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아이폰, 긴급 구조 요청 위치 전송 평균 20초…안드로이드보다 한참 늦다

프로필
연합뉴스
댓글 2
좋아요 비화설화 2

아이폰의 긴급 구조 시 위치 정보 전송에 평균 20초 소요돼 안드로이드 대비 현저하게 느리다는 지적이 나왔다. 김장겸 의원은 제3자 구조 요청 시 위치 공유 확대를 촉구했다.

 아이폰, 긴급 구조 요청 위치 전송 평균 20초…안드로이드보다 한참 늦다 / 연합뉴스

아이폰, 긴급 구조 요청 위치 전송 평균 20초…안드로이드보다 한참 늦다 / 연합뉴스

아이폰이 긴급 상황에서 위치 정보를 전달하는 데 평균 20초가 걸리는 것으로 나타나, 안드로이드폰보다 응답 속도가 크게 뒤처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10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김장겸 국민의힘 의원이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애플은 긴급 통화 종료 직후에도 구조 요청에 따른 위치 정보를 최대 5분 동안만 제한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특히 경찰이나 소방과 같은 제3자가 구조를 요청하는 경우에도 실시간 정보 제공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현재의 구조다.

국내 스마트폰 단말기 상당수가 기지국, GPS, 와이파이 등 각각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활용하는 방식과는 달리, 아이폰은 이들 신호를 통합해 자체 알고리즘으로 위치를 산출하는 ‘HELO’라는 복합 측위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이 기법은 정확도 면에서는 장점이 있지만, 처리 과정이 복잡해 시간이 더 소요된다는 한계를 안고 있다.

실제 통신 3사의 안드로이드폰은 기지국을 통한 응답이 평균 1.3초, GPS 기준 1.7초, 와이파이는 2.4초로 집계된 것에 비해, 아이폰의 위치 정보 응답 시간은 평균 20초로 크게 느린 편이다. 애플 측은 이를 두고, 다양한 정보를 정밀하게 결합해 정확한 위치를 제공하기 위한 분석 및 계산 시간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놨지만, 긴박한 상황에서는 구조 대응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최근 서울 관악구에서 발생한 흉기난동 사건에서 3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사례가 이런 문제를 드러냈다. 당시 경찰은 최초 신고 3분 만에 출발했지만, 정확한 위치 확인에 실패하면서 현장 도착까지 20분이 걸렸고, 그 사이 상황은 악화됐다.

이에 대해 김장겸 의원은 “생명과 직결되는 위기 상황에서는 위치 정보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돼야 한다”며 “사용자가 직접 신고할 수 없는 경우를 대비해 제3자 구조 요청 시에도 위치 정보가 제공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도적인 보완이 시급하다는 취지다.

이 같은 흐름은 앞으로 스마트폰 제조사와 정부 간 개인정보 보호, 시스템 보안, 공공 안전 사이의 균형점을 어디에 둘 것인지에 대한 논의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특히 글로벌 브랜드인 애플이 자사 정책을 얼마나 유연하게 조정할지 여부가 향후 제도 개선과 기술 발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2

추천

2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2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사계절

13:31

등급

토큰부자

08:42

댓글 2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사계절

2025.10.10 13:31:33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토큰부자

2025.10.10 08:42:50

기사 잘 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