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로교통공단이 생성형 인공지능(AI)과 교통 빅데이터를 결합한 플랫폼을 대폭 업그레이드하며, 내부 행정 효율화는 물론 국민 대상 교통안전 서비스 품질 향상에 본격 나선다.
공단은 2025년 9월 4일, ‘생성형 AI 기반 교통AI빅데이터 융합플랫폼 서비스 고도화’ 사업을 착수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교통안전 정책, 사고 분석, 기관 홍보 등 공단의 주요 기능 전반에 인공지능 기술과 대용량 데이터를 접목해 의사결정과 업무 처리를 자동화·지능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부의 ‘공공 AX(인공지능 전환, AI Transformation)’ 전략에 발맞춘 이번 사업은 2026년 초 도입된다.
서비스 고도화의 핵심은 실무에서 발생하는 자료 및 영상 데이터를 분석해 효율적으로 업무에 반영하는 데 있다. 예를 들어 문서 요약 기능은 일상감사 업무에서 방대한 규정이나 법령 자료들을 요약·추천해주며, 보도자료 자동 작성 기능은 홍보 업무에 투입되는 시간과 인력을 대폭 줄여줄 수 있다. 교통 사고에 있어서는 블랙박스 영상 분석을 통해 원인 파악과 보고서 작성을 자동화하며, 고령 운전자 관련 위험 지역 분석은 설명 가능한 AI(Explainable AI)를 통해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이번 고도화 사업이 또 하나 주목받는 이유는 대국민 서비스 개선에 AI 기술을 활용하기 때문이다. 교통안전교육에서는 AI 기반 질의응답과 알람 서비스를 통해 반복적인 민원 응대의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학습자의 이해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설계된다. 법령 추천, 위험지역 경고, 교육 결과 평가 등도 통합적으로 제공될 예정이다. 또한 고령자 사고 예방을 위한 지역 분석은 예방 중심 정책 수립에도 활용될 수 있다.
공단은 이와 함께 직원들의 인공지능 이해도와 활용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도 확대한다. 산업 현장의 사례 중심 특강부터 실습 중심의 내부 교육까지 포괄적으로 시행되며, 이 과정에서 AI 윤리와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 제고도 병행할 계획이다.
향후 이 같은 디지털 전환 흐름은 단순히 기술 기반의 행정 효율화를 넘어, 공공기관의 서비스 방식 자체를 근본적으로 재편하는 계기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특히 교통안전처럼 민감하면서도 국민 생활과 직결된 분야에서는 기술 활용을 어떻게 적용하고 통제하느냐에 따라 사회적 신뢰도와 정책 효과가 좌우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