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실대학교가 이달부터 전 교직원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유료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를 전면 무료 제공하기 시작했다. 국내 대학 가운데 전체 구성원에게 본격적으로 유료 AI 서비스를 무상 지원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조치는 생성형 AI 도입이 교육과 연구 현장의 핵심 역량으로 자리잡고 있는 변화 흐름 속에서 이뤄졌다. 숭실대는 챗GPT, 클로드, 제미나이, 그록, 소나, 젬마 등 주요 AI 모델에 대한 구독 계정을 대학 차원에서 마련해, 모든 구성원이 별도의 비용 없이 실시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는 개별 학생이나 교수가 유료 서비스 비용을 부담해야 했던 기존 상황에 비해 접근성을 크게 높였다.
이윤재 숭실대 총장은 "이제 인공지능은 더 이상 일부 전문가만 활용하는 도구가 아니라, 전 학문 분야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돼야 하는 기술"이라고 설명하며, 이번 정책을 통해 학생들이 ‘AI 네이티브’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여기서 ‘AI 네이티브’란 인공지능 기술을 자연스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세대를 뜻한다.
숭실대는 이번 서비스 제공과 함께, 장기적으로는 AI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체계를 본격화할 방침이다. 생애 주기별 AI 통합교육 모델을 수립 중이며, 내년 2학기에는 ‘AI 활용 라운드테이블’도 개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생성형 AI의 실제 활용 사례를 공유하고, 학문별 연계를 강화해 나간다는 구상이다.
이 같은 움직임은 앞으로 다른 대학이나 교육기관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 이미 산업계에서 생성형 AI의 경쟁력 확보가 핵심 과제로 떠오른 가운데, 고등교육 현장에서도 AI 활용 역량은 점점 더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향후 대학 전반에서 유사한 지원 정책이 생겨날 경우, 교육과 연구 방식에 상당한 변화가 뒤따를 것으로 예상된다.