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웹3 기술이 웹2에 적용될수도 있을까요
ddobb

2025.07.31 19:55:52

트러스타AI라고 요즘 보고있는 프로젝트인데 AgentGo라는 서비스가 좀 흥미로웠거든요.

간단히 말하자면 AI를 평가하고 블록체인 생태계 안에서 자율적이고 신뢰 가능한 존재로 활동하게 해주는 도구라고 볼 수 있습니다.

 

 

재밌는건 이번에 MCP를 오픈소스로 공개했는데 이 AgentGo의 기능을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방한겁니다. 

AI 프로젝트에 신원 인증 시스템을 연동하고 에이전트 간 신뢰 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기반을 오픈소스로 풀어버린..

 

궁금한 부분은 아마 이 기술이 웹3에만 국한되는가일 텐데요. 실제로 트러스타 자체는 웹3 환경에 최적화 되었지만, AI가 다방면에서 활용되고 그 AI를 추적하는건 앞으로 웹2 환경에서도 충분히 적용 가능한 확장성을 가지고 있다고 봅니다.
예를 들어, SaaS형 AI 고객지원 챗봇이나 추천 시스템에도 인증된 AI임을 보여주거나, AI를 활용한 피싱 계정을 방지할 수 있겠죠.

 

또한 기업 내부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AI 에이전트들도 MCP 기반의 모듈을 활용하면, 에이전트 간 협업 시 인증 체계를 세울 수 있어 보안이나 책임 추적 측면에서도 강점을 가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단순히 "블록체인용 인증 시스템"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AI가 사회적 주체로 작동하기 위한 기반 인프라로 확장될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거죠.
앞으로 AI가 웹3뿐 아니라 웹2, 그리고 그 중간의 다양한 혼합형 서비스에까지 들어오게 될 텐데요. 그런 변화 속에서 신뢰 기반의 표준화된 인증 시스템은 필수 요소가 될 것이고, MCP는 그 초석 역할을 하게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댓글 7

0/1000

낙뢰도

2025.08.01 12:53:37

^^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Slowpoke82

2025.08.01 11:21:12

잘 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디스나

2025.08.01 10:24:54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디스나

2025.08.01 10:24:48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위당당

2025.08.01 09:33:58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토큰부자

2025.08.01 08:27:35

파이팅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mini

2025.07.31 22:17:52

ㄱ ㅅ ㅇ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