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포스트
안녕하세요. 토큰 포스트 팟캐스트입니다.
진행자
안녕하세요.
토큰포스트
오늘은 2025년 8월 12일 화요일이구요. 청취자께서 공유해주신 토큰 포스트 에이엠 위클리 리포트 25년 8월 2주 차 리서치를 가지고 왔습니다.
진행자
네 지난 한 주 그러니까 8월 11일까지의 시장을 정리한 보고서죠
토큰포스트
맞습니다. 이걸 보면서 지난주 암호화폐 시장이랑 또 거시경제 주요 포인트들 좀 깊이 있게 파악해 보려고 하는데요. 좀 상반된 신호들이 있었던 것 같아요.
진행자
네 그랬습니다.
토큰포스트
어떤 점을 주목해야 할지 한번 같이 살펴보시죠.
진행자
네 우선 지난주를 보면요 겉으로는 좀 우려 요인이 많았어요. 뭐 미국발 무역 갈등 이게 좀 심화될 수 있다는 얘기가 나왔고
토큰포스트
아 그 관세 인상 얘기도 있었죠.
진행자
네 맞아요. 66개국 관세 인상 발표에다가 또 인도는 50% 고율 관세를 부과한다고 하고 WTO 성장률 전망치도 내려갔구요.
토큰포스트
네 글로벌 교역 환경이 좀 불안정했네요. 미국 실업률도 4.2%로 올랐다고 하구요.
진행자
이런 불확실성들이 분명히 존재했습니다.
토큰포스트
그런 와중에도 미국 증시는 꽤 강했단 말이죠. 특히 기술주 애플이 막 12%나 급등하면서 나스닥이 사상 최고치를 찍었어요.
진행자
네 나스닥뿐만 아니라 S&P 500 지수도 견조했구요.
토큰포스트
이런 거시경제 상황 속에서 우리 암호화폐 시장은 그럼 어땠나요?
진행자
암호화폐 시장도 전반적으로는 강세를 보였습니다. 일단 비트코인 기준으로 보면 주간 플러스 4.45% 상승해서 11만 9294달러로 마감했거든요.
토큰포스트
몰랐네요.
진행자
근데 여기서 진짜 주목해야 할 게 있어요. 이 상승세의 핵심 동력인데
토큰포스트
뭔가요
진행자
바로 미국 퇴직연금 시장 이게 규모가 한 12조 달러 정도로 추산되는데 여기서 암호화폐 투자를 허용했다는 소식입니다.
토큰포스트
12조 달러요 그게 엄청난 규모 아닌가요
진행자
그렇죠. 이게 비트코인 BTC나 이더리움 ETH 같은 주요 암호화폐 강세를 이끈 결정적인 요인으로 지금 분석이 되고 있습니다.
토큰포스트
이건 뭐 단기 호재를 넘어서는 좀 구조적인 변화의 시작일 수도 있겠다. 이런 생각이 드네요.
진행자
네 그럴 가능성이 충분히 있죠.
토큰포스트
그럼 시장 내부 자금 흐름은 어땠는지 그것도 좀 볼까요? 시가총액이나 뭐 도미넌스 같은 거요
진행자
근데 전체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3.93조 달러로 한 주간 6.5% 증가했어요. 꽤 늘었죠.
토큰포스트
네 6.5%면 많이 늘었네요.
진행자
근데 여기서 자금 흐름 변화가 좀 흥미로워요 BTC 도미넌스 전체 시총에서 비트코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오히려 60.37%로 좀 하락했어요. 마이너스 2.62% 정도요
토큰포스트
어 BTC 비중은 줄었군요.
진행자
근데 반면에 ETH 도미넌스는 13.15%로 무려 13.26%나 급등했습니다.
토큰포스트
이더리움 쪽으로 자금이 확 쏠렸네요.
진행자
그렇죠. 그리고 대표적인 스테이블 코인인 USDT 도미넌스도 4.19%로 꽤 많이 하락했어요. 마이너스 8.51%입니다.
토큰포스트
그러니까 BTC 비중은 줄고 ETH 비중은 크게 늘고 스테이블 코인 비중도 줄었다 이건 좀 알트코인 특히 이더리움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다고 볼 수 있을까요?
진행자
네 충분히 그렇게 해석할 여지가 있습니다. 보통 BTC 도미넌스가 하락하면 알트코인 강세 가능성을 얘기하는데 이번 주는 유독 이더리움 강세가 두드러졌죠
토큰포스트
USDT 도미넌스 하락은 그럼 투자자들이 이제 관망하기보다는 좀 더 적극적으로 투자에 나섰다 뭐 이렇게도 볼 수 있겠네요.
진행자
맞습니다. 스테이블 코인을 팔고 다른 암호화폐 그니까 위험 자산으로 이동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거죠. 이 추세가 계속되면 4% 아래로 내려갈 수도 있겠구요.
토큰포스트
그렇군요. 그럼 시장 참여자들 뭐 기관 투자자나 다른 플레이어들은 어떻게 움직였나요? 포지션 변화 같은 거요
진행자
포지션 변화를 보면 이 시각 차이가 좀 명확하게 나타나는데요. 기관 투자자들은 좀 신중해요. 이번 주에 CPI나 소매 판매 같은 주요 경제 지표 발표가 있으니까 이걸 앞두고 롱 포지션 즉 상승 베팅을 좀 줄였습니다. 단기 리스크 관리에 나선 거죠.
토큰포스트
아 기관은 좀 조심하는군요.
진행자
네 근데 레버리지 펀드는 정반대예요. 숏 포지션 그러니까 하락 베팅은 줄이고 오히려 롱 포지션을 늘렸어요.
토큰포스트
오히려 상승 쪽에 베팅을 하다
진행자
네 이건 단기적으로 숏 커버링 그러니까 기존 숏 포지션을 청산하기 위한 매수세가 들어오면서 가격이 오를 수 있다. 여기에 좀 더 무게를 둔 걸로 보여요. CME 비트코인 선물 미결제 약정은 약간 줄었구요.
토큰포스트
재밌네요. 기관은 조심하는데 레버리지 펀드는 단기 상승 가능성을 보고 이렇게 전망이 엇갈리는 상황이군요. 기술적 분석으로는 뭘 좀 봐야 할까요?
진행자
네 분석가들은 지금 BTC 가격 11만 8천 달러 선을 지키는 게 아주 중요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토큰포스트
11만 8천 달러요
진행자
이 지지선이 유지되면 추가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는데, 만약 이게 깨지면 좀 위험할 수 있어요. 그 CME 선물시장에 생긴 갭이라고 있거든요.
토큰포스트
아 네 가격 차이 나는 구간이요.
진행자
맞아요. 그 갭을 메우려는 하락 움직임이 나올 수 있어서 좀 대비가 필요합니다.
토큰포스트
알겠습니다. 이번 주에 또 중요한 경제지표 발표나 뭐 암호화폐 관련 이벤트들도 많죠
진행자
네 이번 주는 좀 바쁩니다. 경제지표로는 13일 수요일에 미국 CPI 14일 목요일에 PPI 나오구요.
토큰포스트
네
진행자
15일 금요일에는 소매 판매랑 미시감대 소비자 심리 지수까지 발표됩니다. 이게 다 중요하죠.
토큰포스트
그렇죠. 예상치랑 어떻게 나오느냐가 관건이겠네요.
진행자
네 그리고 암호화폐 쪽에서는 솔레어 앱토스 아발란체 세이 같은 프로젝트들 토큰 얼락 물량이 예정되어 있구요. 스텔라 프로토콜 23 테스트넷 가동도 있습니다.
토큰포스트
아 토큰 얼락 물량은 좀 부담이 될 수도 있겠네요.
진행자
네 단계적으로는 그럴 수 있죠.
토큰포스트
금리 전망은 좀 어떤가요 이제 9월 FOMC도 다가오는데
진행자
지금 패드워치 기준으로 보면요 시장은 9월 FOMC에서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매우 높게 보고 있어요. 현재보다 낮은 4.00에서 4.25% 사이로 내려갈 확률이 88.4%입니다.
토큰포스트
88.4%면 뭐 거의 확실시하는 분위기네요.
진행자
네 시장은 9월 금리 인하를 거의 기정사실로 받아들이고 있는 거죠.
토큰포스트
자 그럼 좀 정리를 해보면요 지난주는 이 글로벌 무역 리스크나 정책 불확실성 같은 게 있었지만 미국 퇴직연금의 암호화폐 투자 허용이라는 아주 강력한 호재 그리고 기술주 랠리가 시장을 좀 지지해줬다
진행자
네 맞습니다. 구조적인 모멘텀이 있었죠.
토큰포스트
하지만 기관이랑 레버리지 펀드 포지션이 엇갈리는 걸 보면 단기 방향성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뭐 이렇게 볼 수 있겠네요.
진행자
그렇죠. 단계적으로는 좀 지켜봐야 합니다. 그래서 이번 주는 CPI 소매 판매 같은 경제지표 결과 그리고 또 다음 주에 쓸 잭슨홀 미팅에서 나올 통화정책 관련 발언들 이런 게 시장 방영을 정할 것 같고, BTC는 11만 8천 달러 지지선 방어 여부가 중요하겠군요. 네 정확히 요약해 주셨습니다. 특히 지표 발표 전후로 변동성이 커질 수 있으니 유의해야 하구요.
토큰포스트
네 자 오늘 분석을 마무리하면서 청취자 여러분께 한번 여쭤보고 싶은데요. 이 미국 퇴직연금 자금 유입 가능성 이게 정말 암호화폐 시장이 주류 금융 시스템으로 들어가는 결정적인 전환점일까요?
진행자
중요한 질문이죠.
토큰포스트
아니면 여전히 뭐 금리나 거시경제 지표에 따라서 크게 흔들리는 그냥 변동성 높은 시장의 또 다른 모습일 뿐일까요? 이게 구조적 변화의 시작일지 아니면 그냥 일시적인 모멘텀일지 앞으로 시장이 이걸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좀 꾸준히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진행자
네 장기적인 관점에서 계속 추적 관찰할 필요가 있는 흥미로운 지점입니다.
토큰포스트
이상 토큰 포스트 팟캐스트였습니다.
진행자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