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가 최근 업데이트한 자율주행 보조 소프트웨어가 과속을 유도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면서, 미국 교통 당국이 실제 도로 안전 문제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에 착수했다. 특정 모드에서의 속도 설정 기능이 논란의 중심에 섰다.
이번 이슈는 테슬라가 이달 초 배포한 ‘FSD(완전 자율주행)’ 소프트웨어의 14버전에서 새로 추가된 기능으로부터 시작됐다. 운전자가 차량의 주행 스타일을 ‘여유 있는 운전’부터 ‘급한 성격의 운전’까지 선택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속도 프로필' 기능이 포함됐는데, 이 중 특히 속도를 높이는 설정이 사용자들 사이에서 '매드 맥스' 모드로 불리고 있다. 이 명칭은 영화의 공격적 운전 이미지를 차용한 것이다.
문제는 이와 같은 모드에서 차량이 법정 제한 속도를 쉽게 초과하거나, 교통신호를 제대로 준수하지 않는다는 위험성이 다수 제기되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일부 이용자들은 이러한 설정 상태에서 차량이 정지 신호를 무시하거나 과속 주행을 한 경험을 소셜미디어를 통해 공유하고 있다. 이에 대해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테슬라 측과 접촉 중이며, 추가 정보 수집을 위한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테슬라와 미국 정부 간의 갈등도 이번 상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배경으로 지목된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숀 더피 교통부 장관의 인터뷰 발언에 대해 강도 높게 비난했다. 더피 장관이 머스크가 운영하는 스페이스X 회사를 지목해 NASA의 우주탐사 프로젝트 지연 가능성을 언급하자, 머스크는 SNS를 통해 해당 발언을 조롱하며 반발했다. 후속 대응에서는 더피 장관을 모욕하는 표현까지 사용해, 논란을 더욱 키웠다.
일부 테슬라 투자자들은 이런 공공 갈등이 기업 신뢰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우려를 표하고 있다. 특히 정부 규제기관과의 관계가 악화할 경우, 자율주행 기술의 상업화 도입에도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점에서 중장기 리스크로 간주된다.
이 같은 흐름은 자율주행 기술의 규제 및 시험 운행 기준이 더욱 정교해질 가능성을 시사한다. 특히 차량 소프트웨어의 속도 조정 기능이 실제 도로 안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논란이 본격화되면서, 향후 기술개발뿐 아니라 정책 분야에서도 과속 설정 문제 등 세부 기능에 대한 보다 엄격한 관리 기준이 제시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