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부산연구원, 생성형 AI 기반 정책정보 검색 시스템 시범 운영 돌입

프로필
연합뉴스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부산연구원이 생성형 인공지능을 탑재한 '디지털 정보게이트'를 시범 운영하며, 시민의 공공정책 정보 접근성을 높인다. 오는 2026년 정식 서비스 출시를 목표로 한다.

 부산연구원, 생성형 AI 기반 정책정보 검색 시스템 시범 운영 돌입 / 연합뉴스

부산연구원, 생성형 AI 기반 정책정보 검색 시스템 시범 운영 돌입 / 연합뉴스

부산연구원이 생성형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검색 시스템 ‘디지털 정보게이트’를 시범 운영하며, 시민들의 연구 정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디지털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부산연구원은 8월 7일, 시민들이 정책 연구 결과와 관련된 공공 데이터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한 검색 플랫폼 ‘디지털 정보게이트’를 구축해 시범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 플랫폼은 기존 단순 키워드 검색을 넘어, 생성형 인공지능을 통해 보다 직관적이고 효율적인 정보 탐색을 가능하게 한다.

새롭게 도입된 시스템은 생성형 인공지능 모델과 대화형 챗봇을 기반으로, 다양한 형태의 정보 처리 기능을 제공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특정 주제를 입력하면 관련 연구보고서의 요약본을 자동으로 제공하거나, 유사한 보고서와 연관 키워드를 안내해준다. 또한 주제를 자동으로 분류(태깅)하고, 다른 행정 시스템과도 연계할 수 있어 정보의 확장성과도 뛰어나다.

특히 이번 포털의 핵심은 복잡한 검색어 없이도 시민들이 원하는 정책 정보를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돕는 데 있다. 예를 들어, 한두 개의 키워드만으로도 해당 정책과 관련된 연구자료, 자주 묻는 질문(Q&A), 통합 검색결과로 직접 연결해주는 구조다. 이는 행정 정보의 진입 장벽을 낮추고, 일반 국민이 보다 쉽게 데이터 기반의 정책을 이해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접근으로 풀이된다.

부산연구원은 올해 안에 시범 운영을 마치고, 오는 2026년 말부터 정식 서비스를 추진할 계획이다. 신현석 부산연구원장은 이번 시스템을 통해 “시민 누구나 쉽고 빠르게 정책 정보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환경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공공정책에서 시민 참여와 데이터 기반 행정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는 흐름에 발맞춘 시도라고 볼 수 있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디지털 행정 혁신에 긍정적 자극을 줄 수 있다. 특히 인공지능 기반 정보 검색 시스템이 전국적으로 확산된다면, 공공서비스의 이해도 및 접근성이 크게 향상될 가능성이 높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