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정부 전산망 '단일 클라우드' 패착…대전 화재로 전국 시스템 마비

프로필
연합뉴스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정부 전산망이 마비되며, 클라우드 이중화 부족이 근본 원인으로 지목됐다. 전문가들은 민간 클라우드 이전과 전면적 재점검 필요성을 제기했다.

 정부 전산망 '단일 클라우드' 패착…대전 화재로 전국 시스템 마비 / 연합뉴스

정부 전산망 '단일 클라우드' 패착…대전 화재로 전국 시스템 마비 / 연합뉴스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에서 발생한 화재로 정부의 전산시스템이 일시적으로 마비된 가운데, 근본 원인으로 지목된 것은 클라우드 시스템의 이중화 부족이다. 즉, 재난 상황에서도 작동할 수 있는 예비 시스템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아 피해가 확대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번 사고가 벌어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은 정부의 핵심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프라이빗 클라우드 환경인 ‘G-클라우드 존’을 운영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물리적인 서버 뿐 아니라 클라우드 기반으로도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며, 이중 모두에서 재난 대응 체계를 갖춰야 한다. 그러나 이번 화재 당시 서버 기반의 복구 시스템만 마련돼 있었고, 클라우드 기반 재난복구 시스템은 아직 완비되지 않은 상태였다.

클라우드 서비스의 이중화, 다시 말해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동일한 시스템을 다른 지역에 동시에 구축해놓는 체계는 대규모 데이터 운영 환경에서는 필수적이다. 하지만 정부 시스템은 이러한 ‘쌍둥이 전산망’을 구성하지 않은 채 운영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불이 난 한 곳의 시스템이 멈추면서 전국 단위의 전산망 다운으로 이어졌다. 이는 2022년 카카오 데이터센터 화재 사태와 유사한 상황으로, 당시에도 이중화 부족으로 서비스 전체가 마비됐다.

국정자원 대전 본원은 원래 비교적 가까운 공주센터와의 이중화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사업이 지연된 것으로 확인된다. 게다가 2005년 완공된 이 시설은 준공 20년 가까운 노후 건물로, 화재나 기술적 한계에 취약하다는 평가도 있었다. 이에 따라 국정자원 측은 올해 초부터 클라우드 재난대응 시스템 개선안과 함께 향후 5년 내 센터 이전 계획을 수립하고 내년부터는 보다 구체적인 컨설팅 작업에 들어가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일각에서는 정부 전산망의 민간 클라우드 이전에 대한 필요성과 함께 그에 따른 보안과 행정적 타당성 문제도 함께 제기되고 있다. 한 클라우드 업계 관계자는 “정부 클라우드 시스템의 환경은 실제로 국가의 데이터 심장이라 불리기에는 매우 열악하다”고 지적하며, 향후 인공지능 중심의 디지털 행정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데이터센터의 역할과 대응 체계 전반에 대한 점검이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이 같은 상황은 향후 정부의 데이터 관리와 재난복구 정책 전반에 대한 재검토를 불러올 가능성이 크다. 특히 기후위기 등 위험요소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디지털 행정의 안전성과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투자와 제도 정비가 점점 더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