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통신망을 악용한 이른바 '유령 기지국' 해킹 수법이 소액결제 피해로 이어지면서, 통신 보안 전반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시민단체들은 정부에 전면적인 조사를 촉구하며, KT 가입자 보호와 보안 대책 강화가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이번 사건은 최근 KT 통신망을 무단 침투해 소액결제를 유도하는 새로운 유형의 사이버 범죄로 지목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해커들은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기지국, 일명 '유령 기지국'을 구축해 피해자 스마트폰의 통신을 가로채는 방식으로 공격을 감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통신망 보안 자체를 침해한 중대한 사고로 평가되는 이유다.
서울YMCA는 정부에 사고 전모를 즉각 조사하라고 촉구했다. 이 단체는 피해 규모가 겉으로 드러난 5천만 원보다 훨씬 클 것으로 보고 있으며, KT 전체 이용자, 특히 알뜰폰 사용자까지 포함한 전수조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고령층과 디지털 소외계층처럼 피해 사실을 인지하기 어려운 가입자에 대한 별도 보호 대책과 안내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참여연대와 소비자주권시민회의도 이번 사건을 단순 결제 시스템 오류가 아닌 통신 인프라 자체의 보안 취약성에서 비롯된 문제로 보고 있다. 참여연대는 정부와 민간이 함께 구성한 조사단이 KT뿐 아니라 다른 통신사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해킹 취약 지점을 전수 조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KT에 대해 피해 현황과 원인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피해자들에 대한 선제적인 보상에 나설 것을 요구했다.
정부는 지난 7월 SK텔레콤 해킹 사고 이후 관련 통신사에 대한 후속 조치를 발표했지만, 당시 KT와 LG유플러스는 별다른 문제점을 지적받지 않았다. 이에 대해 서울YMCA 등은 정부의 판단이 이번 사태를 초래한 배경이 될 수 있다며 책임 소재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은 단순한 피해 보상 차원을 넘어, 통신망 보안 체계 전반에 대한 구조적인 점검 필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전문가들은 해킹 수법이 갈수록 정교해지는 만큼 통신사와 정부가 공동으로 대응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불가피하며, 향후 비슷한 사고가 반복되지 않도록 제도 개선도 병행돼야 한다고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