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국내 콘텐츠 분야에서 인공지능 기반 영상 제작이 하나의 독립된 장르로 부상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국내 AI 영화감독 권한슬 감독은 한국이 이 분야에서 세계 시장을 선도해 나갈 잠재력이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27일 경주에서 열린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문화산업고위급대화’ 행사에서 주제 발표자로 나선 권한슬 감독은 AI 영상 제작 기술이 향후 2년 안에 실사와 구분이 어려운 수준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현재도 이미 AI는 물리법칙을 바탕으로 한 자연스러운 영상 구현이 가능해졌으며, 기술 발전 속도를 감안하면 조만간 실사 영상과 사실상 겉으로 구별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를 것으로 평가했다.
권 감독은 특히, AI 기반 영상이 단순히 기존 실사 제작방식의 대체 수단이 아닌, 완전히 새로운 예술적 장르로 자리잡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AI 영상이 표현력 측면에서 다양한 확장성을 갖고 있으며, 고유의 미학과 스타일을 지닌 ‘AI 아트워크’로 발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영화, 음악, 미술 등 기존 문화 콘텐츠 산업에 또 다른 창작 방향을 제시하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이날 권 감독은 지난해 AI로 제작한 판타지 호러 영화 ‘원 모어 펌킨’을 통해 두바이 국제 AI 영화제에서 대상을 수상한 바 있다. 그는 이러한 경험을 토대로, 한국이 AI 영상 콘텐츠 분야에서 높은 품질과 창의성을 기반으로 세계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현재 AI 영상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기 때문에, 선도적인 콘텐츠 확보가 곧 글로벌 시장 지배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AI가 인간 창작자를 대체할 수 있다는 일부 우려에 대해서도 권 감독은 선을 그었다. 그는 AI는 어디까지나 콘텐츠를 구현하는 도구일 뿐이며, 영상의 내용 구성과 편집 방향은 결국 인간 창작자의 몫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창작과 해석의 주체는 여전히 사람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AI는 인간의 창의력을 확대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한국 콘텐츠 산업의 전반적인 구조변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특히 인공지능 기반 제작기술이 상업성과 예술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영역으로 발전하면, 이에 대한 선제적 투자와 제도적 지원이 향후 문화산업 경쟁력의 핵심 요소로 부상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