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팟캐스트 Ep.106] GEODNET, 혼돈의 시장 속에서도 멈추지 않는 성장 동력

댓글 2
좋아요 비화설화 2

GEODNET은 2분기 토큰 가격 43% 하락에도 불구하고 수익 19% 증가와 활성 마이너 35% 급증으로 세계 최대 RTK 네트워크 입지를 굳혔으며, LEO 위성 추적과 자체 로보틱스 칩 개발을 통해 단순 위치정보를 넘어 미래 자율시스템의 핵심 인프라로 도약하고 있다.

 [팟캐스트 Ep.106] GEODNET, 혼돈의 시장 속에서도 멈추지 않는 성장 동력

토큰포스트
안녕하세요. 토큰 포스트입니다. 오늘은 그 메사리 리서치 보고서를 바탕으로 디핀 프로젝트죠 지오드넷의 2025년 2분기 현황을 좀 깊이 있게 들여다보겠습니다. 지오드넷이 커뮤니티 기반 RTK 네트워크로 초정밀 위치 데이터를 제공하는 곳이잖아요. 이번에는 핵심 성과랑 앞으로의 전망 이런 걸 좀 중점적으로 이야기 나눠볼게요 자 그럼 바로 2분기 성과부터 한번 볼까요? 수익이 전 분기보다 19% 늘어서 96만 3천 달러를 기록했다고요. 이게 연간으로 보면 거의 300만 달러 규모인데 어 이게 어느 정도 수준인 건가요?

진행자
네 그 수익 규모 자체도 중요하지만 더 눈여겨볼 점은요, 이게 메사리가 분석한 다른 유사 디핀 프로젝트들 그중에서도 물리적 자원 네트워크 프로젝트들의 중간값을 훨씬 넘는다는 거예요. 그러니까 음 지오딘의 서비스에 대한 실제 시장 수요가 꽤 탄탄하다 이렇게 볼 수 있는 거죠.

토큰포스트
와 실제 수요가 있다는 게 중요하군요.

진행자
네 전 세계적으로 RTK 스테이션 네트워크가 확장된 게 진짜 수익으로 연결되고 있다는 증거니깐요.

토큰포스트
네트워크 규모 자체도 엄청 커졌더라구요. 145개국에서 활성 위성 마이너스가 1만 9천 개를 넘었다구요.

진행자
네 맞아요. 전 분기 대비 35%나 증가한 수치입니다. 이걸로 이제 세계 최대 RTK 네트워크라는 입지를 더 확실히 굳힌 셈이죠.

토큰포스트
35% 증가라 대단하네요. 이런 성장이 혹시 다른 요인이랑도 관련 있을까요?

진행자
아 네 지아이피 6이라는 거버넌스 제안이 통과된 영향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이게 뭐냐면 단순히 기지국 수만 늘리는 게 아니라 데이터 품질 같은 성과를 기반으로 보상을 주는 모델이거든요. 그래서 뭐랄까 양적인 팽창뿐만 아니라 질적인 성장도 같이 생각하고 있다. 이렇게 보여요.

토큰포스트
성과 기반 보상 좋은 방향이네요. 지오드 토큰 소각량도 좀 눈에 띄던데요. 2분기에 380만 개나 소각됐다면서요 전 분기보다 67% 늘어난 사상 최고치라구요.

진행자
네, 그렇죠. 이건 RTK 데이터 판매 수익이 그만큼 꾸준히 늘고 있다는 걸 보여주는 아주 명확한 신호입니다. 네트워크가 잘 사용되고 있다는 뜻이죠. 그리고 또 하나 6월 말에는 예정대로 반감기가 있었어요. 그래서 하루 토큰 발행량이 절반으로 줄었거든요.

토큰포스트
아 반감기까지

진행자
이건 이제 인플레이션을 관리하고 장기적으로 토큰 가치를 좀 더 안정시키려는 그런 조치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토큰포스트
그렇군요. 내부적으로는 성장이 확실한데 외부적인 확장 그러니까 생태계 확장은 좀 어떤가요 파트너십 같은 거요

진행자
아내 파트너십도 활발했어요. 드론 매핑 쪽에서는 드론 디플로이 그리고 아이오티 기업인 퀵텔 또 솔라나 모바일이나 법정화폐 연동을 위한 피투피 미 같은 곳들이랑 파트너십을 맺었습니다. 이게 다 기업용 드론이나 IOT 모바일 결제같이 실제 사용 사례를 구체적으로 넓히는 데 도움이 되는 것들이죠. 아 그리고 디핀 연합에도 가입해서 다른 주요 프로젝트들이랑 상호 운용성도 높이려고 하고 있구요.

토큰포스트
정말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네요. 근데요. 이렇게 운영은 잘 되는 것 같은데, 지오드 토큰 가격이랑 시가총액은 2분기에 좀 떨어졌어요. 가격이 43% 시총이 35% 정도 감소했는데 이거 왜 그런 걸까요?

진행자
네 그게 좀 아쉬운 부분이긴 한데 사실 그 기간 동안 암호화폐 시장 전반이 약세였잖아요.

토큰포스트
맞아요. 시장 전체가 좀 안 좋았죠

진행자
네 그래서 그 영향이 상당히 컸다고 분석되고 있어요.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건 토큰 가격은 좀 내렸어도 실제 네트워크 활동을 보여주는 지표들 그러니까 수익이나 마이너스 토큰 소각량 같은 것들은 오히려 더 좋아졌다는 거예요. 그 시장 상황과는 별개로 프로젝트 자체의 펀더멘탈은 계속 강해지고, 있다. 이렇게 볼 수 있겠죠.

토큰포스트
시장 영향이었군요. 그럼 앞으로의 계획은 좀 어떤가요 기술적인 로드맵 같은 게 궁금한데요.

진행자
앞으로의 계획은 정말 좀 야심차다고 할 수 있습니다. 우선 저궤도 LEO 위성 추적 기능을 통합할 계획이구요. 그리고 IMU 그러니까 관성 측정 장치나 라이다. 센서 같은 것들과 데이터를 융합하는 기술도 개발 중이에요.

토큰포스트
센서 융합이요.

진행자
멀티카메라 비전 시스템 도입도 있고 심지어는 맞춤형 알에스비 기반의 로보틱스 칩을 자체 개발하겠다는 계열까지 발표했습니다.

토큰포스트
로보틱스 칩 개발까지요 정말 스케일이 크네요. 이런 기술개발의 목표는 뭘까요?

진행자
궁극적으로는 그 GNSS 신호가 좀 불안정한 환경 예를 들면 실내나 도심 빌딩 숲 같은 곳에서도 아주 정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겠다는 거고요. 더 나아가서는 로봇 공학이나 자율 시스템 분야에서 핵심적인 인프라 역학을 하겠다. 이런 목표로 보입니다. 단순 위치 정보 제공을 넘어서는 거죠.

토큰포스트
그렇군요. 정리해보면 지오드넷은 2분기 시장 상황이 안 좋았음에도 불구하고, 네트워크 성장이나 수익 같은 내실은 다졌고 동시에 LEO 위성통화 센서 융합 자체 칩 개발 같은 미래 기술에 투자하면서 더 큰 그림을 그리고 있다. 이렇게 요약할 수 있겠네요.

진행자
네 정확합니다. 주목할 점은 단순한 위치정보회사를 넘어서 다양한 센서 기술과 하드웨어 개발까지 포함해서 앞으로 다가올 자율 시스템 시대를 위한 어떤 핵심 인프라가 되려는 그런 전략적인 움직임이 보인다는 겁니다.

토큰포스트
자 오늘 지오드넷의 2분기 현황과 미래 계획까지 쭉 살펴봤는데요. 여기서 여러분께 질문 하나 드리고 싶어요. 이렇게 점점 더 정밀해지는 위치 기술이랑 디핀이라는 탈중앙화 모델이 만나면 앞으로 우리 실생활에 가장 먼저 적용될 수 있는 혁신적인 서비스는 과연 어떤 모습일까요? 한번 상상해 보시는 것도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이상 토큰 포스트였습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2

추천

2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2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디스나

10:49

등급

좋은라이거

10:34

댓글 2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디스나

2025.08.20 10:49:11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좋은라이거

2025.08.20 10:34:02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