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오텍스(IoTeX): 현실 기반 AI(Real-World AI)의 인프라

메사리 리서치 (Messari Research)
2025.10.16 20:35:15

Austin Weiler 프로토콜 RA Sep 26, 2025 ⋅ 읽는데 약 10분 소요
핵심 인사이트
2025년 7월, 아이오텍스(IoTeX)는 탈중앙 물리 인프라 네트워크(DePIN) 데이터를 활용한 AI 인프라 스택 구축 로드맵을 발표했다. 해당 스택은 L1(실행), W3bstream(오프체인 증명), ioID(디바이스 및 에이전트 신원), 퀵실버(Quicksilver, 데이터 집계), 렐름(Realms, 인간 입력이 결합된 도메인 특화 데이터) 등 모듈로 구성된다.
ioID 디바이스 소유자는 2024년 9월 13일 167명에서 2025년 9월 12일 3,170명으로 1,697% 증가했다. 같은 기간 등록된 디바이스 수는 2,250대에서 12,100대로 337% 증가했다.
2025년 8월 기준 퀵실버 일평균 요청 수는 7월 291건에서 1,137건으로 전월 대비 291% 증가했다.
또한 7월, 아이오텍스는 전기차 배터리 관리 기업 유파워(U Power)와 통신사 보다폰(Vodafone)과 각각 협력하여, 교체형 배터리 스테이션과 이동통신 기지국을 온체인에 등록하고, AI 학습용 연산 자원을 할당하는 인프라 구축을 시작했다.
개요
아이오텍스(IoTeX, 토큰명 IOTX)는 탈중앙 물리 인프라 네트워크(DePIN) 생태계 내에서 130여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모듈형 인프라 플랫폼이다. 연결된 디바이스들이 AI 애플리케이션 및 물리적 인텔리전스를 위한 검증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아이오텍스 네트워크는 이더리움 가상머신(EVM) 호환 레이어1 블록체인, 데이터 검증을 위한 오프체인 컴퓨팅 레이어 W3bstream, 스마트 디바이스 및 AI 에이전트의 신원을 관리하는 ioID, 그리고 연결된 디바이스·센서·웹2 API의 데이터를 인덱싱하는 퀵실버(Quicksilver AI)로 구성된다. 아이오텍스는 데이터 시퀀싱 및 가용성 애플리케이션과의 통합을 지원하지만, 현재 이를 직접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없다. 2025년 7월에는 렐름(Realms)이라는 새 모듈이 추가되었다. 이는 산업별로 특화된 데이터셋으로, 인간 입력이 결합된 형태이며 도로 상태·보건 통계·에너지 출력 등 특정 도메인에 맞춰 실제 데이터를 AI 에이전트 및 기여자와 연결한다.
아이오텍스의 네이티브 토큰 IOTX는 스테이킹을 통해 커뮤니티가 선출한 대의자(Delegates)에게 투표하는 데 사용된다. 이들은 네트워크 보안을 담당하고, 트랜잭션 검증 및 블록 생산을 수행한다. 또한 IOTX는 L1에서 가스비 지불에도 사용된다. 아이오텍스 L1은 무작위 위임 지분증명(Roll-DPoS) 합의 방식을 사용하며, 상위 36명의 대의자 중 24명을 매시간 무작위로 선정해 네트워크를 보호한다.
아이오텍스의 BinoAI는 퀵실버 기반 DePIN 특화 AI 에이전트로, X(트위터)와 커뮤니티 포럼에 자동으로 게시글을 올려 DePIN 및 AI 프로젝트 관련 인사이트를 공유한다. 자세한 내용은 아이오텍스 커버리지 개시 보고서(“Initiation of Coverage”)를 참조하면 된다.
서론: 현실 기반 AI (Real-World AI)
대규모 언어 모델(LLM)은 웹사이트, 서적, 코드 저장소 등에서 수집한 고정된 데이터셋으로 학습하며, 이러한 데이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빠르게 노후화된다. AI 시스템이 실제 세계의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려면 디바이스, 센서, 인프라로부터 자주 갱신되고 검증된 데이터가 필요하지만, 데이터 가용성이나 품질의 격차는 편향되거나 신뢰할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2025년 7월, 아이오텍스(IoTeX)는 물리적 인텔리전스를 기반으로 하는 AI 인프라 스택 구축 로드맵을 발표했다. 이를 통해 AI 에이전트가 검증된 DePIN 데이터를 활용해 문맥 기반 애플리케이션(모빌리티, 로보틱스, 에너지, 헬스케어 등)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아이오텍스는 자사 스택을 데이터 순환 구조(data loop) 중심에 두려 한다. 여기서 DePIN이 데이터를 공급하고, 아이오텍스가 이를 검증·맥락화하며, AI 에이전트가 그 결과를 소비한다. 로드맵에 따르면, IoTeX L1 블록체인은 현실 세계의 신호를 온체인에서 검증하고, ioID는 기계 및 에이전트의 온체인 신원을 인증하며, 퀵실버(Quicksilver)는 DePIN 데이터를 검증·정형화해 AI가 이해할 수 있는 맥락으로 구조화한다. 퀵실버 기반으로 구축된 AI 에이전트는 실시간 피드백을 받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된 환경에서 작동한다.
아이오텍스는 인증된 기계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DePIN 빌더,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프로토콜뿐 아니라 AI 개발자, 제조업체, 물류 기업 등 암호화폐 외 산업 부문으로부터의 채택을 추진하고 있다.
2025년 8월 26일, 애니모카 브랜드(Animoca Brands)는 아이오텍스에 투자해 아시아 지역의 현실 기반 AI 확장을 지원하며 밸리데이터로 참여했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아이오텍스는 주요 블록체인 투자사와 제휴하며 기관급 신뢰성을 확보했다.
아이오텍스 기술 스택 (IoTeX Tech Stack)
아이오텍스 네트워크는 신원·데이터 검증·에이전트 실행·문맥 데이터셋을 결합한 모듈형 아키텍처로 구성된다. 각 기능은 ioID(신원), W3bstream(증명), 퀵실버(집계), 렐름(문맥 데이터) 모듈로 구동되며, 이 네 가지가 현실 기반 AI 이니셔티브의 토대를 이룬다.
ioID: 신원 계층 (Identity Layer)
ioID는 스마트 디바이스, 센서, 에이전트를 인증하는 온체인 신원 프레임워크다. 핵심 구성요소는 ioID 식별자, 디바이스 NFT, 머신 바운드 계정(Machine-Bound Accounts, MBA), 그리고 디바이스를 소유자 지갑 및 계정과 연결하는 ioID 레지스트리이다. 디바이스 NFT는 온체인 상의 소유권을 나타내며, MBA는 기계가 사람의 지속적인 개입 없이 서비스와 상호작용하거나 거래를 수행하도록 한다.
현실 기반 AI는 데이터 생산 주체가 ‘누구/무엇’인지 파악해야 한다. ioID는 기계의 출력을 검증된 신원과 연결해 애플리케이션이 신뢰 가능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ioID는 데이터 제공 및 품질에 연계된 자동화된 보상·지불 수행을 위해 기계 소유자 지갑에 소유권 및 권한 부여 경로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ioID에 등록된 센서는 측정값을 스트리밍하고, MBA를 통해 지급을 수령하며, 소유권 변경 이력을 기록해 AI 모델 학습용 감사 추적(audit trail)을 생성할 수 있다.
ioID 디바이스 소유자는 2024년 9월 13일 기준 167명에서 2025년 9월 12일 3,170명으로 1,697% 증가했다. 같은 기간 ioID 등록 디바이스는 2,250대에서 12,100대로 337% 늘었다. 이는 온체인 DePIN 디바이스 인증 수요가 급증했음을 시사하며, 더 많은 사용자와 장치가 ioID를 통해 자신들의 존재를 검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W3bstream: 증명 계층 (Proof Layer)
W3bstream은 제로 지식 증명(ZK Proof)을 활용해 DePIN 디바이스 데이터를 검증하고, 현실 세계의 활동에 대한 검증된 증명을 온체인에 게시하는 오프체인 컴퓨팅 레이어다. 이는 원시 디바이스 출력과 데이터 소비 계층 사이에서 무결성 검사를 수행해 위조된 데이터나 변조된 데이터를 AI 모델이 잘못 처리하는 위험을 줄인다. 퀵실버와 통합되어 W3bstream은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검증된 디바이스 데이터를 AI 에이전트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개발자가 각 데이터 소스마다 별도의 파이프라인을 구축하지 않아도 신뢰 가능한 입력값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
퀵실버 (Quicksilver): 데이터 집계 계층 (Aggregation Layer)
퀵실버는 DePIN으로부터 검증된 데이터를 수집·제공해 AI 에이전트가 물리 세계 데이터를 질의하고 분석하며 자동화된 조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워크다. 개발자는 이 오픈소스 프레임워크를 활용해 AI 에이전트를 구축하고, 로직과 API 접근을 설정하며, 가격 구조를 구성해 사용자가 채팅 또는 API를 통해 질의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전역 채팅 또는 직접 인터페이스를 통해 에이전트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퀵실버의 “코어 오케스트레이터(Core Orchestrator)”가 각 요청에 가장 적합한 에이전트와 API를 선택하고, 그들의 출력으로 응답을 조합한다.
초기 사례로는 아이오텍스 프로토콜 데이터를 활용해 블록체인 관련 질의에 응답하는 DePIN Agent, 그리고 누빌라(Nubila) 등 데이터 공급자에게서 온도·습도·강수량 정보를 수집하는 Weather Agent가 있다. 두 프로젝트 모두 개발 중이다.
2025년 8월 기준 퀵실버의 일평균 요청 수는 7월 291건에서 1,137건으로 291% 증가했다. 퀵실버 에이전트는 OpenAI(GPT-4o-mini), Anthropic(Claude 3.5 Haiku), DeepSeek의 LLM 통합을 활용해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며, API·블록체인·DePIN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가져온다. 이들은 트랜잭션 전송, 소셜 플랫폼 게시, 외부 서비스 호출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며, 제한적 접근 상태에서도 수요가 급증했다.
렐름 (Realms): 도메인별 문맥 인텔리전스 계층 (Contextual Domain Intelligence Layer)
렐름은 데이터·에이전트·기여자를 모빌리티, 로보틱스, 에너지 등 산업별 인텔리전스 베이스로 조직화한다. 기여자는 기계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라벨링하고, AI 개발자는 도메인 특화 모델을 훈련하며, 애플리케이션은 모델 API 질의에 대해 IOTX로 결제한다. 이를 통해 에이전트의 추론과 작업 수행을 개선하는 구조적·도메인 인식형 문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교통 렐름에서는 차량이 진단 정보·위치·교통 데이터를 스트리밍한다. 퀵실버는 이를 검증된 입력으로 제공하고, 도메인 전문가가 차량 유형·시간대·날씨 조건 등을 라벨링하거나 혼잡·사고 대응과 같은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한다. AI 개발자는 이 라벨링된 데이터를 활용해 **교통 에이전트(Transportation Agent)**를 훈련하며, 결과적으로 경로 탐색·사고 탐지·자율주행 학습용 모델을 생성한다.
기여자는 데이터 제공 및 라벨링에 따라 보상을 받고, 애플리케이션은 질의에 대해 IOTX를 지불한다. 이 피드백 구조는 시간이 지날수록 데이터셋 품질을 향상시킨다.
2025년 7월, 아이오텍스는 USDC를 이용한 에이전트 간 결제 엔드포인트를 도입했다. 팀은 DePIN 전문 에이전트 비노(Bino)와 기상 에이전트 카일라(Caila)가 서로 0.001 USDC를 교환하며 렐름 외부 요청을 수행하는 멀티에이전트 협업 실험을 시연했다. 이 결제 구조는 에이전트 간 협업의 정산 기능을 추가하고, 렐름내 보상 및 유료 질의 모델에 활용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아이오텍스는 ioID(인증된 디바이스 신원), W3bstream(검증된 데이터 흐름), 퀵실버(에이전트 실행), 렐름(도메인 인텔리전스)을 결합하여 신뢰 가능한 기계 데이터에 의존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공급과 소비를 조정할 계획이다. 2025년 9월 12일 기준, 렐름은 개발 단계에 있다.
아이오텍스 레이어 1 (IoTeX L1): 결제 계층 (Settlement Layer)
아이오텍스 L1 블록체인은 신원 인증, 증명 검증, 에이전트 행동 및 결제 처리를 담당하는 결제 계층이다.
또한 디바이스 및 에이전트 신원을 고정(anchor)하는 ioID 레지스트리와 관련 스마트컨트랙트를 호스팅한다.
2025년 6월 19일, 아이오텍스는 블록 생성 시간을 5 초에서 2.5 초로 단축하고, 초당 2,000 트랜잭션까지 확장 가능한 v2.2.0 하드포크를 배포했다.
이는 지연 민감형 현실 AI 애플리케이션의 트랜잭션 증가를 대비한 조치다.
커뮤니티는 최근 성능 개선을 위한 두 개의 IoTeX 개선 제안(IIP)을 상정했다:
IIP-50 : 성능 저조한 대의자(Delegate) 페널티(슬래싱) 도입
IIP-52 : 블록 서명 압축을 통한 블록 전파 효율 향상
두 제안은 아이오텍스 L1의 보안성과 확장성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파트너십 (Partnerships)
2025년 7월, 아이오텍스는 전기차 배터리 관리 기업 유파워(U Power Ltd.) 및 통신사 보다폰(Vodafone) 과 초기 파트너십을 체결하며 현실 AI 수요를 가진 산업 기업과의 협력을 진전시켰다.
U Power
7월 23일, 아이오텍스는 U Power Ltd.와 전략적 제휴를 발표했다. 아이오텍스는 U Power가 발행한 회사채 기반 실물자산(RWA)을 매입하기로 합의했고, U Power는 IOTX를 SEC 공시용 전략적 준비 자산으로 축적하겠다고 밝혔다.
U Power는 2013년 중국에서 설립된 EV 배터리 교환 기술 기업으로, 중국과 동남아시아에서 주로 사업을 전개한다. 대표 제품 ‘UOTTA 시스템’은 모듈형 리튬이온 배터리 팩, 자동 교환 스테이션, 관리 소프트웨어를 결합해 도심형 택시·배송 차량 등의 충전 시간과 배터리 열화를 최적화한다.
아이오텍스는 자사 신원 및 데이터 인프라를 U Power의 배터리 교환 네트워크에 통합해 각 스테이션을 ioID로 온체인 등록하고, 퀵실버를 통해 성능 데이터를 검증해 에너지 분배 최적화 및 물류·모빌리티 AI 훈련에 활용할 계획이다. 또한 스테이션을 성과 연계형 토큰화 RWA 상품으로 구조화할 방침이다.
Vodafone
7월 2일, 보다폰은 아이오텍스, 코인베이스(Coinbase), 체인링크(Chainlink) 등과 협력해 기지국을 온체인에 등록하고 잉여 컴퓨팅 파워를 AI 추론·훈련에 활용하는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이 이니셔티브는 기지국을 토큰화해 기관·소매 투자자가 운영 자금을 제공하고 사용량 기반 수익을 배분받을 수 있게 한다.
아이오텍스는 기지국 인증, 성능 데이터 검증, 토큰화된 RWA 구조화를 담당한다. 이를 통해 기지국은 아이오텍스 DePIN 스택 내 검증 가능한 공급자로 편입되어, AI 워크로드에 필요한 컴퓨팅 자원을 제공·수익화·배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마무리 요약
2025년 7월, 아이오텍스는 현실 세계의 주기적으로 갱신되는 데이터에 기반한 개방형 AI 인프라 로드맵을 공개했다. 이 로드맵은 DePIN이 데이터를 공급하고, 아이오텍스가 이를 검증·맥락화하며, 에이전트가 구조화된 출력을 활용하는 데이터 순환 체계를 설명한다. 이 스택은 EVM 기반 L1, 오프체인 데이터 증명용 W3bstream, 디바이스·에이전트 신원용 ioID, DePIN 데이터 집계 및 에이전트 구동용 퀵실버, 도메인별 지능형 렐름으로 구성된다.
ioID 디바이스 소유자는 2024년 9월 167명에서 2025년 9월 3,170명으로 1,697% 증가했고, 등록 디바이스는 2,250대에서 12,100대로 337% 증가했다. 퀵실버 일평균 요청 건수는 7월 291건에서 8월 1,137건으로 291% 증가했다. 2025년 7월, 아이오텍스는 U Power 및 Vodafone과 협력해 인증된 인프라와 토큰화 자산을 온체인에 추가하며 현실 AI 생태계 확장을 가속화했다. 이번 로드맵과 파트너십을 통해 아이오텍스는 검증된 기계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빌더 및 AI 에이전트 개발자에게 핵심 인프라를 제공함으로써 AI 및 DePIN 영역 확장의 주요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보고서에서 마음에 드셨던 점, 빠진 내용, 또는 기타 피드백이 있으시면 설문을 작성 부탁드립니다.
모든 응답은 개인정보 보호정책과 서비스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
이 보고서는 머신파이(MachineFi, Inc.)의 의뢰로 작성됐습니다. 모든 콘텐츠는 저자(들)에 의해 독립적으로 작성되었으며, Messari Inc. 또는 보고서를 의뢰한 기관의 의견을 반드시 반영하는 것은 아닙니다. 의뢰 기관이 보고서 내용에 일부 의견을 제시할 수 있으나, Messari는 데이터의 정확성과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최종 편집권을 보유합니다. 또한, 저자(들)는 이 보고서에서 언급된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이 보고서는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투자 자문을 위한 문서가 아닙니다. 투자 결정을 내리기 전에는 반드시 자체적인 조사 및 독립적인 재무, 세무, 법률 전문가와의 상담을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과거 수익률은 미래 수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당사의 서비스 이용약관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이 보고서의 일부 또는 전체는 다음과 같은 행위가 금지됩니다:
(a) 복사, 인쇄, 어떠한 방식으로든 형태를 변형하여 복제하는 행위
(b) Messari®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 재배포하는 행위
0
안내사항
- (주)토큰포스트에서 제공하는 리서치에 대한 저작권 및 기타 지적재산권은 (주)토큰포스트 또는 제휴 파트너에게 있으며, 이용자를 위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 작성된 내용은 작성자 본인의 견해이며, (주)토큰포스트의 공식 입장이나 의견을 대변하지 않습니다.
- (주)토큰포스트는 리서치 및 관련 데이터를 이용한 거래, 투자에서 발생한 어떠한 손실이나 손해에 대해서 보상하지 않습니다.
- 가상자산은 고위험 상품으로써 투자금의 전부 또는 일부 손실을 초래 할 수 있습니다.
마켓 카테고리 리서치
더보기
리서치 삭제
글 삭제 후 복구가 불가능 합니다.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