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추천 추천

AM WEEKLY REPORT 25년 11월 2주차

AM WEEKLY REPORT 요약 (2025년 11월 10일 기준)

 

1. 주간 시장 개요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이 40일을 넘기며 역사상 최장 기간을 경신했다. 정부 기능이 마비되면서 고용보고서와 물가지표 발표가 지연되고 있으며, 연준(Fed)은 주요 실물 데이터를 확인하지 못한 채 12월 회의를 준비해야 하는 부담을 안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 공백 속에서 민간 고용지표인 ADP 고용보고서가 전월 -2.9만 명에서 +4.2만 명으로 반등해 단기 안도감을 제공했으나, 제조업과 ICT 부문 고용이 여전히 감소세를 보이며 고용의 질적 회복은 미진한 수준이다.

정책 측면에서는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산 일부 품목에 대한 301조 관세 유예조치를 연장하면서 무역 불확실성을 완화했다. 또한 한·미 자동차 및 부품 관세 협상이 진전을 보이며 한국 수출 모멘텀 회복 기대가 형성되었다. 다만 미국 내 소비 둔화가 여전히 경기의 발목을 잡고 있다. 결국 시장은 ‘정책과 데이터의 공백 속에서 신뢰 회복을 시도하는 국면’에 있으며, 단기적으로는 방어적 포지션이 유효하다.


2. 금주 주요 일정

이번 주는 셧다운 협상 결과와 관세 정책 변화가 시장의 핵심 이슈다. 다만 최근 상원이 차단 해제 예산안을 가결하며 셧다운 해소의 단초가 마련되었고, 시장은 이를 긍정적인 신호로 받아들이고 있다. 아직 하원의 본회의 처리와 대통령 서명이 남아 있지만, 사태 장기화에 대한 우려는 완화되는 분위기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의 회담 이후, 미국은 중국산 일부 수입품 관세를 57%→47%로 인하했고, 중국은 미국산 농산물 보복관세를 11월 10일부터 유예하기로 발표했다. 정치적 상징성은 크지만 실질적 효과는 제한적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3. 거시경제 및 금리 전망

현재 기준금리는 4.00%이며, 12월 FOMC 회의에서 350~375bp로 인하될 확률은 66.8%로 반영되었다. 연준은 공식 지표 부재 속에서 12월 회의를 준비 중이며, 시장은 이를 두고 ‘데이터 없는 정책 결정’이라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장기 금리(10년물)는 4.3%대로 하락했고, 이는 안전자산 선호와 완화 기대가 동시에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경제 전반은 물가 둔화 vs 성장 둔화의 이중 리스크 속에 놓여 있으며, 셧다운 종료 이후 공개될 공식 지표가 향후 통화정책 방향을 결정지을 전망이다.


4. 암호화폐 시장 흐름

비트코인은 주간 기준 4.38% 하락한 $105,596로 마감했다. 글로벌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3.52조 달러(-3.56%)로 감소했으나, 셧다운 협상 진전 기대감과 관세 완화 소식으로 주 후반 회복세를 보였다.

비트코인 도미넌스는 59.95%(+0.03%), 이더리움 도미넌스는 12.42%(-2.58%)로, 시장 내 자금이 비트코인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기술적 반등 여력이 남아 있으나, 5.10%를 돌파한 USDT 도미넌스(5.26%)가 하락 전환하지 않는 한 강한 추세 복귀는 제한적이다.


5. ETF 수급 동향

미국 상장 비트코인 ETF는 최근 1주간 2억 4천만 달러(약 3,300억 원) 규모의 순유입을 기록하며, 6일 연속 유출세를 마감했다. 특히 IBIT(iShares Bitcoin Trust)와 FBTC(Fidelity Wise Origin)를 중심으로 기관 자금의 복귀가 나타났다. 이는 셧다운 협상 진전과 금리 인하 기대가 맞물리며 정책 완화 기대가 강화된 영향이다.

반면, 이더리움 ETF에서는 2억 1,900만 달러 순유출이 발생했으나 일부 상품에서는 저가 매수세가 확인되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비트코인 중심의 자금 재유입이 뚜렷하나, 중기적으로는 이더리움 역시 재유입 전환 가능성이 존재한다.


6. 애널리스트 시황

비트코인은 단기 하락세 이후 채널 하단부에서 지지를 확인하며 반등을 시도하고 있다. 단기 변동성은 남아 있으나, 장기 이동평균선과 주요 일봉 이평선의 동시 돌파가 이루어진다면 시장 안정화 신호로 작용할 전망이다.

특히 $117,000 돌파 여부가 핵심 분기점으로, 상향 돌파 시 이번 조정은 중장기 하락이 아닌 기간 조정의 마무리로 해석될 가능성이 높다. 이더리움과 솔라나는 각각 도미넌스 반등 시도를 보이고 있으나, 직전 고점 회복 전까지는 본격적인 추세 전환으로 보기 어렵다.


7. 종합 결론

글로벌 시장은 여전히 데이터 공백과 정책 불확실성이 공존하는 구간에 있다. 다만 미국 상원이 예산안을 가결하면서 셧다운 해소 기대가 높아지고 있으며, 하원 표결만 남은 상황에서 불확실성은 점차 완화되는 분위기다.

금리 인하 기대 또한 재부각되고 있어 단기 위험자산 심리가 개선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완화와 중국의 보복관세 유예가 단기 안도 랠리를 이끌고 있으나, 첨단기술 수출 통제가 유지되고 있어 실질적인 무역 정상화로 이어지기에는 시간이 필요하다.

비트코인은 채널 하단 지지 후 반등을 시도 중이며, $117,000 돌파 시 상승 사이클 전환 가능성이 높다. 향후 데이터 공백이 해소되고 공식 지표가 복귀하는 시점부터 시장 방향성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안내사항

  • (주)토큰포스트에서 제공하는 리서치에 대한 저작권 및 기타 지적재산권은 (주)토큰포스트 또는 제휴 파트너에게 있으며, 이용자를 위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 작성된 내용은 작성자 본인의 견해이며, (주)토큰포스트의 공식 입장이나 의견을 대변하지 않습니다.
  • (주)토큰포스트는 리서치 및 관련 데이터를 이용한 거래, 투자에서 발생한 어떠한 손실이나 손해에 대해서 보상하지 않습니다.
  • 가상자산은 고위험 상품으로써 투자금의 전부 또는 일부 손실을 초래 할 수 있습니다.
Bitcoin 로고 Bitcoin (BTC)
153,420,810 (+0.54%)
Ethereum 로고 Ethereum (ETH)
5,187,008 (-0.15%)
Tether USDt 로고 Tether USDt (USDT)
1,460 (+0.01%)
XRP 로고 XRP (XRP)
3,568 (-0.45%)
BNB 로고 BNB (BNB)
1,420,336 (-0.68%)
Solana 로고 Solana (SOL)
233,301 (-2.02%)
USDC 로고 USDC (USDC)
1,460 (+0.02%)
TRON 로고 TRON (TRX)
439.0 (+0.77%)
Dogecoin 로고 Dogecoin (DOGE)
257.5 (-0.55%)
Cardano 로고 Cardano (ADA)
841.4 (-0.42%)
왼쪽
2025 11월  12(수)
오른쪽
진행기간 2025.11.12 (수) ~ 2025.11.13 (목)

31명 참여

정답 84%

오답 16%

진행기간 2025.11.11 (화) ~ 2025.11.12 (수)

45명 참여

정답 84%

오답 16%

진행기간 2025.11.10 (월) ~ 2025.11.11 (화)

46명 참여

정답 93%

오답 7%

진행기간 2025.11.07 (금) ~ 2025.11.08 (토)

39명 참여

정답 64%

오답 36%

기간 2024.03.20(수) ~ 2024.04.02(화)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100명에게 커피 기프티콘 에어드랍
신청인원

126 / 100

이더리움(ETH) 일반 마감

[Episode 11] 코인이지(CoinEasy) 에어드랍

기간 2024.02.27(화) ~ 2024.03.12(화)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50명에게 총 150 USDT 지급
신청인원

59 / 50

기간 2023.10.11(수) ~ 2023.10.25(수)
보상내역 $10상당의 $AGT
신청인원

172 / 150

기간 2023.09.01(금) ~ 2023.10.01(일)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1만원 상당의 상품권 에어드랍 (50명)
신청인원

26 /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