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10월 11일 코인니스 아침 뉴스 브리핑

프로필
Coinness 기자
댓글 1
좋아요 비화설화 0

[외신 "백트, BTC 옵션상품 출시 검토 중"]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더블록이 소식통을 인용 "ICE 산하 암호화폐 선물 거래소 백트는 현재 비트코인 시장과 관련된 파생상품 출시를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해당 소식통에 따르면, 백트는 현재 비트코인 옵션 사업 진출을 도모하고 있으며 이는 2020년 1분기 BTC 옵션상품을 출시한다고 발표한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ME)를 견제하기 위함이라는 설명이다.

[뉴욕 최고법원, NYAG의 비트파이넥스 수사 자료 요청 기각]

암호화폐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조엘 코헨 뉴욕 최고법원 법관이 NYAG(뉴욕 검찰총장실)의 비트파이넥스 및 테더에 대한 수사 자료 청구를 10일(현지시간) 기각했다. 이와 관련해 조엘 코헨 법관은 "NYAG가 제 354조에 의거해 피고가 수사와 관련된 모든 문서와 정보를 검색하고 수집하도록 한 명령 요청은 제 354조 1항인 '항소심 심리 및 결정 보류에 대한 명령 유지'에 부합하지 않아 반려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코헨 법관은 해당 요청을 기각했지만, 테더가 비트파이넥스에 추가적으로 자금을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가처분 신청은 재차 받아들였다. 앞서 NYAG는 뉴욕 최고법원에 비트파이넥스가 약 8.5억 달러의 손실 은폐 혐의와 관련 자료를 준비할 것을 요청한 바 있다.

[조셉 루빈 "이더리움 2.0 '0'단계, 2020년 말 진행"]

조셉 루빈 컨센시스 창업자가 데브콘(Devcon)에서 이더리움 2.0 프로젝트가 2020년 1분기에 0단계에 돌입, 1단계와 2단계가 2020년 말 동시에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와 관련해 "이더리움 네트워크 상에서 샤딩 기술이 완전하게 구현된 후, PoS 프로토콜이 2020년 말 실현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 창업자 역시 "이론상, 샤딩의 결합성을 이미 실현한 상태"라며 "샤딩이 완전하게 구현된 후 이더리움 2.0으로 진입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CFTC 위원장 "ETH 선물 거래, 가까운 시일 승인"]

야후파이낸스에 따르면, 히스 타버트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위원장이 최근 인터뷰를 통해 "이더리움(EHT)은 상품으로 취급되기 때문에 CFTC의 규제 관할에 속한다. 가까운 시일 내에 미국 시장에서 ETH 선물 거래를 승인할 계획"이라고 10일(현지시간) 입장을 밝혔다. 이와 관련해 그는 "비트코인(BTC)은 상품이라고 명확히 이야기한 바 있으나, 아직까지 ETH에 대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며 증권거래위원회(SEC)가 BTC 및 ETH가 증권이 아니라는 데 동의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현재 많은 토큰들이 존재하지만 당국의 입장은 애매모호한 상태"라면서 "하드포크된 암호화폐를 포함한 다수의 디지털 자산에 비슷한 입장을 취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알리페이 이어 위챗페이도 "암호화폐, 거래 지원 계획 없다"]

중국의 모바일 결제 서비스 알리페이에 이어 위챗페이 역시 암호화폐 거래 및 구매를 지원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방금 전 위챗페이 측은 "어떠한 암호화폐 거래를 지원하지 않는다. 모든 유형의 암호화폐 판매상에 대한 계정을 지원하지 않을 것이며, 위챗페이를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가 적발될 경우 강제적으로 퇴출 시킬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오늘 오후 알리페이 역시 암호화폐 거래를 금지하는 원칙에는 변화가 없다고 밝힌 바 있다. 알리페이와 위챗페이의 중국 내 모바일 결제 시장 점유율은 90%에 달한다. 이는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가 OTC 거래와 관련해 위챗페이와 알리페이를 통해 법정화폐 거래를 지원할 것이라고 말한 데 대한 대응으로 풀이된다. 앞서 지난해 알리페이와 위챗페이는 당국의 압박에 의해 암호화폐 거래 및 판매를 전적으로 차단한다고 공지한 바 있다.

[러 중앙은행 "CBDC, 필요 없다" 결론]

러시아 국영 통신사 타스(TASS)에 따르면, 러시아 중앙은행 총재 엘비라 나비울리나가 피노폴리스 포럼에서 "국가에서 중앙은행 발행 디지털 화폐(CBDC)를 발행할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그는 "러시아 중앙은행은 CBDC에 대한 연구를 해왔고 국가에서 암호화폐를 발행할 필요가 명확하지 않다고 결론 지었다. 기존 전자 결제와 비교해 CBDC의 발행이 기술적인 문제 외에도 실제로 어떤 이점을 줄 수 있는지 추정하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바이낸스DEX, XRP 가치 연동 토큰 상장]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Binance)가 바이낸스DEX에 XRP 연동 토큰 'XRP-BF2'를 상장했다. 해당 토큰은 실제 XRP와 1:1 비율로 가치가 연동됐다는 설명이다. 이와 관련 자오창펑 바이낸스 CEO는 "사용자들이 바이낸스닷컴에서 XRP를 출금할때 기존 XRP 혹은 바이낸스체인 기반 XRP 중 하나를 택할 수 있다"며 "트레이딩을 하지 않는 한 1:1로 연동된 가치에는 변함이 없을 것이며 시세 차이도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주목해야 할 점은 이러한 매커니즘은 XRP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이라며 "다른 암호화폐 프로젝트들도 커스터디안이 없어도 거래를 진행할 수 있는 바이낸스체인에 통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Provided by 코인니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댓글

댓글

1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스티브잠스

2019.10.11 08:56:37

백트와 리플의 움직임이 눈에 띄네요. 알리페이는 암호화폐 지원을 안한다고 하면서 블록체인은 연구를 하고 있으니 대비는 하는듯 하네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