 소유한 지갑 주소 수 자체는 11% 늘었고요. 등록된 총 장치수도 3% 정도 증가했어요.

토큰포스트
아 수수료 수익은 줄었지만 참여자 기반은 넓어졌다

진행자
그렇죠. 단기적인 수수료는 줄었지만 생태계에 참여하는 기반 자체는 꾸준히 확장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할 여지가 있습니다.

토큰포스트
그렇군요. 그럼 정리해보면 아이오텍스의 2025년 2분기는 겉으로 보이는 활성도나 수익 지표는 약간 숨 고르기에 들어갔지만 내부적으로는 퀵실버 출시나 엘원 성능 개선 또 랠름스 같은 미래 비전 제시까지 AI와 디핀 시대를 위한 중요한 기술적 토대를 다진 시기였다. 이렇게 볼 수 있겠네요.

진행자
네 정확하게 보셨습니다. 기술적인 야망과 현재 지표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보이는 시점인데 앞으로 이걸 어떻게 메워 나갈지가 중요하겠죠.

토큰포스트
앞으로의 관전 포인트는 뭘까요?

진행자
역시 퀵 실버 기반 AI 에이전트들이 얼마나 실용적인 가치를 만들어낼 수 있을지 이게 가장 중요할 것 같고요. 그리고 렐름스 구상이 실제 디핀 생태계 참여자들 특히 데이터 기여자들에게 얼마나 매력적인 동기부여가 될 수 있을지 이 두 가지가 아이오텍스의 미래를 가늠할 핵심 포인트가 될 겁니다.

토큰포스트
큰 인센티브 모델이 잘 작동할지가 관건이겠네요.

진행자
네 맞습니다. 그 모델이 실제 데이터 품질 향상이나 생태계 참여로 이어지는지 그 효과를 면밀히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토큰포스트
결국 기술이 실제 사용자들에게 어떤 가치를 주느냐가 핵심이겠군요. 오늘 IoTeX의 현황을 깊이 있게 살펴보니 AI와 물리적 인프라의 결합이 앞으로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더 기대가 됩니다.

진행자
네 앞으로 주목할 만한 프로젝트임은 분명합니다.

토큰포스트
이상 토큰 포스트였습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