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에서도 최신 문자 서비스인 RCS(차세대 문자 메시지 서비스)가 국내에서 정식으로 활용 가능해지면서,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 환경에 변화가 예상된다. 애플이 최근 배포한 iOS 26 업데이트를 통해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가 RCS 기능 지원을 공식화한 것이다.
RCS는 기존의 문자메시지 및 MMS(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대체할 차세대 메시지 기술로, 고화질 사진과 영상 전송, 그룹 채팅, 메시지 읽음 여부 확인, 입력 중 표시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기본적으로는 카카오톡이나 텔레그램 같은 채팅 앱에 익숙한 사용자라면 친숙하게 느낄 수 있는 요소들이다. 그동안 RCS는 국내 안드로이드 기기에서만 제공됐지만, 애플이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이를 수용하면서 아이폰 사용자들도 동일한 환경을 누릴 수 있게 됐다.
통신 3사에 따르면, RCS 기능은 아이폰11 이후 출시된 모델에서만 지원되며, 운영체제는 iOS 26 이상이 요구된다. 이는 애플이 기술 도입에 있어 보수적인 경향을 보여온 것과 무관하지 않다. 다만 이번 도입은 애플이 안드로이드와의 호환성을 강화하려는 흐름의 일환으로 보인다. 실제로 애플은 작년 말부터 주요 국가를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RCS 서비스를 적용해왔다.
RCS의 특징 중 주목할 만한 부분은 데이터 요금에 대한 배려다. 5메가바이트 이하 파일 전송은 별도의 데이터 요금이 부과되지 않는 '비과금 정책'이 적용돼 소비자 부담이 줄어든다. 기존 MMS가 1메가바이트 이하로 파일 전송이 제한됐던 것과 비교하면, 콘텐츠 활용의 자유도가 크게 늘어난 셈이다. 기업 메시지에서도 변화가 두드러진다. 브랜드가 프로필을 등록하면 수신자는 발신 기업을 확인할 수 있어 보안과 신뢰도가 함께 개선된다.
통신업계는 이번 iOS 업데이트를 계기로 운영체제간 메시지 호환성이 높아지면서, 향후 자체 문자 서비스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RCS는 기존에 단순한 알림이나 정보 위주였던 문자 서비스의 범위를 확장해, 금융·물류·마케팅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활용도가 함께 높아질 전망이다.
이 같은 흐름은 단순한 메시지 기술의 진화를 넘어, 통신사와 스마트폰 제조업체 간 플랫폼 경쟁 구도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앞으로 애플이 RCS의 기능 범위를 어디까지 확장할지, 국내 앱 기반 메시지 서비스와의 경쟁 구도가 어떻게 달라질지가 관전 포인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