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벤츠·현대 등 2.4만 대 차량 리콜…“주행 중 시동 꺼짐·바퀴 빠질 우려”

프로필
연합뉴스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국토교통부가 벤츠, 현대자동차 등 2만 4,555대 차량에서 결함을 발견하고 자발적 리콜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일부 차량은 시동 꺼짐·바퀴 이탈 등 중대한 안전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벤츠·현대 등 2.4만 대 차량 리콜…“주행 중 시동 꺼짐·바퀴 빠질 우려” / 연합뉴스

벤츠·현대 등 2.4만 대 차량 리콜…“주행 중 시동 꺼짐·바퀴 빠질 우려” / 연합뉴스

국토교통부가 주요 수입·국산 완성차 브랜드에서 제작한 차량 2만 4,555대에 대해 자발적 시정조치, 즉 리콜을 시행한다고 7일 발표했다. 결함이 발견된 차량은 총 21개 차종으로, 브랜드별로는 메르세데스-벤츠, 현대자동차, 만트럭버스코리아, 르노코리아 차량이 포함됐다.

이번 리콜에서 가장 많은 규모를 차지한 것은 벤츠 차량이다. 벤츠 E350 4매틱 모델 1만 6,957대는 엔진 제어 시스템(ECU)에 오류가 있어 주행 중 시동이 꺼질 우려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EQE 350 4매틱을 포함한 5개 차종 523대도 고전압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오류로 인해 유사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이들 차량에 대해서는 이미 지난 7월 25일부터 리콜 조치가 시작됐다.

현대자동차는 쏠라티 등 2개 차종 5,974대가 리콜 대상이다. 해당 차량은 바퀴를 고정하는 너트(휠 고정용 너트)의 체결 상태가 불량해 주행 중에 바퀴가 빠질 수 있는 심각한 위험이 확인됐다. 이에 따라 이 또한 지난 7월 31일부터 리콜을 진행 중이다.

상용차를 주로 제조하는 만트럭버스코리아는 TGM 카고 등 11개 차종 643대에서 문제가 발견됐다. 차량에서 방향지시등을 작동한 뒤 주간주행등(DRL)이 정상적으로 켜지지 않는 오류로, 이는 자동차 안전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사항이다. 해당 차량들에 대해서는 8월 11일부터 리콜이 본격화된다.

르노코리아는 SM6 등 2개 차종 458대가 리콜 대상이다. 이들 차량에는 진공 펌프 제조 불량이 있어 제동 시 차량이 평소보다 길게 밀리거나 제동거리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역시 8월 11일부터 시정조치가 들어간다.

국토부는 차량 소유주들이 자동차리콜센터(car.go.kr)에서 차량 번호 또는 차대번호를 입력해 자신의 차량이 리콜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이번 리콜 조치는 운전자와 보행자의 안전 확보를 목적으로 시행되는 만큼, 해당 차량을 보유한 소비자들은 관련 내용을 빠르게 확인하고 점검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이 같은 제작결함 리콜은 자동차 안전성과 품질관리에 대한 제조사의 책임을 강화하는 흐름 속에서 꾸준히 이어질 전망이다. 국내외 브랜드를 막론하고 차량의 전자제어·소프트웨어 비중이 커지면서 정기적인 리콜 사례도 함께 증가할 수 있는 만큼, 정부의 감시 체계와 제조사의 품질관리 강화가 병행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