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국내 디지털 기업 4곳 중 1곳, 이용자 데이터 수집…광고 목적 활용 최다

프로필
연합뉴스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디지털 산업 기업 26.8%가 이용자 데이터를 수집하며, 이 중 29.3%는 광고 및 영업에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플랫폼 제공 업체의 수집 비율은 81.2%로 가장 높았다.

 국내 디지털 기업 4곳 중 1곳, 이용자 데이터 수집…광고 목적 활용 최다 / 연합뉴스

국내 디지털 기업 4곳 중 1곳, 이용자 데이터 수집…광고 목적 활용 최다 / 연합뉴스

국내 디지털 산업 기업 중 약 4곳 중 1곳이 이용자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특히 포털 사이트나 앱 마켓 등 디지털 플랫폼 제공 업체의 수집 비율은 80%를 넘겨 이용자 데이터가 산업 활동의 필수 요소로 자리매김했음을 보여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024년 디지털 산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전체 디지털 산업에 속한 기업 가운데 26.8%는 이용자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이번 조사는 2023년 10월부터 2024년 1월까지 진행됐으며, 디지털 관련 전 산업군을 대상으로 기업의 기술 활용, 경제적 지표, 데이터 운용 실태 등을 조사한 것이다.

정부는 디지털 산업을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있다. 즉, 디지털 기반 산업(디지털 재화 및 서비스를 직접 생산), 디지털 플랫폼 제공 산업(포털 등 플랫폼을 운영), 디지털 플랫폼 활용 산업(생산·거래 과정을 디지털화한 산업), 기타 디지털 관련 산업 등이다. 이 중 플랫폼 제공업체의 데이터 수집 비율은 81.2%로 가장 높았고, 이어 디지털 관련 산업(44.3%), 플랫폼 활용 산업(26.2%), 디지털 기반 산업(15.8%)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이용자 데이터를 수집한 기업들의 활용 목적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광고 및 영업’으로 전체의 29.3%였다. 이는 맞춤형 광고나 추천 서비스에 데이터를 활용하는 사례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뒤이어 보안 및 사기 방지 등 ‘고객 보호 목적’ 활용이 23.0%, 기존 서비스 개선 13.7%, 신규 서비스 개발 4.0% 등의 순서였다. 그러나 데이터를 수집하면서도 실제로는 분석하거나 활용하지 않는다는 기업 비율도 36.9%에 달해, 데이터 관리 역량 차이도 확인됐다.

한편, 2023년 기준 전체 디지털 산업의 매출은 약 1,261조 원으로 전체 산업 매출의 14.5%를 차지했고, 종사자 수는 약 202만 명으로 산업 전체의 7.9%에 해당했다. 디지털 기술 활용은 서비스업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예컨대 숙박·음식업에서도 무인 주문기기 등 디지털 기기 활용 비율이 21.1%에 이르렀다.

이 같은 흐름은 산업 전반에서 디지털 전환이 빠르게 진행됨을 시사한다. 앞으로도 데이터 기반의 비즈니스 모델은 확산될 가능성이 크며, 이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와 데이터 활용 간 균형에 대한 사회적, 정책적 논의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