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추천 추천

USDT₮0: 스테이블코인의 다음 진화

코인이지(CoinEasy)

2025.11.10 22:26:08

단일 자산, 옴니체인 유동성, 그리고 완전한 상호운용성

 

서론: USDT의 크로스체인 한계

USDT는 글로벌 디지털 금융의 핵심으로 자리잡은 스테이블코인입니다. 하지만 수많은 블록체인과 프로토콜 위에 USDT가 흩어지면서, 체인 간 USDT 이동은 여전히 복잡합니다.

  • 각기 다른 브리지들
  • 중복된 유동성 풀
  • 래핑 또는 합성 자산
  • 사용자 및 빌더에게 비효율적인 UX

USDT₮0는 이를 해결합니다. LayerZero의 Omnichain Fungible Token (OFT) 표준 위에 구축된 USDT₮0는, 별도의 래핑 없이 단일한 유동성을 여러 체인에 걸쳐 제공합니다.

USDT₮0는 포크가 아닙니다. 진화된 형태의 원본 USDT로, 더 효율적이고 범용적인 방식으로 전달됩니다.

▶ 영상 보기

 

USDT₮0의 작동 방식

USDT₮0는 락 앤 민트(lock and mint) 메커니즘을 통해 체인 간 1:1 자산 이동을 보장합니다.

 

흐름 요약

  1. 자산 락업
  2. Ethereum 메인넷에서 실제 USDT를 스마트 계약에 잠금합니다.
  3. 타겟 체인에서 민트
  4. 동일 수량의 USDT₮0가 타겟 체인에 발행됩니다. 이 토큰은 이더리움에서 락된 자산에 의해 1:1로 완전히 뒷받침됩니다.
  5. 크로스체인 전송
  6. LayerZero의 메시징 레이어를 통해 브리지를 거치지 않고 체인 간 빠르고 저렴하게 전송됩니다.
  7. USDT로 리딤
  8. 사용자는 USDT₮0를 소각하고, 이더리움에서 원래의 USDT를 다시 언락할 수 있습니다.

 

OFT 표준의 역할

OFT(Omnichain Fungible Token)는 LayerZero가 개발한 옴니체인 토큰 표준으로, 상호운용성을 위한 강력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합니다.

 

주요 장점

  • 통합 유동성
  • 체인 간 자산이 하나의 풀에서 관리되어 유동성 단절을 제거합니다.
  • 높은 보안성
  • 분산 오라클 및 릴레이어 네트워크를 통해 모든 트랜잭션이 검증됩니다.
  • 확장성
  • 새로운 블록체인으로의 손쉬운 확장과 통합이 가능합니다.
  • 운영 효율성
  • 별도의 브리지나 래핑 자산 없이 간단한 민트·소각 구조로 관리가 수월합니다.

 

Legacy Mesh: 기존 USDT와 USDT₮0 연결 구조

TON, Tron 같은 체인에는 여전히 막대한 양의 기존 USDT(예: TRC-20) 가 유통 중입니다. 이들을 USDT₮0 생태계에 자연스럽게 연결하기 위해, Legacy Mesh라는 유동성 인프라가 도입되었습니다.

 

Legacy Mesh란?

  • 허브-스포크 구조를 사용하여 다양한 체인의 USDT와 USDT₮0 간의 교환을 지원
  • Arbitrum이 중심 허브 역할을 하며, 유동성 풀을 통해 상호 전환 가능
  • 다음 체인을 지원:
  • Ethereum (USDT-ERC20)
  • Tron (USDT-TRC20)
  • TON (USDT-TON)
  • Arbitrum (USDT₮0 허브)
  • 모든 USDT₮0 지원 체인

 

Legacy Mesh의 의미

  • 기존 유동성 보존
  • 기존 체인에 있는 유동성을 강제로 마이그레이션하지 않고도 활용 가능
  • 점진적 업그레이드 가능
  • USDT₮0를 아직 지원하지 않는 체인들도 Mesh를 통해 당장 연동 가능
  • 완전 담보 방식
  • 모든 전송은 실제 자산으로 뒷받침되어 탈중앙화와 안정성을 동시에 보장

 

Legacy Mesh 사용법 (현재는 수동 방식)

곧 출시될 USDT₮0 Transfer Hub를 통해 자동화 예정입니다. 현재는 수동 절차로도 쉽게 이용 가능합니다.

예시: Tron → Ink 체인으로 이동

  1. 체인 선택
  2. Transfer Hub에서 Tron(USDT) → Arbitrum(USDT₮0) 설정
  3. Arbitrum으로 전송
  4. TRC-20 USDT를 Arbitrum으로 전송. 검증된 풀을 통해 안전하게 교환됩니다.
  5. 목적 체인으로 전송
  6. Arbitrum에서 USDT₮0를 소각하고 Ink 체인에 동일 수량을 발행합니다.
  7. USDT₮0 사용 시작
  8. Ink에서 네이티브 USDT₮0를 다양한 dApp에서 자유롭게 활용 가능

Arbitrum에서 다른 USDT₮0 체인으로 이동하는 것도 동일한 구조로 가능

📌 참고: Legacy Mesh는 0.03% 수수료가 발생하며, USDT로 납부됩니다.

 

결론: USDT₮0는 단일화된 미래입니다

USDT₮0 + Legacy Mesh 조합은 현재와 미래를 동시에 포용하는 전략입니다.

  • USDT₮0: 완전한 옴니체인, 효율적인 유동성
  • Legacy Mesh: 기존 체인을 배제하지 않고 연결
  • 개발자와 사용자 모두를 위한 간결하고 신뢰성 높은 인프라

추가 정보

안내사항

  • (주)토큰포스트에서 제공하는 리서치에 대한 저작권 및 기타 지적재산권은 (주)토큰포스트 또는 제휴 파트너에게 있으며, 이용자를 위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 작성된 내용은 작성자 본인의 견해이며, (주)토큰포스트의 공식 입장이나 의견을 대변하지 않습니다.
  • (주)토큰포스트는 리서치 및 관련 데이터를 이용한 거래, 투자에서 발생한 어떠한 손실이나 손해에 대해서 보상하지 않습니다.
  • 가상자산은 고위험 상품으로써 투자금의 전부 또는 일부 손실을 초래 할 수 있습니다.
Bitcoin 로고 Bitcoin (BTC)
152,497,210 (+0.76%)
Ethereum 로고 Ethereum (ETH)
5,114,326 (-0.47%)
Tether USDt 로고 Tether USDt (USDT)
1,456 (0.00%)
XRP 로고 XRP (XRP)
3,669 (+8.82%)
BNB 로고 BNB (BNB)
1,428,377 (-1.55%)
Solana 로고 Solana (SOL)
241,880 (+1.95%)
USDC 로고 USDC (USDC)
1,456 (0.00%)
TRON 로고 TRON (TRX)
428.2 (+0.80%)
Dogecoin 로고 Dogecoin (DOGE)
260.5 (+0.24%)
Cardano 로고 Cardano (ADA)
852.7 (+1.57%)
왼쪽
2025 11월  10(화)
오른쪽
진행기간 2025.11.10 (월) ~ 2025.11.11 (화)

40명 참여

정답 95%

오답 5%

진행기간 2025.11.07 (금) ~ 2025.11.08 (토)

39명 참여

정답 64%

오답 36%

진행기간 2025.11.06 (목) ~ 2025.11.07 (금)

45명 참여

정답 76%

오답 24%

진행기간 2025.11.05 (수) ~ 2025.11.06 (목)

45명 참여

정답 71%

오답 29%

기간 2024.03.20(수) ~ 2024.04.02(화)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100명에게 커피 기프티콘 에어드랍
신청인원

126 / 100

이더리움(ETH) 일반 마감

[Episode 11] 코인이지(CoinEasy) 에어드랍

기간 2024.02.27(화) ~ 2024.03.12(화)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50명에게 총 150 USDT 지급
신청인원

59 / 50

기간 2023.10.11(수) ~ 2023.10.25(수)
보상내역 $10상당의 $AGT
신청인원

172 / 150

기간 2023.09.01(금) ~ 2023.10.01(일)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1만원 상당의 상품권 에어드랍 (50명)
신청인원

26 /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