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AI 보안도 국가가 나선다…국정원, 전국 공공기관에 새 가이드라인 제시

프로필
연합뉴스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국정원이 전국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AI 보안 강화 설명회를 열고 정책 가이드라인을 공식 발표했다.

 AI 보안도 국가가 나선다…국정원, 전국 공공기관에 새 가이드라인 제시 / 연합뉴스

AI 보안도 국가가 나선다…국정원, 전국 공공기관에 새 가이드라인 제시 / 연합뉴스

국가정보원이 공공부문 인공지능(AI) 보안 강화를 위해 전국 기관을 대상으로 정책 설명회를 열면서, 정부 차원의 대응 체계 구축이 본격화되고 있다. 이는 최근 AI 기술을 활용하는 기관들이 늘어나면서, 정보 유출이나 악용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진 데 따른 조치다.

국가정보원 산하 국가인공지능안보센터는 8월 28일, 전국 국가 및 공공기관의 정보보안 담당자 등 800여 명을 대상으로 인공지능 보안정책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 행사는 대전 철도공사에서 열렸으며, AI 도입이 활발한 주요 기관들의 참여 속에 진행됐다. 국정원에 따르면 현재 전체 300여 개 주요 공공기관 가운데 약 190개 기관이 AI 시스템을 도입하거나 활용 중인 상황이다.

이번 설명회에서는 공공기관의 AI 도입 현황과 관리 실태 진단, 정보화 사업 추진 과정에서의 보안성 점검 절차, AI 보안 가이드라인 개정안 및 미래 정책 방향 등에 대한 발표와 함께 실무 의견 수렴이 이뤄졌다. 특히 일부 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AI 운영 실태 점검 결과를 소개하며, 실제 발생 가능한 보안 위협과 그 대응 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공유했다.

국정원은 AI 기술의 도입이 빠르게 확산됨에 따라 고도화된 사이버 위협에도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국가기관을 위한 AI 정보화 사업 보안 컨설팅을 제공하는 전담 창구를 마련해, 현장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실효성 있는 정책을 마련해 나가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이는 기관별로 상이한 기술 환경 속에서 공통된 보안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필요성에 따른 것이다.

이와 같은 흐름은 가까운 장래에 공공뿐 아니라 민간 영역으로도 퍼져나갈 가능성이 높다. 정부가 제시한 AI 보안 가이드라인이 향후 표준으로 자리 잡을 경우, 인공지능 기술 사용이 폭넓게 확산되는 가운데 보안 리스크를 사전에 통제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엔비디아 실적 부담에 국내 증시 하락…삼성전자·SK하이닉스도 약세

엔비디아 실적 부담에 국내 증시 하락…삼성전자·SK하이닉스도 약세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